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行}}}다닐 행, 항렬 항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行, 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6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6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コウ, ギョウ, (アン){{{#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い-く, ゆ-く, おこな-う{{{#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háng, héng, xíng{{{#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行-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行은 ''''다닐 행'''' 또는 ''''항렬 항''''이라는 [[한자]]로, '다니다', '가다', '행하다', '[[항렬]]'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884C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OMMN(竹人一一弓)으로 입력한다. 네 갈래로 난 길, 즉 사거리를 본떠 만든 [[상형자]]이다. 사람들이 다니는 길이기 때문에 '다니다'라는 의미가 나왔으며 여기서 인신되어 '움직이다', '행하다'라는 뜻이 파생되었다. 때문에 일반적으로 行을 구성요소로 가지는 글자들은 움직인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중국에서는 行 부수가 彳 부수에 통폐합되어 있다. 본래 '다니다'라는 뜻은 '행', '줄(row)' 혹은 '점포'라는 뜻은 '항'으로 읽었다. 즉 '[[행렬]]', '[[은행]]', '양행'은 원래 '항렬', '은항', '양항'이었다. 하지만 '항'이 '안항', '항렬' 등을 제외하고 모두 '행'으로 바뀌었으며, '[[행렬]]'과 '[[항렬]]'은 서로 다른 뜻으로 쓰인다. 중국어에서는 '행'이 xíng에, '항'이 háng에 대응하며, 한국어와 달리 음에 따라 뜻이 유지된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 '몸' '''에 위치해서 한자를 만든다. 정확히는 [[彳]]과 [[亍]] 사이에 여러 모양이 들어가 한자가 만들어진다. 예로는 [[街]](거리 가), [[衢]](네거리 구), [[術]](재주 술), [[衍]](넓을 연), [[衛]](지킬 위), [[衝]](찌를 충) 등이 있다. == 용례 == 동음이의어가 '''굉장히 많다.''' === [[단어]] === ==== 다니다(행) ==== * 가행([[加]]行/[[嘉]]行/[[家]]行/[[稼]]行) * 간행([[刊]]行/[[奸]]行/[[間]]行) * 감행([[敢]]行) * [[강행]]([[強]]行) * 거행([[擧]]行) * 고행([[苦]]行/[[高]]行/[[鼓]]行) * 관행([[官]]行/[[慣]]行/[[觀]]行) * [[급행]]([[急]]行) * [[기행]]([[奇]]行/[[紀]]行) * [[기행문]]([[紀]]行[[文]]) * [[단행]]([[單]]行/[[斷]]行/[[短]]行/[[端]]行) * [[대행]]([[代]]行/[[大]]行) * [[만행]]([[漫]]行/[[萬]]行/[[蠻]]行) * [[미행]]([[尾]]行/[[微]]行/[[美]]行) * 발행([[發]]行) * 병행([[病]]行/[[竝]]行) * [[보행]]([[步]]行/[[輔]]行) * 입수보행([[入]][[手]][[步]]行) * [[비행]]([[卑]]行/[[非]]行/[[飛]]行) * [[비행기]]([[飛]]行[[機]]) * [[비행청소년]]([[非]][[行]]靑少年) * 