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辭}}}말씀 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辛|{{{#000,#fff 辛}}}]], 12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9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4급 한자|{{{#000,#fff 4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ジ{{{#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や-める, {{{#c88 ことば, ことわ-る}}}}}}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í{{{#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辭는 ''''말씀 사''''라는 [[한자]]로, '말씀', '그만두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말씀 || || {{{-1 '''음'''}}} ||사 || ||<-3> || ||<|6>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cí || || {{{-1 '''[[광동어]]'''}}} ||ci^^4^^ || || {{{-1 '''[[객가어]]'''}}} ||- || || {{{-1 '''[[민동어]]'''}}} ||sṳ̀ || || {{{-1 '''[[민남어]]'''}}} ||sîr || || {{{-1 '''[[오어]]'''}}} ||zr || ||<-3> || ||<|2> '''[[일본어]]''' || {{{-1 '''음독'''}}} ||ジ || || {{{-1 '''훈독'''}}} ||や-める, {{{#c88 ことば, ことわ-る}}} || ||<-3> || ||<-2> '''[[베트남어]]''' ||từ || [[유니코드]]에는 U+8FAD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BYTJ(月月卜廿十)로 입력한다. [[𤔔]](어지러울 란)과 [[辛]](매울 신)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여러 뜻이 있는데, 형법도구의 일종인 辛에서도 볼 수 있듯이 본래 뜻은 '소송', '소송을 걸다', '송사하다'이다. 후에 의미가 파생되어 '구실로 삼다', '핑계', '자백하다'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또한 '단어', '연설', '말하다'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詞]](말씀 사)와 서로 통가된다. 또한 '사퇴(辭退)', '사임(辭任)와 같이 '직책에서 물러나다'의 뜻도 가지고 있으며, '불사(不辭)', '고사(固辭)'와 같이 '거절하다'의 의미도 가지고 있다. == 용례 == === [[단어]] === * [[가사#s-2.1]]([[歌]]辭) * 가사문학([[歌]]辭[[文]][[學]]) * 가사체([[歌]]辭[[體]]) * 고산가사([[孤]][[山]][[歌]]辭) * 규방가사([[閨]][[房]][[歌]]辭) * 기행가사([[紀]][[行]][[歌]]辭) * 내방가사([[內]][[房]][[歌]]辭) * 송강가사([[松]][[江]][[歌]]辭) * 각사([[覺]]辭) * 간사([[懇]]辭) * 감사([[甘]]辭) * 개회사([[開]][[會]]辭) * 객사([[客]]辭) * 격려사([[激]][[勵]]辭) * 견사([[遣]]辭) * 파견사([[派]][[遣]]辭) * 