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邪}}}간사할 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邑|{{{#000,#fff 邑}}}]], 4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ジャ{{{#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よこしま}}}}}}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xié{{{#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邪는 ''''간사할 사''''라는 [[한자]]로, '간사(奸邪)하다', '사악(邪惡)하다' 등을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간사하다 || || {{{-1 '''음'''}}} ||사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xié || || {{{-1 '''[[광동어]]'''}}} ||ce4 || || {{{-1 '''[[객가어]]'''}}} ||sià || || {{{-1 '''민북어'''}}} ||ciǎ || || {{{-1 '''민동어'''}}} ||sià || || {{{-1 '''[[민남어]]'''}}} ||siâ || || {{{-1 '''[[오어]]'''}}} ||xxia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ジャ || || {{{-1 '''훈독'''}}} ||- || ||<-3> || ||<-2> '''[[베트남어]]''' ||tà || [[유니코드]]에는 U+90AA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一竹弓中(MHNL)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邑]](고을 읍)과 소리를 나타내는 [[牙]](어금니 아)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이 글자는 [[斜]](비낄 사), [[耶]](어조사 야), [[徐]](천천히 서), [[餘]](남을 여)의 [[통가자]]로 쓸 수 있다. 특히 耶는 원래 邪의 [[이체자]]로 시작했다가, 현재는 아예 '어조사 야' 부분의 뜻만을 취하는 독립된 글자로 발전한 것이다. 일본에서는 파울이라는 뜻으로도 쓴다. == 용례 == === 단어 === ==== 간사하다 ==== * 간사([[奸]]邪) * 사악(邪[[惡]]) * 사견(邪[[見]]) * 요사([[妖]]邪) * 정사([[正]]邪) * 척사([[斥]]邪) * 파사([[破]]邪) ==== 그런가 ==== * 어야([[於]]邪) - 여러 사람이 힘을 쓸 때에 내는 소리. * 호야([[許]]邪) - 이영차. 여러 사람이 힘을 쓸 때에 내는 소리. === [[고사성어]]/[[숙어]] === * 파사현정([[破]]邪[[顯]][[正]]) === [[인명]] === * [[스이쟈]]([[水]]邪) * [[엔쟈]]([[炎]]邪) * [[자켄]](邪[[見]]) * [[케이토인 호노보노]](邪[[答]][[院]] [[仄]][[仄]]) * [[키진 세이자]]([[鬼]][[人]] [[正]]邪) * [[호한야]]([[呼]][[韓]]邪)[* [[耶]](어조사 야)의 통가자로서] === [[지명#s-2]] === * 낭야([[琅]]邪) === [[창작물]] === * [[制服が邪魔をする]]([[교복은 불편해]]) * 邪[*1 죽음의 신, [[사신]]([[死]][[神]])할 때 그 사신이 아니라, 재앙을 내린다고 하는 요사스러운 사신([[邪]]神)이다.]神ちゃんドロップキック([[사신 짱 드롭킥]])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鴉]](갈까마귀 아) * [[雅]](맑을 아) [[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