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蘆}}}갈대 로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艸|{{{#000,#fff 艸}}}]], 16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20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2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c88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ロ}}}}}}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あし, よし}}}}}}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lú, lǔ{{{#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蘆는 ''''갈대 로''''라는 [[한자]]로, '[[갈대]]'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갈대 || || {{{-1 '''음'''}}} ||로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lú, lǔ[* 油葫蘆에서만] || || {{{-1 '''[[광동어]]'''}}} ||lou4 || || {{{-1 '''[[객가어]]'''}}} ||lù || || {{{-1 '''[[민동어]]'''}}} ||lù || || {{{-1 '''[[민남어]]'''}}} ||lô͘ || || {{{-1 '''[[오어]]'''}}} ||lu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c88 ロ}}} || || {{{-1 '''훈독'''}}} ||{{{#c88 あし, よし}}} || ||<-3> || ||<-2> '''[[베트남어]]''' ||lô || [[유니코드]]에는 U+860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TYPT(廿卜心廿)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艸]](풀 초)와 소리를 나타내는 [[盧]](성 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일본과 중국에서는 각각 신자체와 간제차로서 [[芦]](지황 호)를 대용한다. == 용례 == === [[단어]] === * [[알로에|노회]](蘆[[薈]]) * [[탕후루]]([[糖]][[葫]]蘆)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아시나 모리우지]](蘆[[名]] [[盛]][[氏]]) === [[지명#s-2]] === * [[노령역]](蘆[[嶺]][[驛]]) * [[노원역]](蘆[[原]][[驛]]) * [[로카공원역]](芦[[花]][[公]][[園]][[駅]]) * [[서울특별시]] [[노원구]](蘆[[原]][[區]]) === 기타 === * [[노도강]](蘆[[道]][[江]]) == 유의자 == * [[葭]](갈대 가, 멀 하) * [[蒹]](갈대 겸) * [[芦]](갈대 로) * [[𦶀]]^^[⿱艹烏]^^(갈대 오) * [[葦]](갈대 위) * [[葤]](갈대 조) * [[葄]](갈대 주/조)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䰕]](말갈기 려) * [[籚]](창자루 로) * [[𫶢]]^^[⿱山盧]^^ * [[𩆴]]^^[⿱雨盧]^^ [[분류:2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