결사([[訣]]辭) * 영결사([[永]][[訣]]辭) * 결사([[結]]辭) * 겸사([[謙]]辭) * 겸양사([[謙]][[讓]]辭) * [[계사#s-2]]([[繫]]辭) * 계사전([[繫]]辭[[傳]]) * 계사([[啓]]辭) * 계사문안([[啓]]辭[[問]][[安]]) * 약방계사([[藥]][[房]][[啓]]辭) * 고사([[告]]辭) * 총고사([[總]][[告]]辭) * 고사([[苦]]辭) * [[고사#s-4]]([[固]]辭) * 공사([[供]]辭/[[控]]辭) * 공치사([[功]][[致]]辭) * 관사([[關]]辭) * 괘사([[卦]]辭) * 괴사([[怪]]辭) * 구사([[苟]]辭) * 권사([[權]]辭) * 권의지로사([[勸]][[義]][[指]][[路]]辭) * 궤사([[詭]]辭) * 귀거래사([[歸]][[去]][[來]]辭) * 기념사([[紀]][[念]]辭/[[記]][[念]]辭) * 기저사색([[氣]][[沮]]辭[[塞]]) * 난사([[亂]]辭) * 날사([[揑]]辭) * 노사([[勞]]辭) * 다사음([[多]]辭[[音]]) * 달사([[達]]辭) * 답사([[答]]辭) * 당사([[唐]]辭) * 대사([[臺]]辭) * 대사극([[臺]]辭[[劇]]) * 독사([[瀆]]辭) * 두사([[頭]]辭) * 권두사([[卷]][[頭]]辭) * 연두사([[年]][[頭]]辭) * [[접두사]]([[接]][[頭]]辭) * 둔사([[遁]]辭) * 만사([[慢]]辭/[[蔓]]辭) * [[명사]]([[名]]辭) * 개체명사([[個]][[體]][[名]]辭) * 구상명사([[具]][[象]][[名]]辭) * 구체명사([[具]][[體]][[名]]辭) * 단독명사([[單]][[獨]][[名]]辭) * 단순명사([[單]][[純]][[名]]辭) * 단칭명사([[單]][[稱]][[名]]辭) * [[대명사]]([[大]][[名]]辭) * 매명사([[媒]][[名]]辭) * 모순명사([[矛]][[盾]][[名]]辭) * 반대명사([[反]][[對]][[名]]辭) * [[보통명사]]([[普]][[通]][[名]]辭) * 부정명사([[否]][[定]][[名]]辭) * 부정적 명사([[否]][[定]][[的]] [[名]]辭) * 소극명사([[消]][[極]][[名]]辭) * 소명사([[小]][[名]]辭) * [[일반명사]]([[一]][[般]][[名]]辭) * 적극명사([[積]][[極]][[名]]辭) * [[중명사]]([[中]][[名]]辭) * [[추상명사]]([[抽]][[象]][[名]]辭) * 추상적 명사([[抽]][[象]][[的]] [[名]]辭) * 매사([[媒]]辭) * 맹사([[盟]]辭) * 모사([[貌]]辭) * 목란사([[木]][[蘭]]辭) * 무사([[蕪]]辭) * 무사발명([[無]]辭[[發]][[明]]) * 문사([[文]]辭) * 고문사([[古]][[文]]辭) * 고문사파([[古]][[文]]辭[[派]]) * 물사([[物]]辭) * 미사([[美]]辭) * 미사학([[美]]辭[[學]]) * 미사([[微]]辭) * 반사([[反]]辭) * 발사([[跋]]辭) * 배사([[拜]]辭) * 변사([[變]]辭) * 별사([[別]]辭) * 결별사([[訣]][[別]]辭) * 고별사([[告]][[別]]辭) * 송별사([[送]][[別]]辭) * 전별사([[餞]][[別]]辭) * 병사([[病]]辭) * 복사([[卜]]辭) * 은허복사([[殷]][[墟]][[卜]]辭) * 봉사([[奉]]辭) * 봉사교청([[奉]]辭[[敎]][[請]]) * 불감찬일사([[不]][[敢]][[贊]][[一]]辭) * 불사([[不]]辭) * 비사([[肥]]辭/[[卑]]辭/[[比]]辭/[[費]]辭/[[批]]辭) * [[빈사#s-4]]([[賓]]辭) * 사거(辭[[去]]) * 사결(辭[[訣]]) * 사관(辭[[官]]) * 사궁(辭[[窮]]) * 사금(辭[[禁]]) * 사기(辭[[氣]]) * 