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5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許}}}허락할 허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言|{{{#000,#fff 言}}}]],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5급 한자|{{{#000,#fff 5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キョ{{{#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ゆる-す, {{{#c88 がり, ばか-り, もと}}}}}}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ǔ{{{#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許자는 허가하다, 허락하다를 의미하며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 상세 == 뜻을 나타내는 [[言]](말씀 언)과 소리를 나타내는 [[午]](낮 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斯]]처럼 "이것"이라는 뜻의 근칭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수사 뒤에 붙어서 [[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유니코드]]에는 U+8A31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ROJ(卜口人十)로 입력한다. * [[강희자전]]: 1151페이지 14번째 글자[[http://www.kangxizidian.com/kangxi/1151.gif| ]] == 자원 == ||<:>출전||<:>원문||<:>해설|| ||[[설문해자]]||聽也。从言午聲。|| || ||청대[br]단옥재[br]설문해자주||𦗟言也。[br]𦗟從之言也。耳與聲相入曰𦗟。引伸之凡順從曰𦗟。許、或假爲所。或假爲御。下武傳。許、進也。卽御進也。東平王蒼正作昭茲來御。又爲鄦之叚借字。[br]从言。午聲。[br]虚呂切。五部。|| || == 용례 == === [[단어]] === * [[면허]]([[免]]許) * [[수렵면허]]([[狩]][[獵]][[免]]許) * [[운전면허]]([[運]][[轉]][[免]]許) * [[장롱면허]]([[欌]][[籠]][[免]]許) * 소허([[少]]許) * 잠허([[暫]]許) * 청허([[聽]]許) * [[특허]]([[特]]許) * [[특허청]]([[特]]許[[廳]]) * [[허가]](許[[可]]) * 허급(許[[給]]) * 허다(許[[多]]) * 허다반(許[[多]][[般]]) * [[허락]](許[[諾]]) * 허문(許[[文]]) * 허부(許[[副]]) * 허상(許[[上]]) * 허시(許[[施]]) * 허여(許[[與]]) * 허용(許[[容]]) * 허유(許[[由]]) * 허접(許[[接]]) * 허종(許[[從]]) * [[허참]](許[[參]]) * 허체(許[[遞]]) === [[고사성어]]/[[숙어]] === * [[면허개전]]([[免]]許[[皆]][[傳]]) * 허유괘표(許[[由]][[掛]][[瓢]]) * 허유소부(許[[由]][[巢]][[父]])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326,770명, 전체 29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양천]](陽川)과 [[김해]](金海)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허(성씨)]] 문서 참조. 아래 예시는 대표적인 허씨들. * [[가허]]([[賈]]許) * [[추허조]]([[趨]]許[[祖]]) * [[허각]](許[[閣]]) * [[허경영]](許[[京]][[寧]]) * [[허구연]](許[[龜]][[淵]]) * [[허난설헌]](許[[蘭]][[雪]][[軒]]) * [[허준]](許[[浚]]) * [[허균]](許[[筠]]) * [[쉬니엔츠]](许[[念]][[慈]]) * [[쉬융웨]](许[[永]][[跃]]) === [[지명#s-2]] === * [[부산광역시]] [[강서구(부산)|강서구]] [[허왕후길]]([[釜]][[山]][[廣]][[域]][[市]] [[江]][[西]][[區]] 許[[王]][[后]]길) * [[서울특별시]] [[강서구(서울특별시)|강서구]] [[허준로]](서울[[特]][[別]][[市]] [[江]][[西]][[區]] 許[[浚]][[路]]) * [[세종특별자치시]] [[허만석로]]([[世]][[宗]][[特]][[別]][[自]][[治]][[市]] 許[[萬]][[石]][[路]]) === 기타 === * [[허생전]](許[[生]][[傳]]) === [[중국어]] === * 许 [xǔ] * 동) 허가하다 * 예) 允许 [yŭnxŭ]: 허락하다 * 예2) 不许 [bùxŭ]: 불허하다 * 예3) 特许 [tèxŭ]: 특허하다 * 동) 칭찬하다 * 예) 赞许[zànxŭ]: 칭찬하다 * 동) 약속하다 * 동) 약혼하다 * 동) 바치다, 주다 * 부) 아마도, 혹시 * 부) ~가량, ~정도 * 예) 少许 [shăoxŭ] : 약간쯤 * 부) 대단히, 매우 * 예) 许多 [xŭduō]: 상당히 많은 * 부) 이와같은 * 예) 如许 [rúxŭ]: 이와같은 === [[일본어]] === ==== [[훈독]] ==== * 훈독 * 상용한자표내 * ゆる-す * 상용한자표외 * もと * 許す(ゆるす, JLPT N3): 허가하다. 허락하다 ==== [[음독#s-1]] ==== * 음독 * 오음(呉音): コ(표외) * 한음(漢音): キョ * 許可(きょか, JLPT N3): 허가 ==== 기타 ==== * 許嫁·許婚(いいなずけ): 약혼자[* 훈독하기 어려운 [[숙자훈]]으로 유명하다. 일본 학교에서 국어 시험에 이 단어의 훈독을 묻는 문제가 나오기도 한다.] == 유의자 == * [[𠱓]](허락할 궤) * [[諾]](허락할 낙) == 상대자 == * [[禁]](금할 금)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忤]](거스를 오) * [[𩵱]]^^[⿰魚午]^^(농어 오) * [[𠵦]]^^[⿰吾午]^^(만날/거스를 오) * [[旿]]/[[㬳]](밝을 오) * [[玝]](사람이름 오) * [[仵]](짝 오) * [[吘]](개가싸울 우, 소가울 후, 진언 흠) * [[杵]](공이 저) * [[㞰]](산이름 허) * [[汻]](물가 호)[* [[滸]](물가 호)의 [[동자#s-2]]] * [[𠖴]]^^[⿰冫午]^^ * [[𪞸]]^^[⿰㐫午]^^ * [[𡉦]]^^[⿰土午]^^ * [[𭘔]]^^[⿰巾午]^^ * [[𱙈]]^^[⿰女午]^^ * [[𪭟]]^^[⿰扌午]^^ * [[𢨵]]^^[⿰戶午]^^ * [[𭠕]]^^[⿰手午]^^ * [[𰝿]]^^[⿰火午]^^ * [[𥘪]]^^[⿰示午]^^ * [[𥄭]]^^[⿰目午]^^ * [[𥐭]]^^[⿰石午]^^ * [[𫀩]]^^[⿰禾午]^^ * [[𬑩]]^^[⿰睡午]^^ * [[𥾿]]^^[⿰糸午]^^ * [[𰭷]]^^[⿰耳午]^^ * [[𲆨]]^^[⿰酉午]^^ * [[𫒍]]^^[⿰金午]^^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䔓]](속단 허) * [[滸]](물가 호) * [[𠼯]]^^[⿰口許]^^ * [[𤡈]]^^[⿰犭許]^^ * [[𢠇]]^^[⿰忄許]^^ * [[𭢒]]^^[⿰扌許]^^ * [[𰒊]]^^[⿱許心]^^ * [[𰘦]]^^[⿰未許]^^ * [[𤾟]]^^[⿰白許]^^ * [[𲇠]]^^[⿰金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