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象}}}코끼리 상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豕|{{{#000,#fff 豕}}}]],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2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ョウ, ゾウ{{{#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たち, かたど-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à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象은 ''''코끼리 상''''이라는 [[한자]]로, '[[코끼리]]', '[[모양]]', '본뜨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코끼리 || || {{{-1 '''음'''}}} ||상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iàng || || {{{-1 '''[[광동어]]'''}}} ||zoeng^^6^^ || || {{{-1 '''[[객가어]]'''}}} ||siong || || {{{-1 '''[[민동어]]'''}}} ||chiông || || {{{-1 '''[[민남어]]'''}}} ||chhiūⁿ[*白 [[백독]]] / siōng[*文 [[문독]]] || || {{{-1 '''[[오어]]'''}}} ||xxian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ョウ, ゾウ || || {{{-1 '''훈독'''}}} ||{{{#c88 かたち, かたど-る}}} || ||<-3> || ||<-2> '''[[베트남어]]''' ||tượng || [[유니코드]]에는 U+8C6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弓日心人(NAPO)으로 입력한다. 고대에는 황하 유역에서도 코끼리가 살았었고 고대 중국인들이 그 코끼리의 모습을 본뜬 [[상형자]]이다. ク처럼 생긴 위쪽 부분이 코끼리의 코, 중간의 사각형이 얼굴, [[豕]](돼지 시) 자를 닮은 아래 부분이 코끼리의 네 다리와 꼬리 부분에 해당한다. 이 글자는 '모양', '형상', '본뜨다'라는 뜻도 있는데, [[상형자]](象形字)라는 단어 자체에 이 글자가 쓰인다. '본뜨다'라는 의미는 옛 중국의 상황과 관련이 있다. 중국 땅에 있던 코끼리의 [[서식지 파괴]]되자 옛 중국인들은 살아 있는 코끼리를 보는 일이 드물어졌다. 그래서 죽은 코끼리의 뼈를 구하여 이를 근거로 코끼리의 그림을 그렸다. 그리고는 살아 있는 코끼리를 상상하였는데, 이로 인하여 마음 속으로 떠올려 생각한 것을 상(象)이라고 이르게 되었다. 참고로 이 내용은 고사성어로 [[견골상상]]이라 한다. == 용례 == === [[단어]] === * [[상아]](象[[牙]]) * [[상징]](象[[徵]]) * 상징적(象[[徵]][[的]]) * [[상징적 국가원수]](象[[徵]][[的]] [[國]][[家]][[元]][[首]]) * [[구상]]([[具]]象) * [[기상]]([[氣]]象) * [[기상청]]([[氣]]象[[廳]]) * 기상관측([[氣]]象[[觀]][[測]]) * [[대상]]([[對]]象) * 대상자([[對]]象[[者]]) * [[사상]]([[事]]象) * [[인상]]([[印]]象) * 인상적([[印]]象[[的]]) * [[현상]]([[現]]象) * 간섭현상([[干]][[涉]][[現]]象) * [[백화현상]]([[白]][[化]][[現]]象) * 사회현상([[社]][[會]][[現]]象) * 자연현상([[自]][[然]][[現]]象) * [[형상]]([[形]]象) === [[고사성어]]/[[숙어]] === * [[상아탑]](象[[牙]][[塔]]) * 만휘군상([[萬]][[彙]][[群]]象) * [[삼라만상]]([[森]][[羅]][[萬]]象) * 천태만상([[千]][[態]][[萬]]象) === [[인명]] === * [[걸걸중상]]([[乞]][[乞]][[仲]]象) * [[송상현]]([[宋]]象[[賢]]) * [[심상규]]([[沈]]象[[奎]]) * [[육상선]]([[陸]]象[[先]]) === [[지명#s-2]] === === [[창작물]] === * [[印象]] * [[森羅万象]] * [[事象と空想]] === 기타 === * 상장(象[[將]]): [[장기]] 용어 == 유의자 == * [[貌]](모양 모) * [[狀]](형상 상) * [[像]](모양 상) * [[樣]](모양 양) * [[姿]](모양 자) * [[態]](모습 태) * [[形]](형상 형)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鐌]](그릇꼭지 상) * [[蟓]](누에 상) * [[𨖶]](다닐 상) * [[像]](모양 상) * [[鱌]](물고기이름 상) * [[嶑]](산이름 상) * [[橡]](상수리 상) * [[潒]](세찰 상, 펀할 탕) * [[襐]](수식 상) * [[𩞧]](점심 상) * [[𤩪]](코끼리 상)[* [[象]](코끼리 상)의 [[동자#s-2]]] * [[勨]](느슨할 양) * [[䂊]](창 여, 맡길/미리 예) * [[𩕓]](맡길 예) * [[豫]](미리 예) * [[𢠽]](방자할 탕) * [[𢒶]] * [[𢄵]] * [[𢇐]] * [[𢐣]] * [[𤡸]] * [[𪮱]] * [[𦺨]] * [[𫂤]] * [[𧬛]] * [[𫏡]] * [[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