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준3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陳}}}베풀/묵을 진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阜|{{{#000,#fff 阜}}}]], 8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1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준3급 한자|{{{#000,#fff 준3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チン, {{{#c88 ジン}}}}}}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の-べる, ひ-ねる, ふる-い}}}}}}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chén{{{#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陳은 ''''베풀/묵을 진''''이라는 [[한자]]로, '베풀다', '진을 치다', 늘여놓다', '나열하다', '묵다(오래되다)'를 의미하며 한국과 중국의 성씨로 사용된다. ''''진칠 진''''이라고도 한다. * [[강희자전]]: 1353페이지 19번째 글자[[http://www.kangxizidian.com/kangxi/1353.gif| ]]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673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LDW(弓中木田)로 입력한다. [[阜]](언덕 부)와 [[東]](동녘 동)이 합쳐진 [[회의자]]이다. === 자원 === ||<:>출전||<:>원문|| ||[[설문해자]]||宛丘,舜後嬀滿之所封。从从木申聲。,古文陳。直珍切〖注〗臣鉉等曰:陳者,大昊之虛,畫八卦之所,木德之始,故从木。〖注〗軙、敶,亦古文陳。|| ||청대[br]단옥재[br]설문해자주||(陳) 宛丘也。韵會有也。舜後嬀滿之所封。毛傳諩曰。陳者、大皞虙戲氏之墟。帝舜之冑。有虞閼父者、爲周武王陶正。武王賴其利器用。與其神明之後。封其子嬀滿於陳。都於宛丘之側。是曰陳胡公。按今河南陳州府治是其地。許必言宛丘者、爲其字从也。毛傳曰。四方高中央下曰宛丘。卽釋丘之宛中曰宛丘也。陳本大皞之虛正字。俗叚爲敶列之敶。陳行而敶廢矣。从。从木。大皞以木德王。故字从木。申聲。直珍切。十二部。|| ||[[강희자전]]||〔古文〕軙敶《唐韻》直珍切《集韻》《韻會》《正韻》池鄰切,音塵。《玉篇》列也,布也。《書·咸有一德》乃陳戒于德。《詩·小雅》饋八簋。 又《史記·李斯傳》所以飾後宮,充下。《註》下陳,猶後列也。 又《廣韻》故也。《詩·小雅》我取其,食我農人。《史記·平準書》太倉之粟,陳陳相因。 又久也。《書·盤庚》失于政,于兹。《傳》今旣失政,而久於此而不徙。《疏》釋詁云:塵,久也。孫炎曰:居之久,久則生塵矣。古者塵同也。故爲久之義。 又《廣韻》張也。《禮·表記》事君欲諫,不欲。《註》謂言其過於外也。 又《廣韻》衆也。 又《爾雅·釋宮》堂途謂之陳。《註》堂下至門徑也。《釋名》言賔主相迎列之處也。《詩·小雅》彼何人斯,胡逝我。《註》北當階,其南接門內霤。 又國名。《廣韻》周武王封舜後胡公滿於,楚滅爲縣,漢爲淮陽國,隋爲州。 又姓。胡公滿之後,子孫以國爲氏。 又《玉篇》或作塵。 又《廣韻》《集韻》直刃切。同陣。軍伍行列也。詳前陣字註。 又叶都年切,音顚。《易林》秋糧未成,無從至。水深難涉,使我不前。《黃庭經》火兵符圖備靈關,前昂後高下。關音涓。|| == 용례 == === [[단어]] === * 개진([[開]]陳) * 구진([[久]]陳) * 구진곡([[久]]陳[[穀]]) * 구진포물([[久]]陳[[布]][[物]]) * 묘진([[墓]]陳) * 사진강등전([[査]]陳[[降]][[等]][[田]]) * 삼진([[三]]陳) * [[신진#s-2]]([[新]]陳) * 진고(陳[[告]]) * 진곡(陳[[穀]]) * 진부(陳[[腐]]): 케케묵음. 