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 [ruby(竈, ruby=かま)][ruby(門, ruby=ど)][ruby(襧, ruby=ね)][ruby(豆, ruby=ず)][ruby(子, ruby=こ)]のうた[br]카마도 네즈코의 노래}}}'''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竈門襧豆子のうた.jpg|width=100%]]}}} || || '''노래''' || [[나카가와 나미]] || || '''작곡''' || [[시이나 고]] || || '''수록 차수''' || [[귀멸의 칼날: 도공 마을편]] 11화 || [목차] [clearfix] == 개요 == [[귀멸의 칼날: 도공 마을편|귀멸의 칼날 TVA 3기]] 11화 후반부에 수록된 노래. [[네즈코]]가 태양을 극복한 시점을 은은한 피아노 반주를 추가한 잔잔한 분위기의 곡으로 표현해내었다. == 영상 == === CM === ||<#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8919369)]}}} || == 가사 == ||<:> [ruby(途切, ruby=とぎ)]れ[ruby(途切, ruby=とぎ)]れに[ruby(浮, ruby=う)]かんでくる 띄엄띄엄 떠올라 [ruby(優, ruby=やさ)]しい[ruby(思, ruby=おも)]い[ruby(出, ruby=で)] 다정한 추억 あの[ruby(日, ruby=ひ)][ruby(見, ruby=み)]てた[ruby(夢, ruby=ゆめ)]の[ruby(欠片, ruby=かけら)] 그날 본 꿈의 한 조각 [ruby(今, ruby=いま)]もこの[ruby(胸, ruby=むね)]に 지금도 이 마음속에 [ruby(私, ruby=わたし)]は[ruby(思, ruby=おも)]う 나는 생각해 [ruby(大切, ruby=たいせつ)]なのは『[ruby(今, ruby=いま)]』なんだよ 소중한 건 "지금"이라고 [ruby(前, ruby=まえ)]を[ruby(向, ruby=む)]かおう 앞을 향해 가자 お[ruby(日, ruby=ひ)][ruby(様, ruby=さま)][ruby(燦, ruby=さん)]々と 해님이 반짝거리고 [ruby(弾, ruby=はじ)]ける[ruby(笑顔, ruby=えがお)][ruby(爛, ruby=らん)]々と 터져 나오는 미소는 빛나 [ruby(大切, ruby=たいせつ)]な[ruby(絆, ruby=きずな)]は[ruby(消, ruby=き)]えることはない 소중한 인연은 사라지지 않아 [ruby(途切, ruby=とぎ)]れ[ruby(途切, ruby=とぎ)]れに[ruby(浮, ruby=ふ)]かんでくる 띄엄띄엄 떠올라 [ruby(優, ruby=やさ)]しい[ruby(思, ruby=おも)]い[ruby(出, ruby=で)] 다정한 추억 あの[ruby(日, ruby=ひ)][ruby(見, ruby=み)]てた[ruby(夢, ruby=ゆめ)]の[ruby(欠片, ruby=かけら)] 그날 본 꿈의 한 조각 [ruby(今, ruby=いま)]もこの[ruby(胸, ruby=むね)]に 지금도 이 마음속에 [ruby(私, ruby=わたし)]は[ruby(思, ruby=おも)]う 나는 생각해 [ruby(大切, ruby=たいせつ)]なのは『[ruby(今, ruby=いま)]』なんだよ 소중한 건 "지금"이라고 [ruby(前, ruby=まえ)]を[ruby(向, ruby=む)]かおう 앞을 향해 가자 お[ruby(日, ruby=ひ)][ruby(様, ruby=さま)][ruby(燦, ruby=さん)]々と 해님이 반짝거리고 [ruby(弾, ruby=はじ)]ける[ruby(笑顔, ruby=えがお)][ruby(爛, ruby=らん)]々と 터져 나오는 미소는 빛나 [ruby(大切, ruby=たいせつ)]な[ruby(絆, ruby=きずな)]は[ruby(消, ruby=き)]えることはない 소중한 인연은 사라지지 않아 [ruby(途切, ruby=とぎ)]れ[ruby(途切, ruby=とぎ)]れ[ruby(浅, ruby=あさ)]い[ruby(眠, ruby=ねむ)]り 띄엄띄엄 얕은 잠 [ruby(明日, ruby=あした)][ruby(隠, ruby=かく)]れる 내일을 향한 마음은 넘쳐 あの[ruby(日, ruby=ひ)][ruby(見, ruby=み)]てた[ruby(空, ruby=そら)]の[ruby(青, ruby=あお)]さ 그날 본 푸른 하늘 いつかその[ruby(中, ruby=なか)]で 언젠가 그 안으로 だれかのせいにしたいの? 누가 잘못한 탓으로 돌리고 싶은 거야? [ruby(無限, ruby=むげん)]の[ruby(透明, ruby=とうめい)]さ 무한하게 투명한 みんなとともにさせて 모두와 함께 있게 해줘 この[ruby(胸, ruby=むね)]に[ruby(限, ruby=かぎ)]りない 이 마음에 영원히 お[ruby(日, ruby=ひ)][ruby(様, ruby=さま)][ruby(燦, ruby=さん)]々と 해님이 반짝거리고 [ruby(弾, ruby=はじ)]ける[ruby(笑顔, ruby=えがお)][ruby(爛, ruby=らん)]々と 터져 나오는 미소는 빛나 [ruby(大切, ruby=たいせつ)]な[ruby(絆, ruby=きずな)]は[ruby(消, ruby=き)]えることはない 소중한 인연은 사라지지 않아|| == 버전 == == 기타 == * [[귀멸의 칼날: 도공 마을편|도공 마을편]] 최종화 방영 기념으로 [[竈門炭治郎のうた|카마도 탄지로의 노래]]와 함께 유튜브에서 공개될 예정이라고 한다.[[https://twitter.com/ufotable/status/1670458653709856770?t=Yh-Hg6e1kinzpi-urlQo_w&s=19|#]] * 선율 자체는 1기 1화에서 네즈코가 도깨비가 되어 탄지로를 공격하다가 탄지로의 외침에 공격을 멈추고 우는 장면에서 나온 적이 있다. * 가사에 [[귀멸의 칼날: 환락의 거리편|TVA 2기]] 10화의 탄지로의 회상 속 네즈코의 명대사가 포함되어 있다. > 사과하지 마, 오빠. 왜 항상 사과만 해? 가난하면 불행한 거야? 고운 옷 못 입으면 불쌍한 거야? '''그렇게 꼭 누군가의 탓으로 돌리고 싶어?''' 아버지가 병 때문에 돌아가신 것도 마치 나쁜 일 같잖아. 최선을 다해 노력해도 안되는 걸 어떡해. 인간이니까 누구나... 뭐든지 뜻대로 다 되는 건 아니야. 행복한지 어떤지는 스스로 정하는 거야. '''중요한 건 '지금'이라고. 앞을 바라 보자.''' 같이 노력하고 싸우자. 그러니까 사과하고 그러지 마. 오빠라면 이해해 줘. 내 마음 좀 이해해 줘. [[분류:일본 노래]][[분류:2023년 노래]][[분류:귀멸의 칼날/애니메이션/음악]][[분류:일본 애니메이션 음악]][[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