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獻}}}드릴 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犬|{{{#000,#fff 犬}}}]], 1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ケン, (コ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ささ-げる, たてまつ-る, まつ-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獻은 드릴 헌이라는 [[한자]]로, '드리다', '바치다'를 뜻한다. 그래서 ''''바칠 헌''''이라고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37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卜月戈大(YBIK)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犬]](개 견)과 음을 나타내는 [[鬳]](솥 권)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공헌]]([[貢]]獻) * [[공헌이익]]([[貢]]獻[[利]][[益]]) * [[문헌]]([[文]]獻) * 헌금(獻[[金]]) * 헌납(獻[[納]]) * 헌다(獻[[茶]]) * 헌상(獻[[上]]) * 헌신(獻[[身]]) * 헌신적(獻[[身]][[的]]) * [[헌혈]](獻[[血]]) === [[고사성어]]/[[숙어]] === * [[위국헌신 군인본분]]([[爲]][[國]]獻[[身]] [[軍]][[人]][[本]][[分]]) === [[인명]] === * [[기자헌]]([[奇]][[自]]獻) * [[연헌성]]([[淵]]獻[[誠]]) * [[최충헌]]([[崔]][[忠]]獻) === [[지명#s-2]] === * [[헌릉로]](獻[[陵]][[路]]) === [[창작물]] === * [[헌화가]](獻[[花]][[歌]]) === 기타 === * [[헌조]](獻[[祖]]) == 유의자 == * [[貢]](바칠 공) * [[給]](줄 급) * [[賚]](줄 뢰, 줄 래) * [[賜]](줄 사) * [[授]](줄 수) * [[與]](더불 여, 줄 여) * [[予]](줄 여) * [[呈]](드릴 정) * [[贈]](줄 증) == 상대자 == * [[受]](받을 수) * [[簒]](빼앗을 찬) * [[奪]](빼앗을 탈)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글자 == 20획이나 되는 복잡한 글자인데도 형성자의 성부로 쓰여서, 더 복잡한 글자를 여럿 만들어낸다. 음은 헌 외에도 '알', '얼' 등으로 변한다. * [[齾]](이 빠질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