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燥}}}마를 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火|{{{#000,#fff 火}}}]], 13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3급 한자|{{{#000,#fff 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ソ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わ-く, はしゃ-ぐ}}}}}}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ào{{{#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燥는 ''''마를 조''''라는 [[한자]]로, '마르다', '건조(乾燥)하다'를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火]](불 화)와 음을 나타내는 [[喿]](울 조)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71E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火口口木(FRRD)으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조갈(燥[[渴]]) * 조급(燥[[急]]) * 조담(燥[[痰]]) * 조습(燥[[濕]]) * 조열(燥[[熱]]) * 조증(燥[[症]]) * [[건조]]([[乾]]燥) * 건조관([[乾]]燥[[管]]) * [[건조기]]([[乾]]燥[[機]]) * [[건조기후]]([[乾]]燥[[氣]][[候]]) * 건조제([[乾]]燥[[劑]]) * 건조지([[乾]]燥[[地]]/[[乾]]燥[[紙]]) * 민조([[憫]]燥) * 번조([[煩]]燥) * [[성조(동음이의어)|성조]]([[性]]燥) * 초조([[焦]]燥) * 항조([[亢]]燥) === [[고사성어]]/[[숙어]] === * 무미건조([[無]][[味]][[乾]]燥) === [[인명]] ===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渴]](목마를 갈) * [[乾]](하늘/마를 건) * [[枯]](마를 고) * [[涸]](마를 학) == 상대자 == * [[溚]](젖을 답) * [[瀧]](젖을 롱) * [[濕]](젖을 습) * [[潤]](불을 윤) * [[滋]](불을 자) * [[霑]](젖을 점) * [[涵]](젖을 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𥼾]](나물죽 삼)[* [[糝]](나물죽 삼)의 [[동자#s-2]]] * [[鱢]](비릴 소) * [[矂]](비칠 소) * [[𤢖]](산사람 소) * [[橾]](수레바퀴통 수/추, 가래 초) * [[繰]](고치켤 조) * [[𦗵]](귀울 조) * [[懆]](근심할 조) * [[髞]](급할 조) * [[𦏛]](누린내날 조) * [[臊]](누릴 조) * [[鐰]](단단하여부러질 조, 쇠단단할 소, 가래 초) * [[譟]](떠들 조) * [[噪]](떠들썩할 조) * [[䆆]](마른벼 조) * [[幧]](머리띠 조/초) * [[璪]](면류관장식 조) * [[𧒮]](벼룩 조)[* [[蚤]](벼룩 조)의 [[동자#s-2]]] * [[䵲]](썩을 조) * [[澡]](씻을 조) * [[襙]](옷 조) * [[操]](잡을 조) * [[躁]](조급할 조) * [[𥖨]](진이름 조) * [[嬠]](탐할 참) * [[僺]](긴모양 초) * [[𪤢]] * [[𣋝]] * [[𧴜]] * [[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