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4 [ruby(絆,ruby=きずな)]ノ[ruby(奇跡, ruby=キセキ)][br]인연의 기적}}}'''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인연의 기적.jpg|width=100%]]}}} || || '''노래''' || [[MAN WITH A MISSION]] x [[milet]] || || '''작사''' ||<|2> 쟝켄 죠니 || || '''작곡''' || || '''편곡''' || [[MAN WITH A MISSION]] || [목차] [clearfix] == 개요 == {{{+3 '''[ruby(絆,ruby=きずな)]ノ[ruby(奇跡,ruby=キセキ)]'''}}} {{{-2 (Kizuna no Kiseki)}}} '''인연의 기적''' {{{-2 (키즈나 노 키세키)}}} [[milet]]와 [[MAN WITH A MISSION]]의 콜라보 싱글의 타이틀 곡이자, [[귀멸의 칼날: 도공 마을편|귀멸의 칼날 TVA 3기]]의 오프닝. == 영상 == ||<#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kakaotv(437281040)]}}} || ||<#000000> '''오프닝 영상''' || ||<#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0N3j1erm3-Y)]}}} || ||<#000000> '''Full ver.''' || ||<#00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b6Zlg30rgk)]}}} || ||<#000000> '''공식 MV''' || == 가사 == ||<:> {{{#f70a28 [ruby(闇夜,ruby=やみよ)]を[ruby(駆,ruby=か)]け[ruby(抜,ruby=ぬ)]けて[ruby(何処,ruby=どこ)]へむかう 야미요오 카케누케테 도코에 무카우 [[도깨비(귀멸의 칼날)|{{{#FF4500 어두운 밤}}}]]을 앞질러서 [[귀멸의 칼날: 도공 마을편|{{{#FF4500 어디론가 향하네}}}]] [ruby(月明,ruby=つきあ)]かりだけがただ[ruby(一つ,ruby=ひとつ)]の[ruby(道標,ruby=みちしるべ)] 츠키아카리 다케가 타다 히토츠노 미치시루베 달빛만이 단 하나의 이정표 [ruby(痛,ruby=いた)]みも[ruby(悲,ruby=かな)]しみも[ruby(拭,ruby=ぬぐ)]いきれず 이타미모 카나시미모 누구이키레즈 [[칸로지 미츠리|{{{#FF4500 아픔도}}}]] [[토키토 무이치로|{{{#FF4500 슬픔도 다 씻지 못하고}}}]] されどこの[ruby(胸,ruby=むね)]の[ruby(炎,ruby=ほのお)]は[ruby(消,ruby=け)]させない 사레도 코노 무네노 호노오와 케사세나이 그러나 이 [[렌고쿠 쿄쥬로|{{{#FF4500 가슴의 불꽃}}}]]은 [[카마도 탄지로|{{{#FF4500 끄게 두지 않아}}}]] [ruby(誰,ruby=た)]が[ruby(為,ruby=ため)]に[ruby(僕,ruby=ぼく)]たちは 타가 타메니 보쿠타치와 [[츠기쿠니 요리이치|{{{#FF4500 누군가}}}]]를 위해서 [[귀살대|{{{#FF4500 우리들은}}}]] ​この[ruby(想,ruby=おも)]いを[ruby(貫,ruby=つらぬ)]いて 코노 오모이오 츠라누이테 [[전집중 호흡|{{{#FF4500 이 마음}}}]]을 지켜나가 ​[ruby(闇,ruby=やみ)]を[ruby(裂,ruby=さ)]き​[ruby(陽,ruby=ひ)]の[ruby(下,ruby=した)]で 야미오 사키 히노 시타데 [[키부츠지 무잔|{{{#FF4500 어둠}}}]]을 찢는 [[해의 호흡|{{{#FF4500 햇빛 아래에}}}]] [ruby(光,ruby=ひかり)]さす[ruby(日,ruby=ひ)]まで 히카리 사스 히마데 [[태양|{{{#FF4500 빛}}}]]이 비치는 날까지 [ruby(解,ruby=と)]き[ruby(放,ruby=はな)]たれた[ruby(心,ruby=こころ)]に[ruby(宿,ruby=やど)]した[ruby(火,ruby=ひ)]よ 