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跡}}}발자취 적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足|{{{#000,#fff 足}}}]], 6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セキ, {{{#c88 シャク}}}}}}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あと{{{#c88 }}}}}}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jì, {{{#c88 jī}}}}}}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跡은 ''''발자취 적''''이라는 [[한자]]로, '발자취'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발자취 || || {{{-1 '''음'''}}} ||적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jì[* 중국 대륙], {{{#c88 jī}}}[* 대만] || || {{{-1 '''[[광동어]]'''}}} ||zik1 || || {{{-1 '''[[객가어]]'''}}} ||chiak || || {{{-1 '''[[민북어]]'''}}} ||hō̤ || || {{{-1 '''[[민동어]]'''}}} ||hŏk || || {{{-1 '''[[민남어]]'''}}} ||chek[*文 [[문독]]] / chiah[*白 [[백독]]] / liah[* [[백독]], 속음, 타이베이 등], jiah[* [[백독]], 속음, 가오슝 등] || || {{{-1 '''[[오어]]'''}}} ||tseq (T4) || ||<-3> || ||<|2> '''[[일본어]]''' || {{{-1 '''음독'''}}} ||セキ, {{{#c88 シャク}}} || || {{{-1 '''훈독'''}}} ||あと || ||<-3> || ||<-2> '''[[베트남어]]''' ||tích || [[유니코드]]에는 U+8DE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口一卜中金(RMYLC)으로 입력한다. 이 글자와 [[蹟]](자취 적), 그리고 [[迹]](자취 적)은 서로 [[이체자]] 관계이다. 따지자면 迹의 형태가 본자(本字)이고 蹟과 跡은 파생된 형태이다. 원래 迹은 뜻을 나타내는 [[辵]](쉬엄쉬엄갈 착)과 소리를 나타내는 朿(가시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금문]]까지는 辵+朿의 형태였으나, [[소전]]으로 넘어오면서 朿 부분이 형태와 발음이 비슷한 [[亦]](또 역)으로 대체되면서 현재의 자형을 가지게 되었다. 여기서 辵 대신 [[足]](발 족)을 부수로 삼은 것이 跡이며, 亦 대신 [[責]](꾸짖을 책)을 성부(聲符)로 삼은 것이 蹟이다. 따라서 원론적으로는 이 세 글자 사이에 의미상의 차이는 없다. 현재에 이르러서는 각 지역마다 세 글자를 취급하는 방식이 조금씩 다르다. 먼저 한국의 경우,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글자는 跡이다. 그러나 '유적', '행적'과 관련된 일부 단어에서는 蹟의 형태가 우위에 있다. 迹은 보통 跡의 이체자로 취급되어 잘 쓰이지 않는다. 간체자를 쓰는 중국 대륙에서는 迹을 규범자로 지정하였으며, 跡과 蹟은 迹의 이체자로 간주한다. 일본에서는 跡만 상용한자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跡의 형태로 통일되어 있다. == 용례 == === [[단어]] === * [[궤적]]([[軌]]跡) * [[기적]]([[奇]]跡) * [[유적]]([[遺]]跡) * 종적([[蹤]]跡)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토비야마죠아토역]]([[飛]][[山]][[城]]跡[[停]][[留]][[場]]) === [[창작물]] === * [[進撃の軌跡]]([[진격의 궤적]]) * [[草原の王女 -軌跡を辿って-]] * [[軌跡]] == 유의자 == * [[蹟]]/[[迹]](자취 적) == 모양이 비슷한 한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