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세칙을 따릅니다. 수정 시 참고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軈}}}잠시 응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身|{{{#000,#fff 身}}}]], 17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24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やが-て}}}}}}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잠시', '잠깐'이라는 뜻의 일본 고유 한자이다. [[身]](몸 신)과 [[應]](응할 응)이 합쳐진 [[회의자]]로, '몸으로써 반응하다'라는 뜻을 나타낸다. '곧'이라는 뜻의 [[일본어]] 軈(やが)て에 쓰지만 軈은 일본 상용 한자도 아니고 너무 어려워서 보통 [[히라가나]]로만 쓴다. [[應]](응할 응)은 [[일본어]]에서 応으로 줄여 쓰는데, 더 복잡한 軈은 상용한자가 아닌 관계로 應을 줄이지 않고 그대로 쓰게 되었다. 이 나무위키 문서에서는 임의로 네이버 한자 사전의 훈음을 따 '잠시 응'으로 제목을 표기하였다. * [[유니코드]]: 8EC8 * [[창힐수입법]]: 竹竹戈人心(HHIOP) == 유의자 == * [[頃]](이랑/잠깐 경) * [[乍]](잠깐 사) * [[臾]](잠깐 유) * [[暫]](잠깐 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㶐]](물 이름 응) * [[𥌾]](응시할 응)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일본 고유 한자]][[분류:음을 알 수 없는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