[[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熟}}}익을 숙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火|{{{#000,#fff 火}}}]],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5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ジュク{{{#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う-れる, {{{#c88 う-む, こな-す, こな-れる,[br]つくづく, つらつら, な-れ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hóu, shú{{{#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熟은 ''''익을 숙''''이라는 [[한자]]로, '익다', '익히다', '익숙하다', '성숙(成熟)하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익숙할 숙''''이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719F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戈火(YIF)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火]](불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孰]](누구 숙)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디는 孰이 '익다'를 뜻했으나, 가차되어 '누구'를 뜻하게 되는 것으로 바뀌자 원 뜻을 보존하기 위해 이를 보완하는 火를 덧붙여 만들어졌다. == 용례 == === [[단어]] === * 능숙([[能]]熟) * 미숙([[未]]熟) * 대령숙수([[待]][[令]]熟[[手]])[* 조선시대 궁중의 남자 요리사.] * [[반숙]]([[半]]熟) * [[백숙]]([[白]]熟) * 성숙([[成]]熟) * 숙고(熟[[考]]) * 심사숙고([[深]][[思]]熟[[考]]) * [[숙녀#s-2]](熟[[女]]) * 숙달(熟[[達]]) * [[숙련]](熟[[鍊]]) * [[숙면]](熟[[眠]]) * [[숙성]](熟[[成]]) * [[요리사|숙수]](熟[[手]]) * [[숙어]](熟語) * 숙지(熟[[知]]) * [[숙취]](熟[[醉]]) * 숙회(熟[[膾]]) * 완숙([[完]]熟) * 원숙([[圓]]熟) * 조숙([[早]]熟) * 팽두이숙([[烹]][[頭]][[耳]]熟) * 친숙([[親]]熟) === 기타 === '익숙하다'나 '[[숭늉]]'(<熟冷)도 이 글자에서 온 것이다. 단 '익숙하다'는 현재 [[순우리말]]로 취급된다. 이민족에 대하여 (자기들 기준으로) [[문명]]화된 이들을 '熟(숙)-'으로, 그렇지 않은 이들을 '[[生]]([[생]])-'으로 부르곤 했다. '[[여진족|숙여진/생여진]]', '[[대만 원주민|숙번, 생번]]' 등이 그 예이다. == 유의자 == * [[慣]](익숙할 관) * [[狎]](친압할/익숙할 압) * [[傛]](익숙할 용) * [[稔]](여물 임/념)[* '여물다' 이외에 '익다'라는 뜻이 있다.] * [[𢸥]](익숙할 찬)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塾]](글방 숙) * [[䃞]](돌 이름 숙) * [[熱]](더울 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