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음악]][[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분류:2020년 노래]] ||<-2> '''{{{-2 THE IDOLM@STER MILLION THE@TER WAVE 06 花咲夜}}}[br]Track 02. 百花は月下に散りぬるを[* 원문인 치리누루오散りぬるを는 [[이로하 노래]]의 가사에서 따온 구절이다. 국내에서는 흔히 '져버리거늘'으로 번역되며, '아름다운 꽃도 언젠가는 진다'에 초점이 맞춰진 의미이지 넓게 흩날리는 광경에 중점을 둔 의미가 아니다.][br]{{{-2 백화는 월하에 져버리거늘}}}'''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재킷-MTW 06.jpg|width=100%]]}}}|| || '''가수''' || 花咲夜[* [[에밀리 스튜어트]], [[텐쿠바시 토모카]], [[시라이시 츠무기]] ] || || '''작사''' ||<|2> 藤本記子 || || '''작곡''' || || '''편곡''' || 福富雅之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pup5IOySU4?end=10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22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BEE3E3 33%, #554171 33%, #554171 66%, #EBE1FF 66%)" '''샘플 버전 듣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oo7ejw9KrI)]}}}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6px 22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BEE3E3 33%, #554171 33%, #554171 66%, #EBE1FF 66%)" '''풀버전 듣기'''}}} ||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음반인 [[MILLION THE@TER WAVE#s-7|THE IDOLM@STER MILLION THE@TER WAVE 06]]에 수록된 [[에밀리 스튜어트]], [[텐쿠바시 토모카]], [[시라이시 츠무기]]의 트리오 유닛 하나사쿠야의 곡이다. 2020년 1월 19일 밀리시타 감사제 라이브에서 풀 버전이 선행 공연되었다. [[이로하 노래]]에서 인용한듯한 가사가 특징이다. ==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 == ||<-5>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수록곡|밀리시타의 수록곡]] 추가 순서''' || ||<#ffce01> '''[[Believe my change!|{{{#000 130. Believe my change!}}}]]''' || → ||<#ff4ea4> '''[[百花は月下に散りぬるを|{{{#fff 131. 百花は月下に散りぬるを}}}]]''' || → ||<#ffce01> '''[[スタ→トスタ→|{{{#000 132. スタ→トスタ→}}}]]''' || ||<-5>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이벤트/역대 이벤트 일람|밀리시타의 역대 이벤트곡]]''' || ||<#0470ff> '''[[俠気乱舞|{{{#fff 57차: 俠気乱舞}}}]]''' || → ||<#ff4ea4> '''[[百花は月下に散りぬるを|{{{#fff 58차: 百花は月下に散りぬるを}}}]]''' || → ||<#ffce01> '''[[メメント?