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纓}}}갓끈 영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糸|{{{#000,#fff 糸}}}]], 17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23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준특급 한자|{{{#000,#fff 준특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エイ, ヨウ}}}}}}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ひも, まとう, むながい}}}}}}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yīng{{{#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纓은 ''''갓끈 영''''이라는 [[한자]]로, '갓끈'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갓끈 || || {{{-1 '''음'''}}} ||영 || ||<-3> || ||<|4>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yīng || || {{{-1 '''[[광동어]]'''}}} ||jing^^1^^ || || {{{-1 '''[[민동어]]'''}}} ||ĭng || || {{{-1 '''[[민남어]]'''}}} ||êng1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エイ, ヨウ}}} || || {{{-1 '''훈독'''}}} ||{{{#c88 ひも, まとう, むながい}}} || ||<-3> || ||<-2> '''[[베트남어]]''' ||anh || 뜻을 나타내는 [[糸]](가는실 멱)과 소리를 나타내는 [[嬰]](어린아이 영)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7E9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VFBCV(女火月金女)로 입력한다. == 용례 == === [[단어]] === * 관무영([[冠]][[武]]纓) * 관영([[冠]]纓) * 마영([[馬]]纓) * 목영([[木]]纓) * 영자(纓[[子]]) * 구영자([[鉤]]纓[[子]]) * 입영([[笠]]纓) * 주영([[珠]]纓) * 죽영([[竹]]纓) * 패영([[貝]]纓) * 홍영([[紅]]纓) === [[고사성어]]/[[숙어]] === * 구곡진영([[驅]][[轂]][[振]]纓) * 의영([[衣]]纓) * 잠영([[簪]]纓) * 진영([[塵]]纓) * 탁영탁족([[濯]]纓[[濯]][[足]]) * 피발영관([[被]][[髮]]纓[[冠]]) === [[인명]] === === [[지명#s-2]] === * [[광주광역시]] [[북구(광주광역시)|북구]] 탁영로([[濯]]纓[[路]]) === [[창작물]] === === 기타 === == 이체자 == * 䋝(U+42DD) == 유의자 == * [[纚]](갓끈 리) * [[䘩]](갓끈 순) * [[紻]](갓끈 앙) * [[緓]](갓끈 영) * [[綩]](갓끈 원) * [[緌]](갓끈 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𥌽]]^^[⿰目嬰]^^(광채없을 앵) * [[嚶]](꾀꼬리소리 앵) * [[𧮆]]^^[⿰言嬰]^^(성낼 앵) * [[櫻]](앵두 앵) * [[𪈤]]^^[⿰鳥嬰]^^(앵무새 앵)[* [[鸚]](앵무새 앵)의 [[동자#s-2]]] * [[蠳]](거북이름 영) * [[巊]](산높은모양 영) * [[𤜉]]^^[⿰牛嬰]^^(소이름 영) * [[孾]](어린아이 영)[* [[嬰]](어린아이 영)의 [[동자#s-2]]] * [[瓔]](옥돌 영) * [[孆]](어릴 영) * [[䙬]](어울릴 영) * [[瀴]](질펀할 영) * [[𤣎]]^^[⿰犭嬰]^^(짐승이름 영) * [[𥐑]]^^[⿰矢嬰]^^(짧을 영) * [[攖]](찌를/가까이할 영) * [[䑍]](혹 영, 목구멍 인) * [[𪝼]]^^[⿰亻嬰]^^ * [[𡓫]]^^[⿰土嬰]^^ * [[𢖠]]^^[⿰彳嬰]^^ * [[𨰃]] * [[𩽢]]^^[⿰魚嬰]^^ [[분류:준특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