사행([[事]]行/[[使]]行/[[四]]行/[[斜]]行/[[私]]行/[[蛇]]行/[[邪]]行/[[駛]]行) * 산행([[山]]行) * 상행([[上]]行/[[喪]]行/[[常]]行) * 서행([[徐]]行/[[西]]行) * [[선행]]([[先]]行/[[善]]行/[[旋]]行/[[跣]]行) * 성행([[性]]行/[[星]]行/[[盛]]行/[[聖]]行) * 소행([[宵]]行/[[所]]行/[[溯]]行/[[素]]行) * 속행([[續]]行/[[速]]行) * 수행([[修]]行/[[獸]]行/[[繡]]行/[[遂]]行/[[隨]]行) * 순행([[巡]]行/[[循]]行/[[順]]行/[[馴]]行) * 시행([[施]]行/[[試]]行) * 실행([[失]]行/[[實]]行) * 악행([[惡]]行) * 언행([[言]]行) * [[여행]]([[勵]]行/[[女]]行/[[旅]]行) * 역행([[力]]行/[[逆]]行) * 연행([[演]]行/[[燕]]行/[[練]]行/[[連]]行) * 오행([[오행|五行]]/[[奧]]行/[[汚]]行) * 음양오행([[陰]][[陽]][[五]]行) * 완행([[緩]]行) * 운행([[運]]行/[[雲]]行) * [[유행]]([[儒]]行/[[有]]行/[[流]]行/[[遊]]行) * [[은행]]([[銀]]行) * 음행([[淫]]行) * 이행([[利]]行/[[履]]行/[[已]]行/[[易]]行) * 자행([[字]]行/[[自]]行/[[恣]]行) * 잠행([[暫]]行/[[潛]]行) * 미복잠행([[微]][[服]][[潛]]行) * 준행([[準]]行/[[遵]]行) * 직행([[直]]行) * 진행([[進]]行) * 집행([[執]]行) * [[집행유예]]([[執]]行[[猶]][[豫]]) * 초행([[初]]行) * 추행([[推]]行/[[楸]]行/[[追]]行/[[추행|醜行]]) * [[성추행]]([[性]][[醜]]行) * 친행([[親]]行) * 통행([[通]]行) * [[통행금지]]([[通]]行[[禁]][[止]]) * [[통행료]]([[通]]行[[料]]) * [[통행방향]]([[通]]行[[方]][[向]]) * [[통행세]]([[通]]行[[稅]]) * [[통행요금]]([[通]]行[[料]][[金]]) * [[폭행]]([[暴]]行) * [[성폭행]]([[性]][[暴]]行) * [[폭행죄]]([[暴]]行[[罪]]) * 행각(行[[脚]]/行[[閣]]) * [[행군]](行[[軍]]) * [[행궁]](行[[宮]]) * [[행동]](行[[動]]) * [[행동장애]](行[[動]][[障]][[碍]]) * [[행렬]](行[[列]])[*A 항렬, 행렬 둘 다 한자로 行列이다.] * [[단위행렬]]([[單]][[位]]行[[列]]) * [[멱등행렬]]([[冪]][[等]]行[[列]]) * [[역행렬]]([[逆]]行[[列]]) * [[영행렬]]([[零]]行[[列]]) * [[행렬식]](行[[列]][[式]]) * 행로(行[[路]]) * 행사([[행사|行事]]/行[[使]]/行[[査]]/行[[祀]]/行[[詐]]) * 행상(行[[商]]/行[[喪]]/行[[狀]]/行[[相]]/行[[賞]]) * [[행상인]](行[[商]][[人]]) * 행색(行[[色]]) * [[행서]](行[[書]]) * 행선(行[[先]]/行[[善]]/行[[禪]]/行[[船]]) * 행선지(行[[先]][[地]]) * 행성(行[[城]]/[[행성|行星]]/行[[省]]) * 행세(行[[世]]/行[[勢]]) * 행시(行[[時]]/行[[詩]]) * 행실(行[[實]]) * [[행위]](行[[爲]]) * [[성행위]]([[性]]行[[爲]]) * 행자(行[[者]]/行[[資]]) * [[행장]](行[[狀]]/行[[藏]]/行[[裝]]/行[[長]]/行[[障]]) * 행적(行[[寂]]/行[[績]]/行[[跡]]/行[[蹟]]) * [[행정]](行[[政]]/行[[程]]) * [[2행정 기관]]([[二]]行[[程]][[機]][[關]]) * [[4행정 기관]]([[四]]行[[程]][[機]][[關]]) * 행정각부(行[[政]][[各]][[部]]) * [[행정개입청구권]](行[[政]][[介]][[入]][[請]][[求]][[權]]) * 행정경찰(行[[政]][[警]][[察]]) * [[행정계획]](行[[政]][[計]][[劃]]) * 