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稻}}}벼 도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禾|{{{#000,#fff 禾}}}]], 1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5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3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トウ{{{#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いね, (いな){{{#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dào{{{#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稻는 ''''벼 도''''라는 [[한자]]로, '[[벼]]'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벼 || || {{{-1 '''음'''}}} ||도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dào || || {{{-1 '''[[광동어]]'''}}} ||dou^^6^^ || || {{{-1 '''[[객가어]]'''}}} ||tho || || {{{-1 '''[[민북어]]'''}}} ||tāu || || {{{-1 '''[[민동어]]'''}}} ||dô̤[*文 [[문독]]] / dêu[*白 [[백독]]] || || {{{-1 '''[[민남어]]'''}}} ||tō[*文] / tiū[*白] || || {{{-1 '''[[오어]]'''}}} ||dau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トウ || || {{{-1 '''훈독'''}}} ||いね, (いな) || ||<-3> || ||<-2> '''[[베트남어]]''' ||đạo || [[유니코드]]에는 U+7A3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DBHX(竹木月竹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소리를 나타내는 [[舀]](퍼낼 요)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갱도#s-2]]([[秔]]稻/[[粳]]稻) * 황갱도([[黃]][[粳]]稻) * 건도([[乾]]稻) * 공도([[公]]稻) * 도고(稻[[藁]]) * 도급기(稻[[扱]][[機]]) * 도묘(稻[[苗]]) * 도미(稻[[米]]) * 갱도미([[粳]]稻[[米]]) * 산도미([[山]]稻[[米]]) * 신도미([[新]]稻[[米]]) * 도손(稻[[孫]]) * 도식(稻[[植]]) * [[도열병]](稻[[熱]][[病]]) * 도작(稻[[作]]) * 도전(稻[[田]]) * 도충(稻[[蟲]]) * 매전매답 욕끽도반([[賣]][[田]][[買]][[畓]] [[欲]][[喫]]稻[[飯]]) * 산도([[山]]稻) * 우득산도([[牛]][[得]][[山]]稻) * 점산도([[粘]][[山]]稻) * [[수도#s-4]]([[水]]稻) * [[신도주]]([[新]]稻[[酒]]) * 앙도([[秧]]稻) * 전도([[田]]稻) * 제덕도반([[祭]][[德]]稻[[飯]]) * 종도([[種]]稻) * 주여도반([[走]][[與]]稻[[飯]]) * 주여도반 구위편리([[走]][[與]]稻[[飯]] [[俱]][[爲]][[便]][[利]]) * 중도([[中]]稻) * 한도([[旱]]稻) === [[고사성어]]/[[숙어]] === * 도숙황만야 춘래록편산(稻[[熟]][[黃]][[滿]][[野]] [[春]][[來]][[綠]][[遍]][[山]]) * 입도선매([[立]]稻[[先]][[賣]]) === [[인명]] === * [[니토베 이나조]]([[新]][[渡]][[戸]] 稲[[造]]) * [[니토베 이나키치]]([[新]][[渡]][[米]] 稲[[吉]]) * [[아사누마 이네지로]]([[浅]][[沼]] 稲[[次]][[郎]]) * [[이나게 나츠]](稲[[毛]] [[夏]]) * [[이나미네 카즈이치]](稲[[嶺]] [[和]][[市]]) * [[이나바 마나카]](稲[[場]] [[愛]][[香]]) * [[이나바 아츠노리]](稲[[葉]] [[篤]][[紀]]) * [[이나바 쿠모리]](稲[[葉]] [[曇]]) * [[이나바 유우]](稲[[葉]] [[友]]) === [[지명#s-2]] === * [[와세다대학|와세다]]([[早]]稲[[田]]): [[일본]] [[도쿄도]] [[신주쿠구]]의 지명. * [[이나기나가누마역]](稲[[城]][[長]][[沼]][[駅]]) * [[전라북도]] [[김제시]] [[도작로]](稻[[作]][[路]]) === [[창작물]] === * [[お願い!コンコンお稲荷さま]] === 기타 === == 유의자 == * [[𥝿]]^^[⿰禾加]^^(벼 가) * [[稧]](벼 계) * [[秏]](벼 모) * [[𥤟]]^^[⿰禾鹽]^^(벼 염) * [[籾]](벼 인) * [[秥]](벼 점) * [[䊘]](벼 주) * [[𥞅]]^^[⿰禾此]^^(벼 채) * [[𥢕]]^^[⿰禾粟]^^(벼 표) * [[䅂]](벼 학) * [[禾]](벼 화)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轁]](가기힘들 감, 감출 도) * [[塪]](구덩이 감)[* [[坎]](구덩이 감)의 [[오탈자#s-1|와자]]] * [[㗖]](먹을 담) * [[韜]](감출 도) * [[鞱]](감출/활집 도) * [[槄]](개오동나무 도) * [[𦗌]]^^[⿰耳舀]^^(귀이개 도) * [[慆]](기뻐할 도) * [[搯]](꺼낼 도) * [[縚]](끈 도) * [[饀]](떡소 도) * [[滔]](물넘칠 도) * [[𦩹]]^^[⿰舟舀]^^(배 도/요)[* [[䑬]](배 도/요)의 [[동자#s-2]]] * [[蹈]](밟을 도) * [[嫍]](여자의자 도) * [[䵚]](옥수수 도) * [[瑫]](옥이름 도) * [[謟]](의심할 도) * [[𩥅]](천천히가는모양 도) * [[幍]](칼전대 도, 모자 흡) * [[䤾]](함 도) * [[𠋯]]^^[⿰亻舀]^^(웅대할 빌, 많고클 필) * [[熖]](불꽃 염)[* [[焰]](불꽃 염)의 [[속자]]] * [[𠮐]]^^[⿰叕舀]^^(병아리소리 출) * [[𨢝]]^^[⿰酉舀]^^(떡소 함)[* [[餡]](떡소 함)의 [[동자#s-2]]] * [[䧟]](빠질 함)[* [[陷]](빠질 함)의 [[오탈자#s-1|와자]]] * [[𡺫]]^^[⿰山舀]^^ * [[𭗧]]^^[⿰岸舀]^^ * [[𭧏]]^^[⿰日舀]^^ * [[𰗋]]^^[⿰月舀]^^ * [[𥛗]]^^[⿰示舀]^^ * [[𥔿]] * [[𥉰]]^^[⿰目舀]^^ * [[𭻷]]^^[⿰留舀]^^ * [[𲀾]]^^[⿰衤舀]^^ * [[𮇷]]^^[⿰米舀]^^ * [[𬚁]]^^[⿰善舀]^^ * [[𩹴]]^^[⿰魚舀]^^ [[분류: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