사단(辭[[單]]) * 사련(辭[[連]]) * [[사령#s-6]](辭[[令]]) * 사령서(辭[[令]][[書]]) * 사령장(辭[[令]][[狀]]) * 선사령([[善]]辭[[令]]) * 신문사령([[新]][[聞]]辭[[令]]) * [[외교사령]]([[外]][[交]]辭[[令]]) * 사례사([[謝]][[禮]]辭) * 사림(辭[[林]]) * 사면(辭[[免]]) * 사명(辭[[命]]) * 사별(辭[[別]]) * [[초사|사부]](辭[[賦]]) * 해동사부([[海]][[東]]辭[[賦]]) * 사비(辭[[費]]) * [[사사]]([[謝]]辭/[[邪]]辭/辭[[謝]]) * 사색(辭[[色]]) * 사서(辭[[書]]) * 백과사서([[百]][[科]]辭[[書]]) * 인명사서([[人]][[名]]辭[[書]]) * 사설(辭[[說]]) * 사설시조(辭[[說]][[時]][[調]]) * 사세(辭[[歲]]) * [[사세구]](辭[[世]][[句]]) * 사수(辭[[受]]) * 사신(辭[[神]]) * [[사양#s-1]](辭[[讓]]) * 사연(辭[[緣]]) * 연분홍사연([[軟]][[粉]][[紅]]辭[[緣]]) * [[사원#s-8]](辭[[源]]) * [[사의#s-4]](辭[[意]]) * [[사임]](辭[[任]]) * 사임사(辭[[任]]辭) * 사임원(辭[[任]][[願]]) * 사임장(辭[[任]][[狀]]) * 인책사임([[引]][[責]]辭[[任]]) * 사장(辭[[狀]]/辭[[章]]/辭[[掌]]) * [[사전]](辭[[典]]) * 고어사전([[古]][[語]]辭[[典]]) * 과학사전([[科]][[學]]辭[[典]]) * [[국어사전]]([[國]][[語]]辭[[典]]) * [[대사전]]([[大]]辭[[典]]) * 독한사전([[獨]][[韓]]辭[[典]]) * 문예사전([[文]][[藝]]辭[[典]]) * 물리학사전([[物]][[理]][[學]]辭[[典]]) * 법률학사전([[法]][[律]][[學]]辭[[典]]) * 불불사전([[佛]][[佛]]辭[[典]]) * 불한사전([[佛]][[韓]]辭[[典]]) * 사전편찬학(辭[[典]][[編]][[纂]][[學]]) * 사전학(辭[[典]][[學]]) * 소사전([[小]]辭[[典]]) * 신어사전([[新]][[語]]辭[[典]]) * 어휘사전([[語]][[彙]]辭[[典]]) * [[영영사전]]([[英]][[英]]辭[[典]]) * [[영한사전]]([[英]][[韓]]辭[[典]]) * 일일사전([[日]][[日]]辭[[典]]) * 일한사전([[日]][[韓]]辭[[典]]) * 중사전([[中]]辭[[典]]) * 중중사전([[中]][[中]]辭[[典]]) * 중한사전([[中]][[韓]]辭[[典]]) * 한독사전([[韓]][[獨]]辭[[典]]) * 한미사전([[韓]][[美]]辭[[典]]) * 한불사전([[韓]][[佛]]辭[[典]]) * 한영사전([[韓]][[英]]辭[[典]]) * 한일사전([[韓]][[日]]辭[[典]]) * [[한자사전]]([[漢]][[字]]辭[[典]]) * 한중사전([[韓]][[中]]辭[[典]]) * 사절(辭[[絶]]) * 사조(辭[[朝]]/辭[[藻]]/辭[[調]]) * 사종(辭[[宗]]) * 사증(辭[[證]]) * [[사직#s-1]](辭[[職]]) * [[권고사직]]([[勸]][[告]]辭[[職]]) * 사직권고(辭[[職]][[勸]][[告]]) * 사직상소(辭[[職]][[上]][[疏]]) * [[사직서]](辭[[職]][[書]]) * 사직원(辭[[職]][[願]]) * 사직원서(辭[[職]][[願]][[書]]) * 사직청원(辭[[職]][[請]][[願]]) * 사직청원서(辭[[職]][[請]][[願]][[書]]) * 인책사직([[引]][[責]]辭[[職]]) * 총사직([[總]]辭[[職]]) * 현도사직([[縣]][[道]]辭[[職]]) * 사진의부진(辭[[盡]][[意]][[不]][[盡]]) * 사차(辭[[箚]]) * 사체(辭[[遞]]) * 