새롭지 못함 * 진설(陳[[設]]) * 각궁묘원향례진설도([[各]][[宮]][[廟]][[園]][[享]][[禮]]陳[[設]][[圖]]) * 진설사(陳[[設]][[司]]) * 진설서(陳[[設]][[署]]) * 진성(陳[[省]]) * 외공진성([[外]][[貢]]陳[[省]]) * 진성예채(陳[[省]][[例]][[債]]) * 진성장(陳[[省]][[狀]]) * 진술(陳[[述]]) * 전문진술([[傳]][[聞]]陳[[述]]) * [[진술거부권]](陳[[述]][[拒]][[否]][[權]]) * 진술문(陳[[述]][[文]]) * [[진술서]](陳[[述]][[書]]) * [[진승]](陳[[勝]]) * 진열(陳[[列]]) * 진열관(陳[[列]][[館]]) * 진열대(陳[[列]][[臺]]) * 진열실(陳[[列]][[室]]) * 진열장(陳[[列]][[欌]]) * 진열창(陳[[列]][[窓]]) * 진열품(陳[[列]][[品]]) * 진외가(陳[[外]][[家]]) 아버지의 외가 * 진전(陳[[田]]) * 속진전([[續]]陳[[田]]) * 신진전([[新]]陳[[田]]) * 잉진전([[仍]]陳[[田]]) * 복사잉진전([[覆]][[沙]][[仍]]陳[[田]]) * 성천잉진전([[成]][[川]][[仍]]陳[[田]]) * 천번잉진전([[川]][[反]][[仍]]陳[[田]]) * 포락잉진전([[浦]][[落]][[仍]]陳[[田]]) * 전진전([[全]]陳[[田]]) * 진전사(陳[[田]][[寺]]) * 진정(陳[[情]]): 사정을 진술함. 사정을 아뢰어 부탁함. * 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 [[진정서]](陳[[情]][[書]]): 관청이나 웃어른에게 내기 위하여 사정을 기록한 서면 * [[진정표]](陳[[情]][[表]]) * 포진([[鋪]]陳) * 포진도감([[鋪]]陳[[都]][[監]]) * 포진장([[鋪]]陳[[匠]]) * 포진질([[鋪]]陳[[秩]]) * 포진채([[鋪]]陳[[債]]) * 포진청([[鋪]]陳[[廳]]) === [[고사성어]]/[[숙어]] === * 뇌진교칠([[雷]]陳[[膠]][[漆]]) * 진공(陳[[供]]) * 진근위예(陳[[根]][[委]][[翳]]) * 진승오광(陳[[勝]][[吳]][[廣]]) * 진진상인(陳陳[[相]][[因]]) * 진채지액(陳[[蔡]][[之]][[厄]]) === [[인명]] === [include(틀:한국의 성씨 한자)] 2021년 기준 약 45만명. [[http://yeoyangjin.org/board_Mzoo80/9755|여기]]와 [[https://m.search.naver.com/p/crd/rd?m=1&px=266&py=1054&sx=266&sy=383&p=hYM7xlqVWudssMWgMVZssssstlh-170993&q=%EC%97%AC%EC%96%91%EC%A7%84%EC%94%A8+%EC%98%A4%EC%8B%AD%EB%A7%8C&ie=utf8&rev=1&ssc=tab.m.all&f=m&w=m&s=7tRAVPZ7oWFYVfEikL1mjg%3D%3D&time=1660128423539&abt=%5B%7B%22eid%22%3A%22FAQ-REVERSE%22%2C%22vid%22%3A%223%22%7D%2C%7B%22eid%22%3A%22SHOP-MAB%22%2C%22vid%22%3A%223%22%7D%5D&a=web_gen*w.link&r=1&i=a00000fa_c0344a14212357905d8ff459&u=https%3A%2F%2Fkieury.tistory.com%2F11306436&cr=2|여기]]가 출처이다.[* 그러나 통계청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이의 반도 안 되는 약 16만명이다(약 0.35배).] 주요 본관으로는 [[여양 진씨|여양]](驪陽)이 있다. 자세한 내용 및 인물은 [[진(성씨)]] 문서 참조. 