행정관(行[[政]][[官]]) * [[행정보급관]](行[[政]][[普]][[給]][[官]]) * [[행정공무원]](行[[政]][[公]][[務]][[員]]) * [[행정구역]](行[[政]][[區]][[域]]) * [[행정단지]](行[[政]][[團]][[地]]) * [[행정대집행]](行[[政]][[代]][[執]][[行]]) * [[행정대집행법]](行[[政]][[代]][[執]][[行]][[法]]) * 행정대학원(行[[政]][[大]][[學]][[院]]) * 행정도(行[[政]][[圖]]) * [[행정동]](行[[政]][[洞]]) * [[행정명령]](行[[政]][[命]][[令]]) * [[행정반]](行[[政]][[班]]) * [[행정법]](行[[政]][[法]]) * [[행정법원]](行[[政]][[法]][[院]]) * 행정법학(行[[政]][[法]][[學]]) * [[행정병]](行[[政]][[兵]]) * [[행정부대]](行[[政]][[部]][[隊]]) * [[행정사]](行[[政]][[士]]) * [[행정사법]](行[[政]][[士]][[法]]) * [[행정상 실효성 확보수단]](行[[政]][[上]] [[實]][[效]][[性]] [[確]][[保]][[手]][[段]]) * [[행정실]](行[[政]][[室]]) * [[행정부]](行[[政]][[府]]) * 행정서사(行[[政]][[書]][[士]]) * [[행정소송]](行[[政]][[訴]][[訟]]) * [[행정소송법]](行[[政]][[訴]][[訟]][[法]]) * [[행정심판]](行[[政]][[審]][[判]]) * [[행정심판법]](行[[政]][[審]][[判]][[法]]) * [[행정윤리]](行[[政]][[倫]][[理]]) * [[행정입법]](行[[政]][[立]][[法]]) * 행정작용(行[[政]][[作]][[用]]) * 행정적(行[[政]][[的]]) * 행정절차(行[[政]][[節]][[次]]) * [[행정절차법]](行[[政]][[節]][[次]][[法]]) * [[행정조직]](行[[政]][[組]][[織]]) * [[행정조직론]](行[[政]][[組]][[織]][[論]]) * [[행정조직법]](行[[政]][[組]][[織]][[法]]) * 행정직(行[[政]][[職]]) * [[행정처분]](行[[政]][[處]][[分]]) * [[행정청]](行[[政]][[廳]]) * [[행정학]](行[[政]][[學]]) * [[행정학과]](行[[政]][[學]][[科]]) * [[행정학부]](行[[政]][[學]][[部]]) * [[행정행위]](行[[政]][[行]][[爲]]) * 행정형법(行[[政]][[刑]][[法]]) * [[행진]](行[[進]]/行[[陣]]) * 행태(行[[態]]) * 행패(行[[悖]]) * 현행([[現]]行/[[賢]]行/[[顯]]行) * 횡행([[橫]]行) * 후행([[後]]行) * [[흥행]]([[興]]行) ==== 항렬(항) ==== * [[항렬]](行[[列]])[*A] * [[항렬자]](行[[列]][[字]]) * 안항([[雁]]行) === [[고사성어]]/[[숙어]] === * [[금의야행]]([[錦]][[衣]][[夜]]行) * [[논공행상]]([[論]][[功]]行[[賞]]) * 무실역행([[務]][[實]][[力]]行) * [[시행착오]]([[施]]行[[錯]][[誤]]) * 제행무상([[諸]][[行]][[無]]常) * 지행합일([[知]]行[[合]][[一]]) * 행동거지(行[[動]][[擧]][[止]]) * 행로난(行[[路]][[難]]) === [[인명]] === * [[가오싱젠]]([[高]]行[[建]]) * [[고 교카이]]([[伍]] 行[[壊]]) * [[교텐 유리나]](行[[天]] [[優]][[莉]][[奈]]) * [[사이교우지 유유코]]([[西]]行[[寺]] [[幽]]々[[子]]) * [[사코이 마사유키]]([[迫]][[井]] [[政]]行) * [[아오안돈]]([[靑]]行[[燈]]) * [[오이테케보리]]([[置]]行[[堀]]) * [[유쿠하시 