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辛}}}매울 신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辛, 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7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중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3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シン{{{#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から-い, {{{#c88 かのと, つら-い}}}}}}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xīn{{{#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辛-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辛은 ''''매울 신''''이라는 [[한자]]로, '맵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8F9B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TJ(卜廿十)로 입력한다. 인기 상품인 [[신라면]]의 포장지에 한자로 적혀 있어서 한국인들에게 친숙한 한자이다. [include(틀:십간과 십이지)] [[십간]]중 8번째 글자로서 [[십이지]]와 함께 [[갑자]]를 이룬다. 다만 십이지에도 한자만 다른 신(申)이 있다 보니 한국어, 일본어 음독으로는 헷갈리는 편. 또한 두 한자 모두 한국의 [[신(성씨)|'신' 성씨]]를 이룬다. * 辛자를 포함한 갑자가 들어간 역사적 사건들 * [[신해혁명]](辛亥革命) * [[신임사화]](辛壬士禍) * [[신미양요]](辛未洋擾) * [[신유박해]](辛酉迫害) === 자형 === [[문신|종의 이마에 먹실을 넣는]] 바늘의 모양을 본딴 [[상형자]]이다. 본래의 의미는 '고통스럽다'에 가까운 글자였다. 이 글자는 선진시기부터 식물이 지닌 쓴맛, 매운맛 등 자극성 맛을 표현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으며, [[오미]](五味) 중 하나로 취급받았다. 한글 '푸'와 비슷하게 생겼다. ||[[파일:60px-辛-seal.svg.png]]|| || 소전체 || == 용례 == === [[단어]] === * 상신([[上]]辛) * 상신열무([[上]]辛[[熱]][[舞]]) * 신랄(辛[[辣]]) * [[신묘]](辛[[卯]]) * 신묘자(辛[[卯]][[字]]) * [[매운맛|신미]](辛[[味]]) * 신미료(辛[[味]][[料]]) * [[신미#s-2]](辛[[未]]) * [[신사(간지)|신사]](辛[[巳]]) * 신사무옥(辛[[巳]][[誣]][[獄]]) * [[신승#toc|신승(辛勝)]] * [[신유]](辛[[酉]]) * 신유교난(辛[[酉]][[敎]][[難]]) * 신유대훈(辛[[酉]][[大]][[訓]]) * [[신유사옥]](辛[[酉]][[邪]][[獄]]) * [[신축]](辛[[丑]]) * [[신해]](辛[[亥]]) * 신해교난(辛[[亥]][[敎]][[難]]) * [[신해사옥]](辛[[亥]][[邪]][[獄]]) * 오신([[五]]辛) * [[오신채]]([[五]]辛[[菜]]) * [[향신료]]([[香]]辛[[料]]) === [[고사성어]]/[[숙어]] === * [[간난신고]]([[艱]][[難]]辛[[苦]]) * 산신([[酸]]辛) * 입립개신고([[粒]][[粒]][[皆]]辛[[苦]]) * 입립신고([[粒]][[粒]]辛[[苦]]) * 적년신고([[積]][[年]]辛[[苦]]) * 천신만고([[千]]辛[[萬]][[苦]])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192,877명, 전체 42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영산(靈山)과 영월(寧越)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신(성씨)]] 문서 참조. === [[지명#s-2]] === *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상신리([[上]]辛[[里]]) * [[충청남도]] [[공주시]] [[반포면]] 상신리([[上]]辛[[里]]) * [[충청남도]] [[서천군]] [[기산면]] 신산리(辛[[山]][[里]]) * [[카라시마쵸역]](辛[[島]][[町]][[停]][[留]][[場]]) === [[창작물]] === * [[激辛LOVE/Now Now Ningen/こんなハズジャナカッター!]] * [[狼と香辛料]]([[늑대와 향신료]]) * [[辛夷其ノ壱]](목련 그 첫번째) === 기타 === * [[신라면]](辛라면) * 신묘록(辛[[卯]][[錄]]) * 신묘중광록(辛[[卯]][[重]][[光]][[錄]]) * 신사변무시말(辛[[巳]][[辨]][[誣]][[始]][[末]]) === [[일본어]] === ==== [[훈독]] ==== * 辛い (からい, JLPT L5) : 맵다, 짜다 * 辛い (つらい) : 고통스럽다 ==== [[음독#s-1|음독]] ==== 辛抱(しんぼう): 참고 견딤. (辛抱強い: 참을성있다) === [[중국어]] === 중국어에서는 '힘들다', 고생스럽다'라는 의미로만 쓰인다. (辛苦了。= 고생하셨습니다.) 맛이 맵다는 의미로는 [[辣]]을 쓴다. 이로 인해, 오해의 여지가 큰 [[파오차이]]를 대신하기 위한 [[김치]]의 중국어 번역어로 한국 정부가 밀고 있는 신치(辛奇)가 잘 홍보되지 못하고 있다. [[스프라이트(음료)|스프라이트]]의 사례와도 비슷한 경우라 할 수 있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 매울신부 강희자전안에 160번째 기록 돼 있는 부수로써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36개이다. 설문해자에서 별도 부수로 세운 辡(송사할 변)을 병합했지만, 이 글자는 뜻보다는 형성자의 음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서 설문해자의 辡부에는 오직 말잘할 변(辯) 하나밖에 없던 것을 강희자전에서는 다른 부수에 속하던 글자까지 많이 매울 신부로 끌어왔다. 그러나 다 끌어온 것은 아니고 외씨 판(瓣), 땋을 변(辮)은 각각 오이과변, 실사변에 그대로 남아 있어서 부수 분류에 일관성이 없다. == 유의자 == * [[辣]](매울 랄) * [[烈]](매울 렬) * [[嚛]](매울 학) * [[𨐶]]^^[⿰辛畫]^^(매울 획)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𦍒]](어린양 달) * [[丵]](풀무성할 착) * [[幸]](다행 행) * --푸--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莘]](세신 신) * [[宰]](재상 재) == 여담 == * [[그것이 당신의 행복이라 할지라도]]의 가사 중 僕にもがいてる文字にひとつ線を引かせて(내게 발버둥치는 글자에 선 하나를 긋게 해줘)에서 辛과 [[幸]](다행 행)의 모양이 비슷한 점을 이용한 언어유희가 나온다. 辛い(괴롭다)의 辛와 い에 각각 선 하나를 그으면 각각 幸과 せ가 되어 幸せ(행복)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분류:3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