モメント♪ルルルルル☆|{{{#000 59차: メメント?モメント♪ルルルルル☆}}}]]''' || ||<#ff4ea4><-6> '''{{{#fff 악곡 재킷 이미지}}}''' || ||<-6> [[파일:재킷-131 백화는 월하에 흩어지거늘.png|width=300]] || || '''라이브 코스''' || '''유닛/솔로[br]2MIX''' || '''유닛[br]4MIX''' || '''유닛[br]6MIX''' || '''유닛[br]MMIX''' || '''솔로[br]2MIX+''' || || '''레벨''' || 4 || 7 || 12 || 17 || 11 || || '''노트 수''' || 182 || 284 || 522 || 828 || 482 || ||<#ff4ea4><-6> '''{{{#fff 악곡 정보}}}''' || || '''타입''' || 프린세스 ||<#ffd7ed> '''길이''' || 2:10 ||<#ffd7ed> '''BPM''' || 178 || || '''구현일''' ||<-5>2020. 01. 20. || || '''해금 방법''' ||<-5>2020. 01. 28. 12:00 통상 해금 || || '''특이사항''' ||<-5> * [[밀리시타]] 오리지널 곡 * 무대 소품(부채)이 사용된 곡 * 유닛 라이브 트리오 스페셜 어필곡 || ||<-5> {{{#!wiki style="margin:-5px -10px" [youtube(Z6GJmyL1zSw)]}}} || ||<-5> '''표준 MV 배치''' (표준 의상: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의상/유닛#s-5.2|십육야 라디아타]]) || || 임의[br](MV 미등장) || [[텐쿠바시 토모카]] || [[에밀리 스튜어트]] || [[시라이시 츠무기]] || 임의[br](MV 미등장) || 밀리시타 역대 악곡 이벤트 중 58차 이벤트 곡이자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이벤트/Platinum Star Tour/2020년#s-2.1|28차 PSTour]] 이벤트 곡이다. === 코스별 채보 및 특징 === * [[https://lohas.nicoseiga.jp/o/cf0ad3114a8dd0586cb60bf42f012a098d9a8c45/1590843843/10034589|유닛 6MIX 코스 채보]] * [[https://lohas.nicoseiga.jp/o/648c2c4ca2d94553c2a5f81bef00ee251af2c25b/1590843842/10034584|유닛 MILLION MIX 코스 채보]] || [youtube(meya-Ax227Y)] || || '''유닛 MILLION MIX 코스 [[풀콤보]] 영상''' || MM 채보 기준으로 828개라는 물량을 자랑하는데 이는 등장 당시 밀리시타 전체 악곡 MM 채보 8위이며 그 중에서도 17레벨로 한정할 경우 2위라는[* 1위는 [[THE IDOLM@STER(곡)#s-5.2|THE IDOLM@STER 初星-mix]]. 2020년 11월 기준으로는 17레벨 한정 3위로, 나중에 나온 악곡인 [[黎明スターライン]]가 876개로 1위와 노트 수가 같다.] 정신나간 물량이다. 물론 2020년 11월 기준으로는 악곡이 쌓이면서 800 중후반대~900대 노트수인 악곡도 꽤 나온데다 16레벨 악곡 최강의 물량을 자랑하는 [[マイペース☆マイウェイ]][* 807노트로 16레벨 기준 독보적인 1위. 특히 이 곡은 라이브 시작 즉시 노트가 떨어져, 라이브 시작 후 가장 빨리 노트가 등장하는 악곡이기도 하다.] 