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豊}}}풍년 풍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豆|{{{#000,#fff 豆}}}]], 6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3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豐의 형태로 등재되어 있다.]}}}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준4급 한자|{{{#000,#fff 준4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ホウ{{{#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ゆた-か{{{#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fēng{{{#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豊획순.gif|width=130]]}}}||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豊은 ''''풍년 풍'''', ''''풍성할 풍''''이라는 [[한자]]로, '[[풍년]](豊年)', '풍성(豊盛)하다', '[[풍요]](豊饒)롭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는 U+8C4A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TWMRT(廿田一口廿)로 입력한다. 이 글자의 본자는 豐(U+8C50)이다. 갑골문 상으로는 [[그릇]]([[豆]]) 위에 식물([[木]])이 올려져 있는 모습[* 자형에 따라서 木 대신 亡이 있는 것도 있다.]을 본떠 만든 [[상형자]]로 '풍족하다', '풍요롭다'의 뜻을 나타냈다. 한대 이후로 豊이 豐의 약자로 쓰이고 있지만, 豊와 豐은 본래 서로 다른 글자였다. 豊는 [[禮]](예도 례)의 고자(古字)이다. [[설문해자]]에서도 두 글자는 따로 설명되어있다. 대만, 홍콩에서는 본자 豐을 쓰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약자 豊을 쓴다. 중국은 간체자 丰. == 자형 == || [[파일:42_E569.svg|width=100]] || [[파일:32_E475.svg|width=100]] || [[파일:27_8C4A.svg|height=100]] || || [[갑골문]] || [[금문]] || [[소전]] || == 용례 == === [[단어]] === * 풍걸(豐[[乞]]) * [[풍년]](豊[[年]]) * 풍년거지(豊[[年]]거지) * 풍부(豊[[富]]) * 풍성(豊[[盛]]) * 풍어(豊[[漁]]) * 풍요(豊[[饒]]) === [[고사성어]]/[[숙어]] === * 시화세풍([[時]][[和]][[歲]]豊) * 풍년화자(豊[[年]][[花]][[子]]) * 풍형예대(豊[[亨]][[豫]][[大]]) === [[인명]] === * [[김풍기]]([[金]]豊[[氣]]) * [[기세풍]]([[奇]][[世]]豊) *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 [[秀]][[吉]]) * [[라쿠오카 호후]]([[楽]][[丘]] 豊[[富]]) * [[미즈타니 유타카]]([[水]][[谷]] 豊) * [[풍왕|부여풍]]([[扶]][[餘]]豊) * [[분고 야요이]](豊[[後]] [[弥]][[生]]) * [[와타츠키노 토요히메]]([[綿]][[月]] 豊[[姫]]) * [[이이토요 사쿠타로]]([[飯]]豊 [[朔]][[太]][[郎]]) * [[타케 유타카]]([[武]] 豊) * [[토요사키 아키]](豊[[崎]] [[愛]][[生]]) * [[토요구치 메구미]](豊[[口]] めぐみ) * [[토요다 사키치]](豊[[田]] [[佐]][[吉]]) * [[토요다 키이치로]](豊[[田]] [[喜]][[一]][[郞]]) * [[토요다 아키오]](豊[[田]] [[章]][[男]]) * [[토요사토미미노 미코]](豊[[聡]][[耳]] [[神]][[子]]) * [[함풍제]]([[咸]]丰[[帝]]) === [[지명#s-2]] === * 서울 * [[신풍역]]([[新]]豊[[驛]]) * [[하남풍산역]]([[河]][[南]]豊[[山]][[驛]]) * 경상북도 * 안동시 [[풍산읍]](豊[[山]][[邑]]), [[풍천면]](豊[[川]][[面]]) * 영주시 [[풍기읍]](豊[[基]][[邑]]) * [[영풍군(행정구역)|영풍군]](榮[[豊]][[郡]]) * 예천군 은풍면([[殷]]豊[[面]])과 풍양면(豊[[壤]][[面]]) * 청도군 풍각면(豊[[角]][[面]]) * 전라남도 * 고흥군 풍양면(豊[[陽]][[面]]) * 화순군 청풍면([[淸]]豊[[面]]) * 전라북도 * 무주군 무풍면([[茂]]豊[[面]]) * 순창군 풍산면(豊[[山]][[面]]) * 충청남도 * 공주시 신풍면([[新]]豊[[面]]) *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豊[[歲]][[面]]) * 충청북도 * 괴산군 연풍면([[延]]豊[[面]]) * 함경남도 [[풍산군]](豊[[山]][[郡]]) === 본관 === * [[풍양 조씨]](豐[* 호적 등 공문서에는 豊이 쓰이나, 문중에서는 대내적으로 이 글자를 사용한다.][[壤]] [[趙]][[氏]]) * [[풍산 홍씨]](豊[[山]] [[洪]][[氏]]) * [[류(성씨)|풍산 류씨]](豊[[山]] [[柳]][[氏]]) * [[진(성씨)|풍기 진씨]](豊[[基]] [[秦]][[氏]]) == 유의자 == * [[盛]](성할 성) * [[興]](일 흥, 일어날 흥) == 상대자 == * [[歉]](흉년들 겸) * [[落]](떨어질 락) * [[亡]](망할 망) * [[衰]](쇠할 쇠) * [[退]](물러날 퇴) * [[凶]](흉할 흉) [[분류:준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본자로 잘못 알려진 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