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耳}}}귀 이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耳,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ジ{{{#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みみ, {{{#c88 のみ}}}}}}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ěr{{{#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耳-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耳는 '''귀 이'''라는 [[한자]]로, 신체 부위인 '[[귀]]'를 뜻한다. 또한 팔대째손자 잉이라고 읽기도 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8033에 배당되었다. 귀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한문에서는 '귀'라는 뜻 이외에도 '~할 뿐이다' 혹은 '~할 따름이다'라는 뜻(즉 而已의 준말)으로도 쓰인다. 이두문으로는 耳亦라는 형태로도 등장하며, 'ᄯᆞ녀'(따름인가)라고 읽었다. > 欲使人人, 易習, 便於日用'''耳'''。 > 사람마다 하여금 쉬이 익혀 날마다 씀에 편안케 하고자 '''할 따름이다'''. >---- > [[훈민정음]] 서문 대부분의 사람들은 '가로 > 세로 > 가로 3획 > 세로'로 알고 있는데, 사실 이 획순은 [[일본]]에서 사용하는 획순이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획순은 위에서 보다시피 가로 > 세로 2획 > 가로 3획. == 자형 == ||<:>[[파일:耳-oracle.svg.png]]||<:>[[파일:耳-bronze.svg.png]]||<:>[[파일:耳-bigseal.svg.png]]||<:>[[파일:耳-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용례 == === [[단어]] === * 곽이([[藿]]耳) * 구이([[口]]耳) * 명이주([[明]]耳[[酒]]) * [[식용 버섯#s-4.6|목이]]([[木]]耳) * 심이([[心]]耳) * 양이두([[羊]]耳[[頭]]) * 역이([[逆]]耳) * 우이([[牛]]耳) * [[우이독경]]([[牛]]耳[[讀]][[經]]) * 이근(耳[[根]]) * 이루(耳[[漏]]) * [[귀울림|이명]](耳[[鳴]]) * [[이목]](耳[[目]]) * 이배(耳[[杯]]) * [[이비인후과]](耳[[鼻]][[咽]][[喉]][[科]]) : 귀, 코, 목구멍, 기관, 식도의 질환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의학의 분과 * 이석(耳[[石]]) * [[이석증]](耳[[石]][[症]]) * 이어(耳[[語]]/耳[[魚]]) * 이엄(耳[[掩]]) * 이익(耳[[翼]]) * 중이([[中]]耳) * [[중이염]]([[中]]耳[[炎]]) * 충이([[充]]耳) === [[고사성어]]/[[숙어]] === * [[마이동풍]]([[馬]]耳[[東]][[風]]) * [[우이독경]]([[牛]]耳[[讀]][[經]]) * 이목구비(耳[[目]][[口]][[鼻]]) * 이순(耳[[順]]) * [[이현령비현령]](耳[[懸]][[鈴]][[鼻]][[懸]][[鈴]]) * 팽두이숙([[烹]][[頭]]耳[[熟]]) === [[인명]] === * [[오오미미 렌]]([[大]]耳 [[練]]) * [[노자|이이]]([[李]]耳) * [[이중이]]([[李]][[重]]耳) * [[지로 쿄카]](耳[[郎]] [[響]][[香]]) * [[토요사토미미노 미코]]([[豊]][[聡]]耳 [[神]][[子]]) === [[지명#s-2]] === * [[마이산]]([[馬]]耳[[山]])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이기동(동해)|이기동]](耳[[基]][[洞]]) * [[경기도]] [[평택시]] [[용이동]]([[龍]]耳[[洞]]) * 경기도 [[시흥시]] [[정왕동]] [[오이도]]([[烏]]耳[[島]]): 이름과 달리 [[간척|간척사업]]으로 인하여 [[1990년대]] 초중반 즈음부터 육지가 돼 버리고 말았다. * [[경상남도]] [[사천시]] 이홀동(耳[[笏]][[洞]]) *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牛]]耳[[洞]])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우이신설선]]([[牛]]耳[[新]][[設]][[線]]) == 지하철역 == * [[오이도역]] * [[북한산우이역]]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 [[일본어]] === ==== [[훈독]] ==== * 耳(みみ): 귀 그리고 앞에서도 설명했듯, '~할 뿐이다'의 의미도 갖고 있어, 비상용적으로는 のみ로 읽기도 한다. == 유의자 == * [[𦗧]](귀 답) * [[𦖈]](귀 엄) * [[𦗗]](귀 접) * [[䎻]](귀 주)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目]](눈 목) == 여담 == * 耳(귀 이)가 세 개 합쳐지면 [[聶]](소곤거릴 섭)이 된다. [[분류:5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