토키하나타레타 코코로니 야도시타 히요 [[히노카미 카구라|{{{#FF4500 해방된 마음에 깃든 불}}}]]이여 [ruby(舞,ruby=ま)]​い[ruby(上,ruby=あ)]げ、まとえ [ruby(今,ruby=いま)] [ruby(夜明,ruby=よあ)]けの[ruby(向,ruby=む)]こう[ruby(側,ruby=がわ)]へ 마이아게 마토에 이마 요아케노 무코오가와에 날아올려, 얽혀라 지금 [[안개의 호흡|{{{#FF4500 새벽의 저편으로}}}]] [ruby(君,ruby=きみ)]がいるこの[ruby(世,ruby=せ)][ruby(界,ruby=かい)]もう[ruby(一,ruby=いち)][ruby(度,ruby=ど)][ruby(愛,ruby=あい)]せるまで 키미가 이루 코노 세카이 모오 이치도 아이세루마데 [[카마도 네즈코|{{{#FF4500 네}}}]]가 있는 이 세상 다시 사랑할 수 있을 때까지 [ruby(我,ruby=わ)]が[ruby(命,ruby=いのち)][ruby(果,ruby=は)]てようとも[ruby(繋,ruby=つな)]いで[ruby(行,ruby=い)]こう 와가 이노치 하테요오토모 츠나이데이코오 [[카마도 탄지로|{{{#FF4509 나}}}]]의 목숨 다할지라도 이어가자 [ruby(絆,ruby=きずな)]が[ruby(紡,ruby=つむ)]いで[ruby(生,ruby=う)]まれた[ruby(奇,ruby=き)][ruby(跡,ruby=せき)]を 키즈나가 츠무이데 우마레타 키세키오 유대감이 자아내어 태어난 기적을 [ruby(喜,ruby=き)][ruby(怒,ruby=ど)][ruby(哀,ruby=あい)][ruby(楽,ruby=らく)] [ruby(夢,ruby=ゆめ)] [ruby(揺,ruby=ゆ)]らめいてる[ruby(現世,ruby=うつしよ)] 키도 아이라쿠 유메 유라메이테루 우츠시요 [[한텐구|{{{#FF4500 희로애락 꿈이 일렁이는 현세}}}]] ​[ruby(互い,ruby=たが)]の[ruby(正,ruby=せい)][ruby(義,ruby=ぎ)]をまた[ruby(繰,ruby=く)]り[ruby(返,ruby=かえ)]し[ruby(振,ruby=ふ)]りかざす 타가이노 세이기오 마타 쿠리카에시 후리카자스 서로의 정의를 다시 되풀이하면서 내세워 ​[ruby(誰,ruby=た)]が[ruby(為,ruby=ため)]に[ruby(繋,ruby=つな)]ぐ[ruby(命,ruby=いのち)] 타가 타메니 츠나구 이노치 [[시나즈가와 겐야|{{{#FF4500 누군가를 위해 잇는 목숨도}}}]] [ruby(交,ruby=まじ)]​わりもつれる[ruby(運命,ruby=さだめ)] 마지와리모 츠레루 사다메 교분도 [[우정|{{{#FF4500 얽힌 운명}}}]] ​[ruby(蛇,ruby=じゃ)]の[ruby(道,ruby=みち)] [ruby(数多,ruby=あまざ)]の[ruby(罪,ruby=つみ)] 쟈노 미치 아마자노 츠미 [[십이귀월|{{{#FF4500 뱀의 길}}}]], [[굣코|{{{#FF4500 수많은 죄}}}]] ​[ruby(全,ruby=すべ)]て[ruby(薙,ruby=な)]ぎ[ruby(払,ruby=はら)]え 스베테 나기하라에 [[전집중 호흡|{{{#FF4500 모조리 베어버려라}}}]] [ruby(解,ruby=と)]き[ruby(放,ruby=はな)]て[ruby(今,ruby=いま)]​[ruby(僕,ruby=ぼく)]らが[ruby(起,ruby=お)]こした[ruby(火,ruby=ひ)]を 토키하나테 이마 보쿠라가 오코시타 히오 [[내비치는 세계|{{{#FF4500 해방해라 지금}}}]] 우리가 일으킨 불을 ​[ruby(舞,ruby=ま)]い[ruby(上,ruby=あ)]げ[ruby(走,ruby=はし)]れば​[ruby(明日,ruby=あした)]が[ruby(変,ruby=か)]わるはず 마이아게 하시레바 아시타가 카와루 하즈 [[반점(귀멸의 칼날)|{{{#FF4500 날아오르고 달리면}}}]] 내일이 바뀔 터 ​[ruby(君,ruby=きみ)]といるこの[ruby(世,ruby=せ)][ruby(界,ruby=かい)][ruby(二,ruby=に)][ruby(度,ruby=ど)]と[ruby(離,ruby=はな)]さずに 키미토 이루 코노 세카이 