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rd1=雫(BEMANI 시리즈))]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雫}}}물방울 놔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雨|{{{#000,#fff 雨}}}]], 3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11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미배정}}}}}}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ダ}}}}}}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しずく}}}}}}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c88 nǎ}}}}}}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어로 물방울을 의미하는 단어로, 종종 지명이나 사람 이름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 의미의 시즈쿠는 [[시즈쿠]] 문서 참조.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6EB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BMY(一月一卜)로 입력한다. [[雨]](비 우)와 [[下]](아래 하)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문헌상 기록으로는 10세기 말 [[용감수경|용감수감]][* [[요나라]] 때 승려 행균이 편찬한 자전인 [[용감수경]]을 [[남송]] 때 '용감수감'으로 재발간하였다.]에 [[반절]]로 '奴寡反(놔)'와 '奴寬反(놘)'의 두 가지 독음만 수록하였다. 18세기 초 [[청나라]] 때 황명으로 발간한 [[강희자전]]에서는 용감수감의 '奴寡切(놔)'만 인용하여 수록하였다. 두 자전 모두 뜻을 설명하지 않았기에 모른다. [[정조(조선)|정조]] 때 실학자 [[이덕무]]가 지은 청장관전서의 청령국지 예문편에서 [[왜국|왜]](倭)가 만든 글자로 물방울(涓滴)을 뜻한다고 하였다. 이덕무의 손자 이규경이 편찬한 [[오주연문장전산고]]에도 같은 내용으로 인용되었다. 한국의 [[지석영]]이 1909년 편찬한 자전석요(字典釋要)에서는 일본의 [[화제한자]]로 표시하면서 '물ㅅ방올 하'라는 훈음을 달았는데, 훈은 일본의 しずく(물방울)에서 취하고 음은 下를 성부로 한 [[형성자]]로 해석한 것이다.([[:파일:물방울하.jpg|#]]) 자전석요에서는 화제한자에는 네모칸에 日을 넣어 표시하고, 辻 '네거리 십', 込 '담을 입'과 같이 형성자로 해석하여 독음을 붙였다. 중국에서는 霞(노을 하)의 [[이간자]](二簡字)로 채택했다가 폐지되었다. 霞의 성부를 下(아래 하)로 간단히 처리한 글자이다. 정리하면, 중국이나 한국에서는 문헌상 발음만 전할 뿐 실제 쓰이지는 않던 한자인 반면, 일본에서는 しずく(물방울)를 뜻하는 [[화제한자]]로 쓰인다. 흔히 볼 수 있는 걸로는 [[파이롯트 이로시주쿠]][* 원어인 일본어로 표기하면 '色彩雫'] 정도밖에 없을 듯하다. 그 외는 창작물 정도이다. == 용례 == === [[창작물]] === * [[신의 물방울]]([ruby(神, ruby=かみ)]の[ruby(雫, ruby=しずく)]) * [[一雫の秘密]] * [[시즈쿠(게임)]] * [[壱雫空]] === [[인명]] === * [[시즈쿠메 사리나]](雫[[芽]] さりな) * [[아사히 시즈쿠]]([[朝]][[日]] 雫) * [[츠키시마 시즈쿠]]([[月]][[島]] 雫) * [[히노모리 시즈쿠]]([[日]][[野]][[森]] 雫) == 유의자 == * [[滴]](물방울 적) * [[渧]](물방울 제)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𥤲]](고요할 적) * [[芐]](지황 하/호) * [[𪨢]] * [[𣲉]] * [[𪱱]] * [[𥫫]] [[분류:급수 미배정 한자]][[분류:일본어 단어]][[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