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祕}}}숨길 비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示|{{{#000,#fff 示}}}]], 5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0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4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ヒ{{{#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ひ-める, {{{#c88 かく-す, ひそ-か}}}}}}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bì, mì{{{#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祕는 ''''숨길 비''''라는 [[한자]]로, '숨기다', '감추다', '[[비밀]](祕密)'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숨기다 || || {{{-1 '''음'''}}} ||비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bì, mì || || {{{-1 '''[[광동어]]'''}}} ||bei^^3^^ || || {{{-1 '''[[객가어]]'''}}} ||pi || || {{{-1 '''[[민동어]]'''}}} ||bé || || {{{-1 '''[[민남어]]'''}}} ||pì || || {{{-1 '''[[오어]]'''}}} ||pi(T2) || ||<-3> || ||<|2> '''[[일본어]]''' || {{{-1 '''음독'''}}} ||ヒ || || {{{-1 '''훈독'''}}} ||ひ-める, {{{#c88 かく-す, ひそ-か}}} || ||<-3> || ||<-2> '''[[베트남어]]''' ||bí || [[유니코드]]에는 U+795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IFPH(戈火心竹)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示]](보일 시)와 소리를 나타내는 [[必]](반드시 필)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체자]]로 示 대신 [[禾]](벼 화)를 부수로 하는 秘[* U+79D8, 창힐수입법 竹木心竹(HDPH)]가 있다. 단순히 왼쪽의 示를 흘려 쓴 결과가 秘이다. 한국에서는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에서 표준 자형을 '祕'로 삼고 있기는 하나, 정작 [[완성형]] 한자 코드에서는 秘가 KS X 1001(한자 변환시 앞에 출력, 검은색)로 배당된 반면, 祕는 KS X 1002(한자 변환시 뒤에 출력, 파란색)로 배당되었다.[* 이와 반대의 경우는 稟/禀(여쭐 품, 곳집 름)이 있는데, 정자인 稟가 완성형에, 속자인 禀가 확장형에 배당되어 있다.] 현대 한국에선 비교적 한자를 쓸 일이 드물기는 하지만, 쓸 경우에는 이 두 자형이 딱히 관계없이 혼용된다. == 용례 == === [[단어]] === * [[극비]]([[極]]祕) * [[변비]]([[便]]祕) * 변비증([[便]]祕[[症]]) * [[비결#s-1]](祕[[訣]]) * [[토정비결]]([[土]][[亭]]祕[[訣]]) * [[비경]](祕[[境]]) * [[비닉]](祕[[匿]]) * [[비밀]](祕[[密]]) * 비밀리(祕[[密]][[裏]]) * 비법(祕[[法]]) * [[비서]](祕[[書]]) * [[비서관]](祕[[書]][[官]]) * [[비서실장]](祕[[書]][[室]][[長]]) * 비원(祕[[苑]]) * [[비장]](祕[[藏]]) * [[비전]](祕[[傳]]) * 비책(祕[[策]]) * 비화(祕[[話]]) * [[신비]]([[神]]祕) * 은비([[隱]]祕) === [[고사성어]]/[[숙어]] === * 기모비계([[奇]][[謀]]祕[[計]]) * 물비소시([[勿]]祕[[昭]][[示]]) * 비불발설(祕[[不]][[發]][[說]]) * 수비의무([[守]]祕[[義]][[務]]) * 장종비적([[藏]][[蹤]]祕[[迹]]) * 천장지비([[天]][[藏]][[地]]祕) * 청낭비결([[靑]][[囊]]祕[[訣]]) * 휘지비지([[諱]][[之]]祕[[之]]) === [[인명]] === * [[히메가미 사쿠야]](秘[[上]] [[佐]][[久]][[夜]]) * [[전설 시리즈#s-3.2.2|히비키 마바라]](秘々[[木]] まばら) === [[지명#s-2]] === === [[창작물]] === * [[秘密の花園]](비밀의 화원) * [[秘封活動記録 -月-]] * [[Love Talk|Love Talk(秘語)]] === 기타 === * [[비계(동음이의어)#s-4|비계]](祕[[計]]) == 유의자 == * [[匿]]/[[慝]](숨길 닉) * [[擋]](숨길 당) * [[密]](빽빽할 밀)[* 빽빽하다는 뜻 외에 '숨기다', '은밀(隱'''密''')하다'라는 뜻이 있다.] * [[𧭎]]^^[⿰言僕]^^(숨길 복) * [[㚒]](숨길 섬) * [[廋]](숨길 수) * [[揞]](숨길 암) * [[𢔂]]^^[⿰彳奄]^^(숨길 엄) * [[桽]](숨길 온) * [[隱]](숨을 은) * [[潛]](잠길 잠) * [[㪆]](숨길 저) * [[蟄]](숨을 칩) * [[諱]](숨길/꺼릴 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𥹅]]^^[⿰米必]^^(죽 멸) * [[䛑]](고요할 밀)[* [[謐]](고요할 밀)의 [[동자#s-2]]] * [[䟤]](발길질할 별) * [[䏟]](살찐고기 별) * [[䀣]]/[[䎵]](똑바로볼 비) * [[泌]](분비할 비, 스며흐를 필) * [[秘]](숨길 비) * [[柲]](자루 비/필) * [[㧙]](찌를 비/필, 비틀 별) * [[䪐]](활도지개 비) * [[䖩]](검은벌 필) * [[𨠔]]^^[⿰酉必]^^(다마실 필) * [[駜]](말살찔 필) * [[鮅]](상피리 필) * [[怭]](설만할 필) * [[䩛]](수레의밧줄 필) * [[妼]](엄전할 필) * [[飶]](음식의향기 필) * [[𢁽]]^^[⿰巾必]^^(장막 필) * [[佖]](점잖을/가득할 필) * [[袐]](찌를 필) * [[鉍]](창자루 필) * [[珌]](칼집장식옥 필) * [[馝]]/[[𪏺]]^^[⿰黍必]^^(향기로울 필) * [[咇]](향내날 필) * [[𨸼]]^^[⿰⻖必]^^(비) * [[𦣥]]^^[⿰臣必]^^(비) * [[𰀜]]^^[⿰歪必]^^ * [[𪣊]]^^[⿰土必]^^ * [[𤇩]]^^[⿰火必]^^ * [[𪰗]]^^[⿰日必]^^ * [[𰠜]]^^[⿰片必]^^ * [[𪴸]]^^[⿰⿱止土必]^^ * [[𪬤]]^^[⿰息必]^^ * [[𭞇]]^^[⿰亭必]^^ * [[𱟣]]^^[⿰扁必]^^ * [[𥑖]]^^[⿰石必]^^ * [[𮈊]]^^[⿰糸必]^^ * [[𰯾]]^^[⿰舌必]^^ * [[𬨘]]^^[⿰辛必]^^ * [[𰸽]]^^[⿰身必]^^ * [[𲂬]]^^[⿰貝必]^^ * [[𩨲]]^^[⿰骨必]^^ == 여담 == * [[1 대 100]]에서 '변비'의 '비'가 어떤 [[한자]]인지 맞히는 문제가 나오기도 했다. 보기는 [[非]](아닐 비), [[悲]](슬플 비), [[秘]](숨길 비)였으며 답은 秘(숨길 비)였다. [[분류:4급 한자]][[분류:속자로 잘못 알려진 본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