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莫}}}없을 막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艸|{{{#000,#fff 艸}}}]], 7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バ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な-い, なか-れ}}}}}}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mò{{{#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莫은 ''''없을 막''''이라는 [[한자]]로, '없다', '불가하다', '~하지 말라'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83A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廿日大(TAK)로 입력한다. 원래는 숲이나 초원의 해가 지는 모습을 [[茻]](풀 우거질 망)과 [[日]](해/날 일)을 결합하여 나타내는 [[회의자]]였으나 [[가차자|가차]] 되어 '없다'라는 뜻으로 쓰게 되었고, '저물다'라는 뜻은 [[暮]](저물 모)가 가져가게 되었다. 한문에서는 주로 '~한 것은 없다', '아무도 ~하지 않는다'와 같은 부정 대명사로 쓰인다. 영어의 nothing, none, nobody에 해당하며, 주어로 쓰인다. 여기서 파생되어 형용사와 합쳐져 단어가 되면 '몹시', '매우'의 뜻도 가진다. 대표적으로 막강(莫強)이나 막대(莫大)가 있다. 또 勿, 毋처럼 '~하지 말라'와 같은 금지를 나타내기도 한다. 莫이 음부로 쓰이는 한자는 대부분의 음이 '모'나 '막'이다. 대표적으로 [[暮]](저물 모), [[模]](본뜰 모), [[慕]](사모할 모), [[幕]](장막 막), [[漠]](사막 막), [[膜]](막 막) 등이 있다. 그 외에도 '묘', '마', 맥'이 있지만 널리 쓰이는 건 [[墓]](무덤 묘)밖에 없다. == 용례 == === [[단어]] === * 막강(莫[[強]]) * 막급(莫[[及]]) * 막대(莫[[大]]) * 막론(莫[[論]]) * 막상(莫[[上]])[* '막상 하고나니~'의 그 막상이 아니다. 부사로 쓰이는 막상은 순우리말이고, 莫上은 '품질 따위가 가장 좋음'이다.] * 막심(莫[[甚]]) * 막역(莫[[逆]])[* 매우 친밀하다는 뜻이다.] * 막중(莫[[重]]) * 삭막([[索]]莫) * 천막천([[賤]]莫[[賤]]) === [[고사성어]]/[[숙어]] === * 궁구막추([[窮]][[寇]]莫[[追]]) * 막무가내(莫[[無]][[可]][[奈]]) * [[막상막하]](莫[[上]]莫[[下]]) * 막역지우(莫[[逆]][[之]][[友]]) * 무지막지([[無]][[知]]莫[[知]]) * [[눈코 뜰 사이 없다|안비막개]]([[眼]][[鼻]]莫[[開]]) === [[인명]] === * [[김막동]]([[金]]莫[[同]]) * [[동성자막고]]([[東]][[城]][[子]]莫[[古]]) * [[막고해]](莫[[古]][[解]]) * 막문위(莫[[文]][[蔚]]) * [[막수]](莫[[愁]]) * [[막히엔띳]](莫[[顯]][[績]]) * [[임진모]]([[林]][[珍]]莫)[* 莫을 '막'이 아닌 '모'로 읽는다.] * [[적막이해]]([[適]]莫[[爾]][[解]]) * [[키토 모히로]]([[鬼]][[頭]] 莫[[宏]]) === [[지명#s-2]] === === [[창작물]] === == 유의자 == * [[無]](없을 무) == 상대자 == * [[有]](있을 유) * [[在]](있을 재) * [[存]](있을 존)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𠖇]](어두울 명) * [[英]](꽃부리 영) * [[草]](풀 초)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蟇]](두꺼비 마) * [[幕]](장막 막) * [[寞]](쓸쓸할 막) * [[募]](모을 모) * [[摹]](베낄 모) * [[慕]](사모할 모) * [[暮]](저물 모) * [[墓]](무덤 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