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4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興}}}일 흥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臼|{{{#000,#fff 臼}}}]], 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6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コウ, キョ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おこ-る, おこ-す{{{#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īng, xì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興은 ''''일 흥''''이라는 [[한자]]로, '일어나다', '일으키다', '흥분(興奮)하다'를 뜻한다. == 상세 == ||<-4><#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2>일다 || || {{{-1 '''음'''}}} ||<-2>흥 || ||<-4>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īng ||xìng || || {{{-1 '''[[광동어]]'''}}} ||hing^^1^^ ||hing^^3^^ || || {{{-1 '''[[객가어]]'''}}} ||hîn ||hin || || {{{-1 '''[[민북어]]'''}}} ||héng ||he̿ng || || {{{-1 '''[[민동어]]'''}}} ||hĭng ||héng || || {{{-1 '''[[민남어]]'''}}} ||heng ||hèng || || {{{-1 '''[[오어]]'''}}} ||xin (T1) ||xin (T2) || ||<-4> || ||<|2> '''[[일본어]]''' || {{{-1 '''음독'''}}} ||コウ[*A コウ는 [[일본 한자음|오음]], キョウ는 [[일본 한자음|당음]]이다.] ||キョウ[*A] || || {{{-1 '''훈독'''}}} ||おこ-る, おこ-す ||- || ||<-4> || ||<-2> '''[[베트남어]]''' ||hưng ||hứng || [[유니코드]]에는 U+820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竹難月金(HXBC)으로 입력한다. 네 개의 손(又)을 나타내는 [[舁]](마주들 여)와 [[同]](한가지 동)으로 이루어진 [[회의자]]이다. 이 글자는 중국어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동사 '흥하다', '일어나다'의 뜻일 때는 평성으로, 명사 '흥분', '즐거움'이라는 뜻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 용례 == === [[단어]] === * [[부흥]]([[復]]興) * [[신흥]]([[新]]興) * [[여흥]]([[餘]]興) * [[유흥]]([[遊]]興) * [[중흥]]([[中]]興) * [[즉흥]]([[卽]]興) * [[진흥]]([[振]]興) ---- * 흥(興) * [[아위|흥거]](興[[渠]]) * 흥망(興[[亡]]) * [[흥미]](興[[味]]) * 흥미진진(興[[味]][[津]][[津]]) * [[흥분]](興[[奮]]) * [[흥신소]](興[[信]][[所]]) * [[흥행]](興[[行]]) === [[고사성어]]/[[숙어]] === * [[함흥차사]]([[咸]]興[[差]][[使]]) * [[흥망성쇠]](興[[亡]][[盛]][[衰]]) === [[인명]] === * [[경복흥]]([[慶]][[復]]興) * [[고흥길]]([[高]]興[[吉]]) * [[관흥]]([[關]]興) * [[김교흥]]([[金]][[敎]]興) * [[김흥국]]([[金]]興[[國]]) * [[김흥수(배우)]]([[金]]興[[銖]]): 배우 * [[나카모토 코지|나카모토 코키]]([[仲]][[本]] 興[[喜]]): [[나카모토 코지]]의 본명 * [[두흥]]([[杜]]興) * [[법흥왕]]([[法]]興[[王]]) * [[서흥후]]([[瑞]]興[[侯]]) - 작위명으로, 휘는 왕전(王琠). * [[손흥민]]([[孫]]興[[慜]]) * [[시센인 코우센]]([[司]][[箭]][[院]] 興[[仙]]) * [[유재흥]]([[劉]][[載]]興) * [[윤흥신]]([[尹]]興[[信]]) * [[이익흥]]([[李]][[益]]興) * [[최채흥]]([[崔]][[採]]興) * [[호소카와 타다오키]]([[細]][[川]] [[忠]]興) * [[후지와라노 오키카제]]([[藤]][[原]] 興[[風]]) *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 작위명으로, 휘는 이하응(李昰應). === [[지명#s-2]] === * [[경기도]] [[시흥시]](始興市) * [[경복궁 흥례문]](景福宮 興禮門) * [[경복궁 흥복전]](景福宮 興福殿) * [[경희궁 흥화문]](慶熙宮 興化門) * [[전라남도]] [[고흥군]](高興郡) * [[전라남도]] [[장흥군]](長興郡)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興德區) * [[함경남도]] [[영흥군]](永興郡) * [[함경남도]] [[함흥시]](咸興市) * [[함경남도]] [[신흥군]](新興郡) * [[흥인지문]](興仁之門) * [[흥개호]](興凱湖) === 지하철역 === * [[원흥역]] * [[광흥창역]] * [[대흥역]] * [[신흥역(성남)]] === 일반 철도역 === * [[장흥역(경전선)]] - 2023년 개통 예정 * [[장흥역(교외선)]] - 2024년 여객취급 재개 예정 === [[창작물]] === * [[흥부전]](興[[夫]][[傳]]) === 기타 === * [[조흥은행]]([[朝]]興[[銀]][[行]]) == 유의자 == * [[樂]](음악 악, 즐거울 락, 좋아할 요) == 상대자 == * [[亡]](망할 망) * [[沒]](없어질 몰) * [[衰]](쇠할 쇠) * [[廢]](폐할 폐)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輿]](수레 여) * [[與]](줄 여) == 여담 == * 興을 세 개 합치면 [[𦧅]](불사를 영), 네 개 합치면 [[𠔻]]이라는 괴랄한 [[한자]]가 된다. 興이 16획이므로 각각 48획, 64획. * 널리 쓰이는 한자 가운데 독음이 '흥'인 한자는 興 외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