성이 진씨인 사람들의 90% 이상이 이 글자를 쓴다.[* [[秦]]씨와 [[晋]]씨도 있으나 둘 다 합쳐봤자 10% 이하다.] 중국및 대만의 경우 표준중국어 발음으로 Chen(천)으로 발음한다. 홍콩, 마카오에서 사용하는 광동어로는 Chan(찬), 동남아[* 주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화교가 많은 국가. 가끔 홍콩에서도 탄으로 표시하는 사람이 있다.]에서는 민남어 방언으로 Tan(탄)으로 발음한다. 베트남어에서는 Trần으로 표시하며 '쩐'으로 발음한다. * [[완안진화상]]([[完]][[顔]]陳[[和]][[尙]]) * [[토니 탄 칵춍|탄칵춍]](陳[[覺]][[中]]) * [[쩐다이꽝]](陳[[大]][[光]]) * [[천수이볜]](陳[[水]][[扁]]) * [[찬유엔팅]](陳[[婉]][[婷]]) === [[지명#s-2]] === * [[경기도]] [[이천시]] [[진리동]](陳[[里]][[洞]]) * [[경기도]] [[화성시]] [[진안동]](陳[[雁]][[洞]])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포항)|남구]] [[오천읍]] [[진전리]](陳[[田]][[里]]) === [[창작물]] === === 기타 === == 유의자 == * '''베풀다''' * [[肆]](방자할/베풀 사) * [[宣]]/[[亘]](베풀 선) * [[設]](베풀 설) * [[施]]/[[弛]](베풀 시) * [[張]](베풀 장) * [[偧]](베풀 차) * [[㒂]](베풀 착) * [[徝]]/[[憄]](베풀 치) * [[嚫]](베풀 친/츤) * '''묵다''' * [[古]](옛 고) * [[傺]](묵을 제) == 상대자 == * '''묵다''' * [[新]](새 신)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腖]](고기 동) * [[𢔅]]^^[⿰彳東]^^(곧게갈 동)[* [[徚]](곧게갈 동)의 [[동자#s-2]]] * [[娻]](나라이름 동) * [[埬]](당이름 동) * [[棟]]/[[𤗗]]^^[⿰片東]^^(마룻대 동) * [[諌]](말많을 동) * [[㖦]](말이많을 동) * [[蝀]](무지개 동) * [[鯟]](물고기이름 동) * [[錬]](보습날 동) * [[𧯾]]^^[⿰壴東]^^(북소리 동) * [[崠]](산등성이 동) * [[涷]](소나기 동) * [[倲]]/[[𢛔]]^^[⿰忄東]^^(어리석을 동) * [[凍]](얼 동) * [[䵔]](오르지못할 동) * [[䍶]](일각수 동) * [[㨂]](칠 동) * [[㯥]](밤샐/성씨 조) * [[𣍖]]^^[⿰曹東]^^(해돋을 조) * [[陣]](진칠 진) * [[𤲚]]^^[⿰田東]^^(땅이름 통) * [[𣌾]]^^[⿰申東]^^(멀리서들릴 통) * [[𧹩]]^^[⿰赤東]^^(림) * [[𢆦]]^^[⿰䍐東]^^(한) * [[𤟈]]^^[⿰犭東]^^ * [[𬌃]]^^[⿰爿東]^^ * [[𰖍]]^^[⿰日東]^^ * [[𰟴]]^^[⿰煮東]^^ * [[𤦪]]^^[⿰⺩東]^^ * [[𥓝]]^^[⿰石東]^^ * [[𫞸]]^^[⿰禾東]^^ * [[𫉓]]^^[⿰⿱丷帀東]^^ * [[𨌿]]^^[⿰車東]^^ * [[𧳣]]^^[⿰豸東]^^ * [[𩜍]]^^[⿰𩙿東]^^ * [[𲋰]]^^[⿰香東]^^ * [[𩣳]]^^[⿰馬東]^^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䨯]](구름 진) * [[敶]]/[[𨼤]]^^[⿰陳欠]^^(베풀 진) * [[樄]](분주하게달릴 진) * [[蔯]](사철쑥 진) * [[螴]](설렐 진) * [[𠼂]]^^[⿰口陳]^^ * [[𣼼]]^^[⿰氵陳]^^ * [[𢠣]]^^[⿰忄陳]^^ * [[𢴟]]^^[⿰扌陳]^^ == 기타 == 중국에서는 5위의 성씨이나 대만에서는 1위의 성씨로 매우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