니도토 하나사즈니 너와 있는 이 세상 다시는 놓지 않고 ​[ruby(君,ruby=きみ)]と[ruby(共,ruby=とも)]に[ruby(行,ruby=い)]く 키미토 토모니 이쿠 너와 함께 간다 [ruby(瞼,ruby=まぶた)]を[ruby(閉,ruby=と)]じても[ruby(想,ruby=おも)]い[ruby(出,ruby=だ)]すあの[ruby(日,ruby=ひ)]を 마부타오 토지테모 오모이다스 아노히오 [[키부츠지 무잔|{{{#FF4500 눈을 감아도 떠오르는 그날을}}}]] ​[ruby(打,ruby=う)]ちのめされても[ruby(焦,ruby=こ)]がれた[ruby(未,ruby=み)][ruby(来,ruby=らい)]を 우치노메사레테모 코가레타 미라이오 때려눕혀져도 애태우는 미래를 ​いつの[ruby(日,ruby=ひ)]か[ruby(君,ruby=きみ)]に[ruby(捧,ruby=ささ)]げてみせよう 이츠노 히카 키미니 사사게테미세요오 언젠가 [[카마도 네즈코|{{{#FF4500 너}}}]]에게 바쳐 보일게 [ruby(解,ruby=と)]き[ruby(放,ruby=はな)]たれた[ruby(心,ruby=こころ)]に[ruby(宿,ruby=やど)]した[ruby(火,ruby=ひ)]よ 토키하나타레타 코코로니 야도시타 히요 [[해의 호흡|{{{#FF4500 해방된 마음에 깃든 불}}}]]이여 [ruby(舞,ruby=ま)]​い[ruby(上,ruby=あ)]げ、まとえ [ruby(今,ruby=いま)] [ruby(夜明,ruby=よあ)]けの[ruby(向,ruby=む)]こうへ 마이아게 마토에 이마 요아케노 무코우에 [[사랑의 호흡|{{{#FF4500 날아올라, 휘감아라}}}]] 지금 새벽의 너머로 [ruby(解,ruby=と)]き[ruby(放,ruby=はな)]て[ruby(今,ruby=いま)]​[ruby(僕,ruby=ぼく)]らが[ruby(起,ruby=お)]こした[ruby(火,ruby=ひ)]を 토키하나테 이마 보쿠라가 오코시타 히오 해방하여라 지금 우리들이 피워낸 불을 ​[ruby(舞,ruby=ま)]い[ruby(上,ruby=あ)]げ[ruby(走,ruby=はし)]れば​[ruby(明日,ruby=あした)]が[ruby(変,ruby=か)]わるはず 마이아게 하시레바 아시타가 카와루 하즈 날아올라서 달리면 내일이 바뀔 터 [ruby(君,ruby=きみ)]がいたこの[ruby(世,ruby=せ)][ruby(界,ruby=かい)]もう[ruby(一,ruby=いち)][ruby(度,ruby=ど)][ruby(愛,ruby=あい)]せるまで 키미가 이타 코노 세카이 모오 이치도 아이세루마데 네가 있던 이 세상 다시 사랑할 수 있을 때까지 [ruby(我,ruby=わ)]が[ruby(命,ruby=いのち)]​[ruby(果,ruby=は)]てようとも[ruby(繋,ruby=つな)]げて[ruby(行,ruby=い)]くよ 와가 이노치 하테요오토모 츠나게테 이쿠요 나의 목숨 다할지라도 이어 나갈게 [ruby(絆,ruby=きずな)]が[ruby(紡,ruby=つむ)]いで[ruby(生,ruby=う)]まれた[ruby(奇,ruby=き)][ruby(跡,ruby=せき)]を 키즈나가 츠무이데 우마레타 키세키오 유대감이 자아내어 태어난 기적을}}} || == [[리듬 게임]]에 수록 == == 기타 == * [[紅蓮華|홍련화]], [[残響散歌|잔향산가]]에 비해 소년만화 노래스럽다는 평이 많다. * 이전 오프닝들이 감정적인 느낌에 은유적인 묘사가 많이 들어갔다면 인연의 기적의 경우 가사에 어떤 스토리인지 딱 봐도 알 수 있도록 직접적으로 표현한 것이 가장 큰 차이점. 즉, '''탄지로와 귀살대 동료들의 결의를 직접적으로 담아낸 곡'''이라고 할 수 있다. * 국내외로 호불호가 많이 갈리긴 했지만 대부분은 계속 듣다보니 좋은 노래라는 평이 많다. [[분류:일본 노래]][[분류:2023년 노래]][[분류:귀멸의 칼날/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 음악]][[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분류:mil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