사취(辭[[趣]]) * [[사퇴]](辭[[退]]) * 총사퇴([[總]]辭[[退]]) * 사폐(辭[[陛]]) * [[사표]](辭[[表]]) * 사피(辭[[避]]) * [[사해(동음이의어)#s-5|사해]](辭[[海]]) * 사휘(辭[[彙]]) * 서사([[誓]]辭/[[書]]辭) * [[소사]]([[小]]辭/[[疏]]辭) * 속사([[屬]]辭) * 손사([[遜]]辭) * 송년사([[送]][[年]]辭) * 송사([[送]]辭) * 환송사([[歡]][[送]]辭) * 송사([[頌]]辭) * 쇄사([[鎖]]辭) * [[수사#s-1.4]]([[修]]辭) * [[수사법]]([[修]]辭[[法]]) * [[수사학]]([[修]]辭[[學]]) * [[외교적 수사]]([[外]][[交]][[的]] [[修]]辭) * [[식사#s-2]]([[式]]辭) * 개식사([[開]][[式]]辭) * 폐식사([[閉]][[式]]辭) * 식사([[飾]]辭) * 신사([[愼]]辭) * 신년사([[新]][[年]]辭) * 실사([[實]]辭) * 실사사초([[實]]辭[[莎]][[草]]) * 애도사([[哀]][[悼]]辭) * 양사([[釀]]辭) * 양화사([[楊]][[花]]辭) * 어부사([[漁]][[父]]辭) * [[어사#s-2]]([[語]]辭) * 언사([[言]]辭) * 여사([[麗]]辭) * 역사([[歷]]辭) * 연사([[連]]辭) * 예사([[例]]辭) * [[옥사#s-5]]([[獄]]辭) * 웅사([[雄]]辭) * 원사([[怨]]辭/[[爰]]辭) * 위사([[偉]]辭/[[僞]]辭/[[慰]]辭) * 유사([[諛]]辭/[[遊]]辭) * 음사([[淫]]辭) * 읍사([[泣]]辭) * 의사([[疑]]辭) * 이임사([[離]][[任]]辭) * 장사([[狀]]辭) * 장진주사([[將]][[進]][[酒]]辭) * 전사([[牋]]辭) * 절명사([[絶]][[命]]辭) * 점사([[占]]辭) * [[접미사]]([[接]][[尾]]辭) * [[접사#s-1]]([[接]]辭) * 굴곡접사([[屈]][[曲]][[接]]辭) * [[접요사]]([[接]][[腰]]辭) * [[접중사]]([[接]][[中]]辭) * [[접사#s-1|접환사]]([[接]][[環]]辭) * 정사([[呈]]辭) * 정사장([[呈]]辭[[狀]]) * 정사([[情]]辭) * 제사([[題]]辭) * 제사례채([[題]]辭[[例]][[債]]) * [[조사#s-1]]([[助]]辭) * [[어조사]]([[語]][[助]]辭) * 조사([[朝]]辭) * [[제조사#s-2]]([[除]][[朝]]辭) * 조사([[弔]]辭/[[措]]辭/[[藻]]辭) * 종사([[終]]辭) * 주례사([[主]][[禮]]辭) * 주사([[主]]辭/[[奏]]辭/[[呪]]辭) * 준사([[峻]]辭) * 차사([[嗟]]辭/[[箚]]辭) * 찬사([[讚]]辭/[[贊]]辭) * 참사([[鑱]]辭) * 책사([[責]]辭) * 첨사([[籤]]辭/[[添]]辭) * [[초사]]([[楚]]辭) * 초사([[招]]辭) * 추념사([[追]][[念]]辭) * 추도사([[追]][[悼]]辭) * 추사([[推]]辭) * 추풍사([[秋]][[風]]辭) * [[축사#s-2]]([[祝]]辭) * 경축사([[慶]][[祝]]辭) * 기우축사([[祈]][[雨]][[祝]]辭) * 췌사([[贅]]辭) * 취사([[取]]辭) * 취임사([[就]][[任]]辭) * [[치사#s-4]]([[致]]辭) * 공치사([[空]][[致]]辭/[[功]][[致]]辭) * 칭사([[稱]]辭) * 탁사([[託]]辭) * 탄사([[嘆]]辭) * 찬탄사([[讚]][[嘆]]辭) * 탄사([[歎]]辭/[[誕]]辭) * 토사([[吐]]辭) * [[통사#s-4]]([[統]]辭) * [[통사론]]([[統]]辭[[論]]) * 통사부([[統]]辭[[部]]) * 편언척사([[片]][[言]][[隻]]辭) * 폄사([[貶]]辭) * 