미조]](行[[橋]] [[未]][[造]]) * [[이인행]]([[李]][[仁]]行) * [[이행자]]([[李]]行[[子]]) * [[조수행]]([[趙]][[修]]行) * [[조행녀]]([[曹]]行[[女]]) * [[중항열]]([[仲]]行[[說]]) * [[허신행]]([[許]][[信]]行) * [[후지와라노 도시유키]]([[藤]][[原]] [[敏]]行) * [[히가시노 타카유키]]([[東]][[野]] [[貴]]行) * [[히메지마 교메이]]([[悲]][[鳴]][[嶼]] 行[[冥]]) === [[지명#s-2]] === === [[창작물]] === * 어제백행원([[御]][[製]][[百]]行[[源]]) * [[夜間行]] * [[夜行]] * [[行步 2010 尹鍾信]]~[[行步 2020 尹鍾信]]: [[윤종신]]의 앨범 시리즈 === 기타 === * [[배송대행지]]([[配]][[送]][[代]]行[[地]]) * [[원자행]]([[原]][[自]]行) * [[행보관]](行[[補]][[官]]) * [[행정고시|행시]](行[[試]]) === [[중국어]] === ==== xíng ==== * 行 [xíng] * 동) 가다 * 예) 行去 [xíngqù]: 가다 * 예2) 同行 [tóngxíng]: 동행하다 * 동) 보내다, 전달하다 * 예) 行公文 [xíng gōngwén]: 공문을 전달하다 * 동) 유행하다 * 예) 流行 [liúxíng]: 유행하다 * 동) 발행하다 * 예) 发行 [fāxíng]: 발행하다 * 동) 통용하다 * 예) 通行 [tōngxíng]: 통용하다 * 동) 실행하다 * 예) 举行 [jŭxíng]: 거행하다 * 명) 여행 * 예) 行李箱 [xínglǐxiāng]: 여행가방 * 명) 행위 * 예) 品行 [pǐnxíng]: 품행 * 형) 좋다 * 예) 行啊 [xíng a]: 좋아 * 형) 유능하다 * 예) 他真行 [tā zhēn xíng]: 그는 정말 유능하다 * 형) 한시적이다 ==== háng ==== * 行 [háng] * 명) 줄 * 예) 单行 [dānháng]: 한 줄 * 명) 순서 * 예) 排行 [páiháng]: (가족간의) 순서 * 명) 점포 * 예) 银行 [yínháng]: 은행 * 명) (도매) 영업 * 예)发行 [fāháng]: 도매상 * 양) 줄, 행 * 예) 一行字 [yìháng zì]: 글씨 한 줄 * 양) 기술, 능력을 세는 단위 ==== hàng ==== * 树行子 [shùhàngzi] 한 단어만 사용한다 * 명) 가로수 등 줄지어 있는 나무를 칭할 때 쓰는 단어 ==== héng ==== * 道行 [dàohéng] 한 단어만 사용한다 * 명) 재주, 조예, 도력, 법력 === [[일본어]] === ==== [[훈독]] ==== * 行(い)く, 行(ゆ)く: 가다 * 行(おこな)う/行(おこ)なう: 행하다, 실시하다, 취급하다 수동형 行われる(행하여지다)라는 표현도 굉장히 많이 쓴다. ex) 今度の大學修学能力試験は11月16日に行われる: 이번 [[대학수학능력시험]]은 11월 16일에 행해진다. おこなう는 行う로도 쓸 수 있고 行なう로도 쓸 수 있는데, 行う로 쓰면 行って, 行った와 같이 활용되어 行(い)く의 활용과 표기가 겹친다. 따라서 行って와 行った를 각각 おこなって와 おこなった로 읽어야 할지 いって와 いった로 읽어야 할지는 문맥을 보고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문맥상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일본어 초심자가 아닌 이상 불편함은 거의 느끼지 않는다.] 이런 경우 行なう로 표기하는 방법을 택하면 각각 行なって와 行なった로 표기하면 되므로 혼동을 피할 수 있다. ==== [[음독#s-1]] ==== 行의 음독은 세 개나 있다. 한자의 발음이 한국어보다 현저히 불규칙적인 일본어에서도 한 한자의 음독이 세 개 이상인 경우는 드물다. コウ, ギョウ, アン 순으로 많이 쓰인다. 