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甬}}}종꼭지 용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用|{{{#000,#fff 用}}}]], 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yǒ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甬은 ''''종꼭지 용''''이라는 [[한자]]이다. '종꼭지'라는 말이 심지어 국어사전에도 없기 때문에 무엇을 가리키는지 혼란스러울 수 있다. 고대 중국 동종(銅鐘)의 상부에는 마치 막대기 같은 것이 달렸다. 우리나라 전통 범종에 있는 음관(音管)과 달리 속이 막혔기에 딱 쇠 막대기처럼 보이는데, 이 부분을 용(甬)이라 부른다. 용의 아랫부분, 종의 몸체와 가까운 곳에는 선(旋)이라는 구멍이 있는데, 선에 고리를 끼워서 종을 틀에 매달아 [[편종]]이라는 악기로 사용했다. 이처럼 용이 달린 종을 용종(甬鍾), 뉴([[紐]])라는 고리가 달린 종을 유종(紐鍾)이라고 구분한다. 우리가 절에서 볼 수 있는 [[범종]]은 유종을 거대하게 만든 것이다. 우리나라의 국악에서는 [[편종]]도 작은 유종을 여러 개 걸어 만들지만, 중국에서는 여전히 작은 용종을 모아 만든다. 구글에서 한자로 甬鍾이라고 검색하면 용종 유물들의 사진이 쫙 뜨므로 참고하면 좋다. 사진을 보면 금방 이해된다. 아마도 우리네 조상들은 기물에 붙은 손잡이란 뜻으로 쓰이는 '꼭지'를 사용해서 '동종에 붙은 손잡이'란 뜻으로 '종꼭지'란 단어를 만들었을 것이다. 甬 자는 종꼭지란 뜻 외에도 하인이나 일꾼, 이런 이들이 하는 노동, (통{[[桶]]} 자와 통하여) 곡식의 양을 재는 용기란 뜻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52C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弓戈月手(NIBQ)으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용도(甬[[道]]): 양쪽으로 벽을 쌓아 만든 통로를 가리킨다. * 용통(甬[[筒]])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조용원(북한)|조용원]]([[趙]]甬[[元]]) * [[조용익]]([[趙]]甬[[翼]]) * [[최택용]]([[崔]][[宅]]甬) === [[지명#s-2]] === * [[진융철도]]([[金]]甬[[铁]][[路]]) * [[퉁쑤자융고속철도]]([[通]][[苏]][[嘉]]甬[[高]][[速]][[铁]][[路]]) * [[항융고속철도]]([[杭]]甬[[高]][[速]][[铁]][[路]])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𪔜]](북소리 동) * [[㼧]](수키와 동) * [[𪌻]](밀기울 부) * [[誦]](욀 송) * [[𠳀]](구열질날 용) * [[埇]](길돋울 용) * [[勇]]/[[恿]]/[[㦷]](날랠 용) * [[𨴭]](들어갈 용) * [[𧆿]](떳떳할 용)[* [[庸]](떳떳할 용)의 [[오탈자#s-1|와자]]] * [[踊]]/[[𧻹]](뛸 용) * [[𩛤]](먹을 용) * [[涌]](물솟을 용) * [[蛹]](번데기 용) * [[𣭲]](솜털 용) * [[硧]](숫돌 용, 갈 동) * [[鯒]](양태 용, 장갱이 통) * [[㛚]](여자의자 용, 가지런한모양 통) * [[勈]](용감할 용) * [[悀]](찰 용) * [[俑]](허수아비 용) * [[銿]](종 종) * [[捅]](나아갈 통, 칠 송) * [[筩]](대통 통, 전동 용) * [[㪌]](두드릴 통) * [[𥦁]](둥근구멍 통) * [[㷁]](불통 통) * [[桶]](통 통) * [[𢓶]](통할 통)[* [[通]](통할 통)의 [[고자(동음이의어)#s-7|고자]]] * [[𩒼]](머리아찔할 홍) * [[𡇮]](전) * [[𣗧]] * [[𪴷]] * [[𣵳]] * [[𦛸]] * [[𫈏]] * [[𧚔]] * [[𧗴]] * [[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