같은 것도 튀어나와서 큰 특징이라 보기 어려워졌다. === 이벤트 커뮤 === || '''화수''' || '''제목''' || '''번역''' || || 프롤로그 || 프롤로그 || [[https://linesling.tistory.com/695| ]] || || 1화 || 深紫 花は違えど 藍ト瑠璃[br]짙은 보라빛, 꽃은 아니어도, 쪽빛 유리 || [[https://linesling.tistory.com/696| ]] || || 2화 || 三人で 文化を学ぶ Sunnyday♪[br]세 사람이, 문화를 배운, Sunny Day♪ || [[https://linesling.tistory.com/696| ]] || || 3화 || 言の葉を [[시라이시 츠무기|紡ぎ]]重ねる 和の心[br]한 마디씩, 쌓아나가는, 일본의 마음가짐 || [[https://linesling.tistory.com/697| ]] || || 4화 || 知らず花 蔭に咲く[[텐쿠바시 토모카|とも  顧]]みる[br]모르는 꽃, 그늘에서 피더라도, 다시 돌아봐 || [[https://linesling.tistory.com/697| ]] || || 5화 || 君がため 優しい微[[에밀리 스튜어트|笑み 両]]どなり[br]당신을 위해, 상냥한 미소, 함께 만들어 || [[https://linesling.tistory.com/698| ]] || || 6화 || ご覧あれ ファンの心は 花三枝[br]보십시오, 팬의 마음은, 세갈래 꽃 || [[https://linesling.tistory.com/698| ]] || || 에필로그 || だけどおもちは 美味しすぎ哉[br]하지만 떡은 너무 달달하여라 || [[https://linesling.tistory.com/711| ]] || 이벤트 커뮤 각 화의 제목은 [[하이쿠]]처럼 5.7.5 형식을 지키고 있다. 특히 3, 4, 5화 제목에는 각각 츠무기, 토모카, 에밀리의 이름 발음이 포함되어 있다. === 이벤트 비주얼 === [[파일:이벤트-투어 28차 비주얼.png]] == 가사 == |||| 캐릭터 이미지컬러 || ||<#554171>|| 에밀리 || ||<#BEE3E3> || 토모카 || ||<#EBE1FF> || 츠무기 || ||<#eee> || 합창 || ||||<#999>{{{#554171 おぼろ月 [ruby(薄衣, ruby=うすぎぬ)]を解いて}}}{{{#BEE3E3 (脱いで)}}} {{{#554171 오보로즈키 우스기누오토이테}}}(누이데) {{{#554171 으스름한 달 박의를 풀고}}} {{{#EBE1FF (벗고)}}} {{{#554171 祝宴の始まり告げる 슈쿠엔노하지마리츠게루 축연의 시작을 알리네}}} {{{#BEE3E3 (豪華絢爛に 万雷喝采を)}}} (고우카켄란니 반라이갓사이오) {{{#EBE1FF (호화찬란히 만뢰갈채를)}}} {{{#EBE1FF 唇は 薄紅まとって}}}{{{#554171 (笑んで)}}} {{{#EBE1FF 쿠치비루와 우스베니마톳테}}}(엔데) {{{#EBE1FF 입술은 박홍빛을 두르고}}}{{{#BEE3E3 (미소하고)}}} {{{#EBE1FF 言の葉と戯る 코토노하토타와무루 말로서 희롱하네}}} {{{#554171 (今宵 心果てるまで)}}} (코요이 코코로하테루마데) {{{#BEE3E3 (오늘 밤 마음이 다할 때까지)}}} {{{#BEE3E3 花色めき 匂えども散りぬるを 하나이로메키 니오에도모치리누루오 꽃은 여물고 향기날지언정 져버리거늘 与えられし定めを 袂に忍ばせ 아타에라레시사다메오 타모토니시노바세 부여받은 숙명을 소맷자락에 숨긴 채}}} {{{#554171 踊りましょ ちん}}}・{{{#EBE1FF とん}}}・{{{#BEE3E3 しゃん}}} {{{#554171 오도리마쇼 칭}}}・{{{#EBE1FF 통}}}・{{{#BEE3E3 샹}}} {{{#554171 춤추세나 칭}}}・{{{#EBE1FF 통}}}・{{{#BEE3E3 샹}}}[* 칭통샹은 샤미센 소리를 표현하는 말이다. 보통 칭은 세번째 줄을 누르는 소리, 통은 두번째 줄을 놓는 소리, 샹은 첫번째 줄과 두번째 줄을 동시에 튕기는 소리를 나타낸다.] 