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玧}}}귀막이옥 윤, 붉은옥 문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玉|{{{#000,#fff 玉}}}]],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8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イン, エン, ボン, モ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88 mén, yǔn}}}}}}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玧은 ''''귀막이옥 윤'''' 또는 ''''붉은옥 문''''이라는 [[한자]]로, '귀막이 옥' 또는 '붉은 옥'을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玉]](구슬 옥)과 소리를 나타내는 [[允]](맏 윤)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73A7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MGIHU(一土戈竹山)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강윤경]]([[姜]]玧[[景]]) * [[김동윤]]([[金]][[東]]玧) * [[김수윤(야구선수)|김수윤]]([[金]][[遂]]玧) * [[김윤지(아나운서)|김윤지]]([[金]]玧[[志]]) * [[슈가(방탄소년단)|민윤기]]([[閔]]玧[[基]]) * [[송윤아]]([[宋]]玧[[妸]]) * [[안병윤]]([[安]][[炳]]玧) * [[이지윤(1965)|이지윤]]([[李]][[知]]玧) * [[이채윤]]([[李]][[采]]玧) * [[이학윤]]([[李]][[學]]玧) * [[정윤(1948)|정윤]]([[鄭]]玧) === [[지명#s-2]] ===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귀막이 옥''' * [[瑱]](귀막이옥 진) * [[琩]](귀막이옥 창) * '''붉은 옥''' * [[琁]](붉은옥 경) * [[㼇]](붉은옥 경/휴) * [[㻋]](붉은옥 랄) * [[㺳]](붉은옥 매) * [[璊]](붉은옥 문) * [[瓗]](붉은옥 휴/경/계/위/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𨐑]]^^[⿰辛允]^^(섞을 개) * [[㭇]](나무이름 연, 움직일 예) * [[沇]](물이름 연) * [[𦧊]]^^[⿰舌允]^^(빨 연) * [[吮]](빨 연/전) * [[抁]](움직일 연) * [[䦾]](우뚝솟을 우) * [[阭]](높을 윤) * [[𡴞]]^^[⿰⿱屮夲允]^^/[[𡻏]]^^[⿰⿱㞤仐允]^^(맏 윤)[* [[允]](맏 윤)의 [[동자#s-2]]] * [[㽙]](맏이/진실로 윤, 농부 준) * [[馻]](말갈기세울 윤) * [[𧉃]]^^[⿰虫允]^^(벌레이름 윤) * [[狁]](오랑캐이름 윤) * [[鈗]](창 윤) * [[𫢎]]^^[⿰亻允]^^ * [[𪝗]]^^[⿰來允]^^ * [[𫧨]]^^[⿰𠦪允]^^ * [[𢁲]]^^[⿰巾允]^^ * [[𪣁]]^^[⿰土允]^^ * [[𪥬]]^^[⿰女允]^^ * [[𰎍]]^^[⿰山允]^^ * [[𡹿]]^^[⿰⿱山夲允]^^ * [[𪫤]]^^[⿰忄允]^^ * [[𪸗]]^^[⿰火允]^^ * [[𭷙]]^^[⿰牛允]^^ * [[𥐸]]^^[⿰石允]^^ * [[𥝲]] * [[𮕯]]^^[⿰衤允]^^ * [[𨋍]] * [[𮠠]]^^[⿰酉允]^^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𪻰]]^^[⿰玧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