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다음자/표준 중국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鑽}}}뚫을 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金|{{{#000,#fff 金}}}]], 19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27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サ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うが-つ, きり, き-る, たがね, のみ}}}}}}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zuān, zuà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鑽은 ''''뚫을 찬''''이라는 [[한자]]로, '뚫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47D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金竹山金(CHYC)으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金]](쇠 금)과 음을 나타내는 [[贊]](기릴 찬)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 용례 == === [[단어]] === * 연찬([[硏]]鑽) * [[다이아몬드|찬석]](鑽[[石]]) * 찬자(鑽[[刺]])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지명#s-2]] === * [[다이아몬드힐역]](鑽[[石]][[山]][[站]]) * [[대찬정 분지]]([[大]]鑽[[井]] [[盆]][[地]]) === [[창작물]] === === [[일본어]] === ==== [[훈독]] ==== ==== [[음독#s-1]] ==== === [[중국어]] === === 기타 === == 유의자 == * [[丨]](뚫을 곤) * [[貫]](꿸 관) * [[串]](꽂 곶/꿸 관) * [[鑿]](뚫을 착) * [[穿]](뚫을 천) * [[撤]](통할 철/뚫을 철) == 상대자 ==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𥽷]](설익은밥 벽) * [[𪚇]](가지런히하지않은모양 작) * [[𦫅]](작은배 차) * [[襸]](고운옷 찬) * [[饡]](국밥 찬) * [[讚]](기릴 찬) * [[囋]](기릴 찬, 지껄일 찰) * [[巑]](높이솟을 찬) * [[儹]]/[[欑]](모을 찬) * [[躦]](모을 찬, 밟을 차) * [[攢]](모일 찬) * [[穳]](볏가리 찬) * [[灒]](뿌릴 찬) * [[𨳄]](상투 찬) * [[𩎈]](수레멍에를동이는끈 찬) * [[䡽]](수레의끌채 찬) * [[𣪁]](안장할 찬) * [[瓚]](옥잔 찬) * [[纘]](이을 찬) * [[䂎]](작은창 찬) * [[禶]](제사이름 찬) * [[㜺]](희고환할 찬) * [[㦫]](게으를 찰) * [[礸]](문지를 찰) * [[𤿀]](흴 찰) * [[臢]](비루할 참) * [[𢑊]] * [[𤓎]] * [[𧹏]] * [[𨤆]] == 여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