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覽}}}볼 람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見|{{{#000,#fff 見}}}]], 1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ラン{{{#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み-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lǎ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覽은 ''''볼 람''''이라는 [[한자]]로, '보다', '바라보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보다 || || {{{-1 '''음'''}}} ||람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lǎn || || {{{-1 '''[[광동어]]'''}}} ||laam5 || || {{{-1 '''[[객가어]]'''}}} ||lam || || {{{-1 '''민북어'''}}} ||lǎng || || {{{-1 '''민동어'''}}} ||lāng || || {{{-1 '''[[민남어]]'''}}} ||lám || || {{{-1 '''[[오어]]'''}}} ||le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ラン || || {{{-1 '''훈독'''}}} ||{{{#c88 み-る}}} || ||<-3> || ||<-2> '''[[베트남어]]''' ||lãm || [[유니코드]]에는 U+89B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尸田月山山(SWBUU)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見]](볼 견)과 소리를 나타내는 [[監]](볼 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공람([[供]]覽) * 관람([[觀]]覽) * [[관람가]]([[觀]]覽[[可]]) * 관람객([[觀]]覽[[客]]) * [[관람등급]]([[觀]]覽[[等]][[級]]) * 관람료([[觀]]覽[[料]]) * [[관람차]]([[觀]]覽[[車]]) * [[대관람차]]([[大]][[觀]]覽[[車]]) * 남침(覽[[寢]]) * 다람갈([[多]]覽[[葛]]) * 박람([[博]]覽) * [[박람회]]([[博]]覽[[會]]) * 열람([[閱]]覽)[* 간혹 '열다'에서 파생된 고유어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 [[열람실]]([[閱]]覽[[室]]) * 예람([[睿]]覽) * 요람([[要]]覽) * 유람([[遊]]覽/[[流]]覽) * [[유람선]]([[遊]]覽[[船]]) * 일람([[一]]覽) * 전람([[展]]覽) * [[전람회]]([[展]]覽[[會]]) * 편람([[便]]覽) === [[고사성어]]/[[숙어]] === * 만기친람([[萬]][[機]][[親]]覽) * 박람강기([[博]]覽[[強]][[記]]) * 을야지람([[乙]][[夜]][[之]]覽) * 일람불망([[一]]覽[[不]][[忘]]) === [[인명]] === * [[고람]]([[高]]覧) * [[김가람]]([[金]][[佳]]覽): [[LE SSERAFIM]]에서 탈퇴한 멤버 * [[박보람]]([[朴]][[寶]]覽) * 박사람([[朴]][[娑]]覽) * 상남제([[像]]覽[[蹄]]) * 소달람([[蕭]][[達]]覽) * [[왕람]]([[王]]覽) * 조하람([[曺]][[河]]覽): [[조해진]]의 장녀 * [[후람]]([[侯]]覽) === [[지명#s-2]] === * [[가오슝전람관역]]([[高]][[雄]][[展]]覽[[館]][[站]]) * [[난강전람관역]]([[南]][[港]][[展]]覽[[館]][[站]]) * [[눙예잔란관역]]([[农]][[业]][[展]]览[[馆]][[站]]) * [[박람회역]]([[博]]覽[[會]][[驛]]) * [[아시아월드엑스포역]]([[博]]覽[[館]][[站]]) === [[창작물]] === 여러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했다는 뜻에서 제목에 覽을 쓴 서적이 많다. * [[규곤요람]]([[閨]][[壼]][[要]]覽) * 금강산유람록([[金]][[剛]][[山]][[遊]]覽[[綠]]) * 금위영요람([[禁]][[衛]][[營]][[要]]覽)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무비요람]]([[武]][[備]][[要]]覽) * [[사절복색자장요람]]([[四]][[節]][[服]][[色]][[資]][[粧]][[要]]覽) * 상유비람([[桑]][[楡]][[備]]覽) * [[서북피아양계만리일람지도]]([[西]][[北]][[彼]][[我]][[兩]][[界]][[萬]][[里]][[一]]覽[[之]][[圖]]) * 수조요람([[水]][[操]][[要]]覽) * 위장필람([[爲]][[將]][[必]]覽) * 이두편람([[吏]][[讀]][[便]]覽) * 이문집람([[吏]][[文]][[輯]]覽) * 장손람전([[長]][[孫]]覽[[傳]]) * 주승필람([[籌]][[勝]][[必]]覽) * 천하고금대총편람도([[天]][[下]][[古]][[今]][[大]][[摠]][[便]]覽[[圖]]) * [[치생요람]]([[治]][[生]][[要]]覽) * [[치평요람]]([[治]][[平]][[要]]覽) * [[태평어람]]([[太]][[平]][[御]]覽) * 흥려승람([[興]][[麗]][[勝]]覽) * [[幻影博覽會]]([[환영박람회]]) === 기타 === == 유의자 == * [[看]](볼 간) * [[監]](볼 감) * [[見]](볼 견/뵈올 현) * [[觀]](볼 관) * [[覲]](뵐 근) * [[睹]](볼 도) * [[督]](감독할 독) * [[董]](감독할 동) * [[視]](볼 시) * [[謁]](뵐 알) * [[閱]](볼 열) * [[瞻]](볼 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監]](볼 감) * [[籃]](대바구니 람) * [[擥]](잡을 람) * [[藍]](쪽 람) * [[賢]](어질 현)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4급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