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班}}}나눌 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玉|{{{#000,#fff 玉}}}]],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6급 한자|{{{#000,#fff 준6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ハ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え-す, わ-け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bā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班은 ''''나눌 반''''이라는 [[한자]]로, '나누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나누다 || || {{{-1 '''음'''}}} ||반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bān || || {{{-1 '''[[광동어]]'''}}} ||baan1 || || {{{-1 '''[[객가어]]'''}}} ||pân || || {{{-1 '''민동어'''}}} ||băng || || {{{-1 '''[[민남어]]'''}}} ||pan || || {{{-1 '''[[오어]]'''}}} ||pe (T1) || ||<-3> || ||<|2> '''[[일본어]]''' || {{{-1 '''음독'''}}} ||ハン || || {{{-1 '''훈독'''}}} ||''かえ-す'', ''わ-ける'' || ||<-3> || ||<-2> '''[[베트남어]]''' ||ban || [[유니코드]]에는 U+73E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土戈中土(MGILG)로 입력한다. 두 개의 [[玉]](구슬 옥) 혹은 [[珏]](쌍옥 각)과 한 개의 [[刀]](칼 도)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두 개의 옥 꿰미를 칼로 나누는 모습을 본떠 '옥을 나누다' 혹은 '나누어 주다'라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 의미가 파생되어 '벌이다', '차례대로 늘어놓다'와 같은 뜻을 가지고, 현재에는 더 나아가서 '벌여선 차례'나 '무리를 일정하게 나눈 단위', 즉 반(班)이라는 명사로 쓰고 있다. == 용례 == === [[단어]] === * '''[[반]](班)''': 학교에서 '학년-반'과 같이 어떤 집단을 나눈 것. 현대에 와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으나, [[반(행정구역)|행정 구역]]의 의미도 존재한다. * [[관측반]]([[觀]][[測]]班) * [[내무반]]([[內]][[務]]班) * 무반([[武]]班) * [[별무반]]([[別]][[武]]班) * 문반([[文]]班) * 반상회(班[[常]][[會]]) * 반열(班[[列]]) * [[반장]](班[[長]]) * [[부반장]]([[副]]班[[長]]) * 작업반장([[作]][[業]]班[[長]]) * 통반장([[統]]班[[長]]) * 반족(班[[族]]) * 반차(班[[次]]) * [[반차도]](班[[次]][[圖]]) * 분반([[分]]班) * [[빤켁]](班[[戟]]) * [[서반아]]([[西]]班[[牙]]) * [[수반]]([[首]]班) * [[양반]]([[兩]]班) * [[여자반]]([[女]][[子]]班) * 오전반([[午]][[前]]班) * 오후반([[午]][[後]]班) * [[합반]]([[合]]班) === [[고사성어]]/[[숙어]] === * 반문농부(班[[門]][[弄]][[斧]]) * 반반가고(班班[[可]][[考]]) * 반형도고(班[[荊]][[道]][[故]]) * 양반답교([[兩]]班[[踏]][[橋]]) === [[인명]] === * [[한다 레이]](班[[田]] [[玲]]) === [[지명#s-2]] === *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노곡면]] 상반천리ㆍ하반천리([[上]]ㆍ[[下]]班[[川]][[里]]) * [[경상남도]] [[진주시]] 미천면 반지리(班[[池]][[里]]) * 경상남도 진주시 일반성면ㆍ이반성면([[一]]ㆍ[[二]]班[[城]][[面]]) *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반포리(班[[浦]][[里]]) * [[충청남도]] [[공주시]] [[반죽동]](班[[竹]][[洞]]) * 충청남도 [[당진시]] 우강면 소반리([[小]]班[[里]]) === [[창작물]] === * [[양반전]]([[兩]]班[[傳]]) == 유의자 == * [[配]](나눌 배, 짝 배) * [[別]](다를 별, 나눌 별) * [[分]](나눌 분) * [[割]](벨 할) == 상대자 == * [[倂]](아우를 병) * [[合]](합할 합)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斑]](아롱질 반) * [[疈]](가를 벽) * [[辨]](분별할 변) [[분류:준6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