하지만 한국/중국과는 달리 '행' - '항'의 구분은 없다. * コウ * 行(こう): ~행, ~으로 가는 것 * 淫行(いんこう): 음행 * 運行(うんこう): 운행 * 横行(おうこう): 횡행 * 慣行(かんこう): 관행 * 緩行(かんこう): 완행 * 奇行(きこう): 기행 * 逆行(ぎゃっこう): 역행 * 急行(きゅうこう): 급행 * 挙行(きょこう): 거행 * 銀行(ぎんこう): 은행 * 銀行員(ぎんこういん): 은행원 * 言行(げんこう): 언행 * 現行(げんこう): 현행 * 現行犯(げんこうはん): 현행범 * 現行法(げんこうほう): 현행법 * 行為(こうい): 행위 * 行為者(こういしゃ): 행위자 * 商行為(しょうこうい): 상행위 * 性行為(せいこうい): 성행위 * 行軍(こうぐん): 행군 * 強行軍(きょうこうぐん): 강행군 * 行使(こうし): 행사[* '권력을 행사하다'의 '행사(行使)'.] * 行進(こうしん): 행진 * 行進曲(こうしんきょく): [[행진곡]] * 行星(こうせい): 행성[* 일본어에서는 음이 같은 恒星([[항성]])와 헷갈릴 우려가 있어 行星보다는 惑星(わくせい, 혹성)라고 한다. [[혹성탈출]]의 그 혹성이다.] * 行動(こうどう): 행동 * 行路(こうろ): 행로 * 山行(さんこう): 산행 * 施行(しこう): 시행 * 施行錯誤(しこうさくご): [[시행착오]] * 實行(じっこう): 실행 * 醜行(しゅうこう): 추행[* 추한 행동] * 順行(じゅんこう): 순행 * 徐行(じょこう): 서행 * 遂行(すいこう): 수행[* 계획대로 해냄] * 随行(ずいこう): 수행[* 따라서 함] * 先行(せんこう): 선행[* 먼저 감] * 善行(ぜんこう): 선행[* 착한 일][*B 반대말의 行의 음독이 다르다.] * 走行(そうこう): 주행 * 断行(だんこう): 단행 * 直行(ちょっこう): 직행 * 追行(ついこう): 추행[* 쫓아 따라감] * 通行(つうこう): 통행 * 一方通行(いっぽうつうこう): [[일방통행]] * 右側通行(うそくつうこう): [[우측통행]] * 左側通行(さそくつうこう): [[좌측통행]] * 通行禁止(つうこうきんし): 통행금지 * 通行料(つうこうりょう): 통행료 * 同行(どうこう): 동행 * 発行(はっこう): 발행 * 蛮行(ばんこう): 만행 * 飛行(ひこう): 비행[* 낢] * 飛行機(ひこうき): 비행기 * 非行(ひこう): 비행[* 잘못된 일] * 尾行(びこう): 미행 * 品行(ひんこう): 품행 * 並行/併行(へいこう): 병행 * 歩行(ほこう): 보행 * 歩行器(ほこうき): 보행기 * 歩行者(ほこうしゃ): 보행자 * 暴行(ぼうこう): 폭행 * 履行(りこう): 이행 * 旅行(りょこう): 여행 * 連行(れんこう): 연행 * ギョウ * 行(ぎょう): 행, 줄(row) * 悪行(あくぎょう): 악행[*B] * 行間(ぎょうかん): 행간 * 行儀(ぎょうぎ): 예의, 예절 * 行事(ぎょうじ): 행사[* '행사에 참가하다'의 '행사(行事)'.] * 行商(ぎょうしょう): 행상 * 行商人(ぎょうしょうにん): 행상인 * 行状(ぎょうじょう): 행상, 품행, 행적 * 行政(ぎょうせい): 행정 * 行政府(ぎょうせいふ): [[행정부]] * 行跡(ぎょうせき): 행적 * 行列(ぎょうれつ): 행렬 * 苦行(くぎょう): 고행 * 修行(しゅぎょう): 수행 * アン * 行脚(あんぎゃ): 행각[* 이 단어는 음독이 매우 특이하다고 할 수 있는데, 行을 あん으로 읽는 몇 안 되는 용례인 데다가, 行脚僧(あんぎゃそう, 행각승)에 行脚(あんぎゃ)가 포함되므로 이를 논외로 하면 脚을 ぎゃ로 읽는 유일한 용례이기 때문이다.] 한편 읽는 방법 두 개를 공유하는 경우도 있다. * 行実(ぎょうじつ·こうじつ): 행실, 행적 * 行歩(ぎょうほ·こうほ): 행보 * 執行(しっこう·しゅぎょう): 집행 * 執行猶予(しっこうゆうよ·しゅぎょうゆうよ): [[집행유예]] == 유의자 == * [[遦]](다닐 관) * [[𨖶]]^^[⿺辶象]^^(다닐 상) * [[𠬬]]^^[⿱八及]^^(다닐 십) * [[逳]](다닐 육) * [[𢓀]]^^[⿰彳弋]^^(다닐 익) * [[倁]]/[[𢔊]]^^[⿰彳知]^^(다닐 지)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분류:6급 한자]][[분류:다음자/한국어]][[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