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祚}}}복 조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示|{{{#000,#fff 示}}}]],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0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ソ}}}}}}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くらい, さいわ-い, とし}}}}}}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uò{{{#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祚는 ''''복 조''''라는 [[한자]]로, '복([[福]])', '행복'을 뜻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示]](보일 시)와 음을 나타내는 [[乍]](잠깐 사)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는 U+795A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戈火竹尸(IFHS)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연조([[年]]祚) * 운조([[運]]祚)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권두조]]([[權]][[斗]]祚) * [[김남조]]([[金]][[南]]祚) * [[김동조]]([[金]][[東]]祚) * [[김승조]]([[金]][[承]]祚) * [[대조영]]([[大]]祚[[榮]]) * [[송병조]]([[宋]][[秉]]祚) * [[오정조]]([[吳]][[廷]]祚) * [[온조왕]]([[溫]]祚[[王]]) * [[연태조]]([[淵]][[太]]祚) * [[장호조]]([[張]][[鎬]]祚) * [[정찬조(1868)|정찬조]]([[鄭]][[燦]]祚) * [[천조제]]([[天]]祚[[帝]]) * [[황영조]]([[黃]][[永]]祚) === [[지명#s-2]] === * [[가조면]]([[加]]祚[[面]]) === [[창작물]] === == 유의자 == * [[福]](복 복) * [[祐]](복 우) * [[祉]](복 지) * [[幸]](다행 행) * [[祜]](복 호) * [[禧]](복 희) == 상대자 == * [[眚]](흐릴/재앙 생) * [[殃]](재앙 앙) * [[厄]](액 액) * [[孼]](서자 얼)[* '서자(庶子)' 이외에 '재앙'이라는 뜻도 있다.] * [[災]](재앙 재) * [[禍]](재앙 화)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砟]](빗돌 사) * [[詐]](속일 사) * [[咋]](잠깐 사) * [[齚]](물 색) * [[泎]](물 떨어지는 소리 색) * [[鮓]](생선젓 자) * [[鈼]](가마솥 작) * [[柞]](떡갈나무 작) * [[飵]](먹을 작) * [[秨]](벼가 흔들리는 모양 작) * [[怍]](부끄러워할 작) * [[𢂃]](붉은 종이 작) * [[㸲]](산의 소 작) * [[䋏]](새끼줄 작) * [[妰]](얌전할 작) * [[昨]](어제 작) * [[䝫]](재물 작) * [[𥹁]](정백미 작) * [[作]](지을 작) * [[炸]](터질 작) * [[䩆]](늙을 잔) * [[𧲮]](발 없는 짐승 잔) * [[拃]](쥐어짤 잔) * [[阼]](동편섬돌 조) * [[𧙓]](복 조) * [[胙]](제육 조) * [[𨋘]](차열하는 형벌 차) * [[蚱]](메뚜기 책) * [[舴]](작은 배 책) * [[酢]](초 초) * [[𧯤]](두) * [[𦥬]](작) * [[𪌟]](책) * [[𠖽]] * [[𠔫]] * [[𥅁]] * [[𧣝]]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