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隶를 간체자로 하는 한자, rd1=隷)]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隶}}}미칠 이/대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隶, 0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8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タイ}}}}}}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dài}}}}}}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隶-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칠 이/대(隶).'''' [[及]](미칠 급)과 함께 '영향이 미치다'할 때의 "미치다'의 뜻을 가진 [[한자]]다. 정신이 미친다는 뜻의 경우에는 [[狂]](미칠 광), [[猖]](미쳐 날뛸 창) 등을 쓴다. [[유니코드]]는 U+96B6에 배당되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LE(中水)로 입력한다. 손을 나타내는 又자와 尾자의 생략형의 합자인 [[회의자]]로 꼬리를 잡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중국에서는 [[隸]]의 [[간체자]]로 쓴다.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 미칠이부 강희자전에 171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열두 자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 특정한 분야를 나타내는 뜻은 없다. 음부로 쓰일 경우 --강--, 이, 체, 태 등의 음을 갖는다. '강'에는 취소선이 그어져 있는데, [[康]] 항목에 그 이유가 설명되어 있다.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 れいづくり * 중국 : [ruby(隶部, ruby=lìbù)] * 일본 : てい, かなえ * 영미 : Radical slave == 유의자 == * [[及]]/[[扱]](미칠 급) * [[暨]](미칠 기) [[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제부수 한자]][[분류:급수 미배정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