琴の音が逸りだす 코토노네가하야리다스 금의 선율이 퍼져나가네 百花繚乱に[ruby(扇, ruby=せん)]が舞う ヒラヒラと 햣카료우란니센가마우 히라히라토 백화요란에 부채가 노니네 하늘하늘 常ならぬこの生命 {{{#554171 たわわに}}} {{{#BEE3E3 咲かせて}}} 츠네나라누코노이노치 {{{#554171 타와와니}}} {{{#BEE3E3 사카세테}}} 영원치 않은 이 목숨 {{{#554171 싱그러이}}} {{{#BEE3E3 피워내며}}} 一途全を尽くし 生きるのが [ruby(雅事, ruby=みやびごと)] 잇토젠오츠쿠시 이키루노가 미야비고토 외길 전부를 불살라 사는 것이 풍취이거늘 {{{#EBE1FF [ruby(来世, ruby=いつか)]を願うより {{{#554171 [ruby(旬, ruby=とき)]は今}}} 이츠카오네가우요리 {{{#554171 토키와이마}}} 내세를 바라 무엇하리 {{{#554171 때는 지금일진대}}}}}} {{{#BEE3E3 可憐に いっそ 散って本望 카렌니 잇소 칫테혼보우 가련히 아예 져버린들 본망}}} 夢幻 飾って 月下堂々 무겐 카잣테 겟카도우도우 몽환 치장하고 월하당당 {{{#BEE3E3 月見鳥 [ruby(静寂, ruby=しじま)]を払って}}}{{{#554171 (さらって)}}} {{{#BEE3E3 츠키미도리 시지마오하랏테}}}(사랏테) {{{#BEE3E3 달맞이새 정적을 내쫓고}}}{{{#EBE1FF (휩쓸고)}}} {{{#BEE3E3 祝宴を麗らに染める 슈쿠엔오우라라니소메루 축연을 활기차게 북돋네}}} {{{#554171 (桜華爛漫に 上々感嘆を)}}} 오우카란만니죠우죠우칸탄오 {{{#EBE1FF 앵화난만에 극상감탄을}}} {{{#554171 結い髪は 香りを放って{{{#BEE3E3 (撒いて)}}}}}} {{{#554171 유이가미와 카오리오하낫테}}} (마이테) {{{#554171 틀은 머리는 향기를 발하고{{{#EBE1FF (뿌리고)}}}}}} {{{#554171 [ruby(闌, ruby=たけなわ)]へと誘う 타케나와에토사소우 무르익음으로 이끄네}}} {{{#BEE3E3 (どうぞ 心を預けて)}}} (도우조 코코로아즈케테) {{{#EBE1FF (부디 마음을 맡기시길)}}} {{{#EBE1FF 三つの影が 集いしは夢舞台 미츠노카게가 츠도이시와유메부타이 세 그림자가 모였을지니 꿈의 무대 結びあえた[ruby(縁, ruby=えにし)]に 歓び重ねて 무스비아에타에니시니 요로코비카사네테 서로 맺어진 인연에 기쁨을 더하며}}} {{{#BEE3E3 唄いましょ とん}}}・{{{#EBE1FF てん}}}・{{{#554171 しゃん}}} {{{#BEE3E3 우타이마쇼 통}}}・{{{#EBE1FF 텡}}}・{{{#554171 샹}}} {{{#BEE3E3 노래하세나 통}}}・{{{#EBE1FF 텡}}}・{{{#554171 샹}}} 風車回りだす 카자구루마마와리다스 바람개비 돌기 시작하네 百花繚乱に風が[ruby(啼, ruby=な)]く ヒュルリラと 햣카료우란니카제가나쿠 휴루리라토 백화요란에 바람이 지지네 휠릴리 目に映るこの姿 {{{#EBE1FF 綺麗で}}} {{{#554171 いさせて}}} 메니우츠루코노스가타 {{{#EBE1FF 키레이데}}} {{{#554171 이사세테}}} 눈에 비치는 이 자태 {{{#EBE1FF 아름답게}}} {{{#554171 남게 해주길}}} 目下全をかけて 生きるのが [ruby(雅事, ruby=みやびごと)] 못카젠오카케테 이키루노가 미야비고토 목하 전부를 걸어 사는 것이 풍취이거늘 {{{#EBE1FF 刹那を悔やむより {{{#BEE3E3 [ruby(旬, ruby=とき)]は今}}} 세츠나오쿠야무요리 {{{#BEE3E3 토키와이마}}} 찰나를 한탄해 무엇하리 {{{#BEE3E3 때는 지금일진대}}}}}} {{{#554171 互いに 哀を 背負って今生 타가이니 아이오 세옷테콘죠우 서로에게 비애를 짊어지고 금생}}} 願い 契って 月下堂々 네가이 치깃테 겟카도우도우 소원 약조하고 월하당당 {{{#554171 舞い踊れや ちん・とん・しゃん 마이오도레야 칭・통・샹 춤추며 