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穆}}}화목할 목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禾|{{{#000,#fff 禾}}}]], 11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ボク, モ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やわ-らぐ}}}}}}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mù{{{#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穆은 ''''화목할 목''''이라는 [[한자]]로, '화목(和穆)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A46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木竹日竹(HDHAH)으로 입력한다. 동자인 [[睦]](화목할 목)과 역사적으로 통용되어 왔지만, 단어의 폭이 협소하다. 통용되는 글자가 있으면 더 자주 쓰이는 글자가 나오는 건 당연하기 때문. 그래서 그런지 이 한자는 2급이다. 뜻을 나타내는 [[禾]](벼 화)와 음을 나타내는 [[㣎]](잔 무늬 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본래 [[벼]]를 뜻했으나 㣎의 뜻으로 가차되었고, 이후 [[睦]]과 통용돼 '화목하다', '온화하다'를 뜻하게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목공(穆[[公]]) * [[목릉]](穆[[陵]]) * [[목조]](穆[[祖]]) * [[목종]](穆[[宗]]) * [[소목]]([[昭]]穆) * 이목([[怡]]穆) * 청목([[淸]]穆) * [[무슬림|목사림]][*중국어 중국식 음차](穆[[斯]][[林]]) === [[고사성어]]/[[숙어]] === * 낙락목목([[落]][[落]]穆穆) === [[인명]] === * [[김덕목]]([[金]][[德]]穆) * [[맹특목]]([[孟]][[特]]穆) * [[목도루]](穆[[度]][[婁]]): [[고구려]] [[태조대왕]]대의 좌보 * [[목인덕]](穆[[麟]][[德]]): 밀렌도르프(Moellendorff)의 [[음역(번역)|음역]] * [[목춘]](穆[[春]]) * [[목홍]](穆[[弘]]) * [[문양목]]([[文]][[讓]]穆) * [[서상목]]([[徐]][[相]]穆) * [[신중목]]([[愼]][[重]]穆) * [[이목희]]([[李]]穆[[熙]]) * [[인목왕후]]([[仁]]穆[[王]][[后]]) * [[충목왕]]([[忠]]穆[[王]]) * [[홍순목(조선)|홍순목]]([[洪]][[淳]]穆): 조선 후기의 문신 * [[허목]]([[許]]穆) == 유의자 == * [[睦]](화목할 목)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秒]](분초 초) [[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