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1급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羞}}}부끄러울 수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羊|{{{#000,#fff 羊}}}]],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1급 한자|{{{#000,#fff 1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ュ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すす-める, はじ, は-じる, はずかし-め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羊의 세로획과 왼쪽 아래 삐침이 이어져 있고, 丑의 가운데 가로획이 ㄱ의 오른쪽을 관통하지 않는다.]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ū{{{#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羞는 ''''부끄러울 수''''라는 [[한자]]로, '부끄럽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7F9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QNG(廿手弓土)로 입력한다. [[羊]](양 양)과 [[又]](또 우)가 합쳐진 [[회의자]]로, 본래 [[양고기]]를 손에 들고 권한다는 뜻이었는데, [[又]]는 훗날 [[丑]]의 모양으로 바뀌었고, 훈도 '부끄럽다'로 확장되어 본래의 의미를 밀어내고 널리 쓰이고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음식', '음식을 올리다'라는 훈으로도 사용되는데, '[[진수성찬]]'이라는 사자성어가 이 의미로 쓰인 대표적인 사례다. == 용례 == === [[단어]] === * 수치(羞[[恥]]) * [[수치심]](羞[[恥]][[心]]) === [[고사성어]]/[[숙어]] === * [[진수성찬]]([[珍]]羞[[盛]][[饌]]) * [[폐월수화]]([[蔽]][[月]]羞[[花]]) == 유의자 == * [[懅]](부끄러울 거) * [[愧]](부끄러울 괴) * [[慙]](부끄러울 참) * [[恥]](부끄러울 치) == 상대자 == * [[常]](떳떳할 상) * [[庸]](떳떳할 용) * [[彛]](떳떳할 이)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鮺]](생선젓 자) * [[差]](다를 차) * [[着]](붙을 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