폐회사([[閉]][[會]]辭) * 피사([[詖]]辭/[[避]]辭) * 하사([[賀]]辭/[[嘏]]辭) * 함사([[緘]]辭) * 합사([[合]]辭) * 허사([[虛]]辭) * 헌사([[獻]]辭) * 협사([[脅]]辭) * 화사([[華]]辭) * 환영사([[歡]][[迎]]辭) * 훈사([[訓]]辭) * 광묘어제훈사([[光]][[廟]][[御]][[製]][[訓]]辭) * 광묘훈사([[光]][[廟]][[訓]]辭) * 흉사([[兇]]辭) === [[고사성어]]/[[숙어]] === * [[두주불사]]([[斗]][[酒]][[不]]辭) * 무사가답([[無]]辭[[可]][[答]]) * [[미사여구]]([[美]]辭[[麗]][[句]]) * 사달이이의(辭[[達]][[而]][[已]][[矣]]) * 사리명창(辭[[理]][[明]][[暢]]) * 사무애지(辭[[無]][[礙]][[智]]) * 사불획명(辭[[不]][[獲]][[命]]) * 사색불변(辭[[色]][[不]][[變]]) * 사세(辭[[世]]) * 사양지심(辭[[讓]][[之]][[心]]) * 사의표명(辭[[意]][[表]][[明]]) * 선위설사([[善]][[爲]][[說]]辭) * 언사안정([[言]]辭[[安]][[定]]) * 온언순사([[溫]][[言]][[順]]辭) * 일언반사([[一]][[言]][[半]]辭) * 일전불사([[一]][[戰]][[不]]辭) * 절묘호사([[絶]][[妙]][[好]]辭) * 치주안족사([[卮]][[酒]][[安]][[足]]辭) === [[인명]] === === [[지명#s-2]] === *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歌]]辭[[文]][[學]][[面]]) [[가사문학로]]([[歌]]辭[[文]][[學]][[路]]) === [[창작물]] === * [[辞世テンプレート]]([[사세 템플레이트]]) * [[그래서 나는 음악을 그만두었다]]([[だから僕は音楽を辞めた]]) * [[용사, 그만둡니다(애니메이션)|용사, 그만둡니다]](勇者、辞めます) * [[전설의 용장 기사는 시골에서 평범하게 살고 싶다 ~SSS랭크 의뢰의 하청 그만둡니다!~]]([[伝]][[説]]の[[竜]][[装]][[騎]][[士]]は[[田]][[舎]]で[[普]][[通]]に[[暮]]らしたい ~SSSランク[[依]][[頼]]の[[下]][[請]]け辞めます!~) * [[루팡 3세 나폴레옹의 사전을 빼앗아라]](ルパン[[三]][[世]] ナポレオンの辞[[書]]を[[奪]]え) * [[소라미미아워]]([[空]][[耳]]アワー辞[[典]]) == 유의자 == * [[談]](말씀 담) * [[譚]](클/말씀 담) * [[辯]](말씀 변) * [[詞]](말/글 사) * [[說]](말씀 설, 달랠 세) * [[語]](말씀 어) * [[言]](말씀 언) * [[話]](말씀 화)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覶]](자세할 라) * [[𢿢]]^^[⿰⿳爫龴⿵冂⿱厶又攴]^^(번거로울 란) * [[亂]]/[[𤕅]]^^[⿰⿳爫龴⿵冂⿱厶又匋]^^(어지러울 란) * [[𤔧]]^^[⿰⿳爫龴⿵冂⿱厶又亐]^^/[[𤔲]]^^[⿰⿳爫龴⿵冂⿱厶又司]^^(말씀 사) * [[𤳞]]^^[⿰⿳爫龴⿵冂⿱厶又田]^^/[[𤕌]]^^[⿰⿳爫龴⿵冂⿱厶又⿱東田]^^(더할 종) * [[𱚢]]^^[⿰⿳爫龴⿵冂⿱厶又寸]^^ * [[𢿳]]^^[⿰⿳爫龴⿵冂⿱厶又攵]^^ * [[𭯁]]^^[⿰⿳爫龴⿵冂⿱厶又殳]^^ * [[𬋶]]^^[⿰⿳爫龴⿵冂⿱厶又册]^^ * [[𬋹]]^^[⿰⿳爫龴⿵冂⿱厶又⿱立句]^^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𮓑]]^^[⿱艹辭]^^ * [[𲆋]]^^[⿺辶辭]^^ * [[𫍗]]^^[⿰言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