노니세 칭・통・샹}}} {{{#BEE3E3 (舞い踊れや ちん・とん・しゃん)}}} (마이오도레야 칭・통・샹) {{{#EBE1FF (춤추며 노니세 칭・통・샹)}}} {{{#EBE1FF さぁ唄えや とん・てん・しゃん 사아우타에야 통・텡・샹 자아 노래하세 통・텡・샹}}} {{{#554171 (さぁ唄えや とん・てん・しゃん)}}} (사아우타에야 통・텡・샹) {{{#BEE3E3 (자아 노래하세 통・텡・샹)}}} {{{#BEE3E3 舞い踊れや ちん・とん・しゃん 마이오도레야 칭・통・샹 춤추며 노니세 칭・통・샹}}} {{{#554171 (舞い踊れや ちん・とん・しゃん)}}} (마이오도레야 칭・통・샹) {{{#EBE1FF (춤추며 노니세 칭・통・샹)}}} ひふみ夜に狂い咲く[* 히후미요니ひふみ夜に 구절은 발음만 보았을 때는 [[히후미#s-2|히후미 축사]]의 도입부인 '''히후미요이'''무나야코토'''ひふみよい'''むなやこと와 유사하다. 또한 의미로 따져보았을 때는 하나-둘-셋을 헤아리는 의미로도, 밤에 히후미 축사의 노랫소리가 들린다는 의미로도 해석해볼 수 있다.] 히후미요니쿠루이사쿠 히후미 밤에 철겹게 피네 百花繚乱に[ruby(扇, ruby=せん)]が舞う ヒラヒラと 햣카료우란니센가마우 히라히라토 백화요란에 부채가 노니네 하늘하늘 常ならぬこの生命 {{{#EBE1FF たわわに}}} {{{#554171 咲かせて}}} 츠네나라누코노이노치 {{{#EBE1FF 타와와니}}} {{{#554171 사카세테}}} 영원치않은 이 목숨 {{{#EBE1FF 싱그러이}}} {{{#554171 피워내며}}} 一途全を尽くし 生きるのが [ruby(雅事, ruby=みやびごと)] 잇토젠오츠쿠시 이키루노가 미야비고토 외길 전부를 불살라 사는 것이 풍취이거늘 {{{#554171 [ruby(来世, ruby=いつか)]を願うより {{{#BEE3E3 [ruby(旬, ruby=とき)]は今}}} 이츠카오네가우요리 {{{#BEE3E3 토키와이마}}} 내세를 바라 무엇하리 {{{#BEE3E3 때는 지금일진대}}}}}} {{{#EBE1FF 可憐に いっそ 散って本望 카렌니 잇소 칫테혼보우 가련히 아예 져버린들 본망}}} 夢幻 飾って 月下堂々 무겐 카잣테 겟카도우도우 몽환 치장하고 월하당당 {{{#554171 月明かり 遍く照らして 츠키아카리 아마네쿠테라시테 찬란한 달빛 너른하게 드리우고}}} {{{#BEE3E3 ひふみ夜に 歌声灯る 히후미요니 우타고에토모루 히후미 밤에 노랫소리 밝히네}}} {{{#EBE1FF 月明かり 三つ影揺らして[* 미츠카게三つ影는 단어 그대로 직역하면 '세 개의 그림자'이지만, 여기서는 광경光景(코우케이こうけい)을 다르게 읽은 '미츠카게'도 의도한 것으로 보인다.] 츠키아카리 미츠카게유라시테 찬란한 달빛 세 그림자를 흔들고}}} ひふみ夜に 歌声響く 히후미요니 우타고에히비쿠 히후미 밤에 노랫소리 울리네|| == 드라마 파트 == 번역은 [[http://sopa.egloos.com/1225006|여기로]]. == 관련 문서 == *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수록곡|밀리시타의 수록곡]] * [[MILLION THE@TER WAVE#s-7|MILLION THE@TER WAVE 06]] * [[矛盾の月]] * [[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이벤트/Platinum Star Tour/2020년#s-2.1|PSTour ~백화는 월하에 져버리거늘~]] * [[에밀리 스튜어트/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s-3.17|SR [하나사쿠야] 에밀리 스튜어트]] * [[시라이시 츠무기/아이돌 마스터 밀리언 라이브! 시어터 데이즈#s-3.14|SR [하나사쿠야] 시라이시 츠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