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 -5px; font-size: 40px" 顯}}}나타날 현 || ||<-2> {{{#!wiki style="margin: -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頁|{{{#000,#fff 頁}}}]], 14획}}} ||<-2> {{{#!wiki style="margin: -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 -2px" 23획}}} || ||<-2> {{{#!wiki style="margin: -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 -2px" 고등학교}}} ||<-2> {{{#!wiki style="margin: -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 -2px" {{{#000,#fff 4급}}}}}}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 -2px" ケン{{{#c88 }}}}}} || ||<-2> {{{#!wiki style="margin: -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 -2px" {{{#c88 あきら-か, あらわ,[br]あらわ-す, あらわ-れる}}}}}} || ||<-8> || ||<-2> {{{#!wiki style="margin: -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 -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 -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 -2px" xiǎn{{{#c88 }}}}}} || ||<-8> {{{#!wiki style="margin: -2px; font-size: 10px; text-align: 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顯은 ''''나타날 현''''이라는 [[한자]]로, '나타나다'를 뜻한다. == 상세 == [[유니코드]]에는 U+986F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AFMBC(日火一月金)로 입력한다. [[頁]](머리 혈), [[日]](날 일), 그리고 ⿱一絲가 결합한 글자인데, ⿱一絲는 [[聯]](잇닿을 련)의 초문(初文)이다. 나중에 一이 빠지고 변형되어 지금의 자형이 되었다. 설문해자와 임의광(林義光, ? - 1932)의 《문원》(文源)에서는 頁(머리 혈)이 뜻을, [[㬎]]이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라고 보았으나, 고문자 자료를 분석해 보면 [[㬎]]은 顯의 약자일 뿐 독립적인 글자는 아니다. 어쩌다 보니 [[濕]](젖을 습)과 [[㬎]]이라는 구성 요소를 공유하는 것처럼 되었으나 실제로는 무관하다.[* 김준수, 〈‘溼’字上古聲母考〉, 중국학논총 2014, 46, 97-121p,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現]](나타날 현)과 '''훈음이 같은데''', 顯은 정신적이고 형이상학적인 의미를, 現은 물질적이고 형이하학적인 의미를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용례 == === [[단어]] === * 중현([[中]]顯) * 중현대부([[中]]顯[[大]][[夫]]) * 현고(顯[[考]]) * 현령(顯[[靈]]) * 현미(顯[[微]]) * 현미간섭계(顯[[微]][[干]][[涉]][[計]]) * [[현미경]](顯[[微]][[鏡]]) * 간섭현미경([[干]][[涉]]顯[[微]][[鏡]]) * 고온현미경([[高]][[溫]]顯[[微]][[鏡]]) * 공구현미경([[工]][[具]]顯[[微]][[鏡]]) * 광물현미경([[鑛]][[物]]顯[[微]][[鏡]]) * 광석현미경([[鑛]][[石]]顯[[微]][[鏡]]) * 광학현미경([[光]][[學]]顯[[微]][[鏡]]) * 금속현미경([[金]][[屬]]顯[[微]][[鏡]]) * 반사현미경([[反]][[射]]顯[[微]][[鏡]]) * 복합현미경([[複]][[合]]顯[[微]][[鏡]]) * 비교대조현미경([[比]][[較]][[對]][[照]]顯[[微]][[鏡]]) * 쌍안현미경([[雙]][[眼]]顯[[微]][[鏡]]) * 암석현미경([[巖]][[石]]顯[[微]][[鏡]]) * 양자현미경([[量]][[子]]顯[[微]][[鏡]]) * 위상차현미경([[位]][[相]][[差]]顯[[微]][[鏡]]) * 유동현미경([[遊]][[動]]顯[[微]][[鏡]]) * 자외선현미경([[紫]][[外]][[線]]顯[[微]][[鏡]]) * 적외선현미경([[赤]][[外]][[線]]顯[[微]][[鏡]]) * [[전자현미경]]([[電]][[子]]顯[[微]][[鏡]]) * 초현미경([[超]]顯[[微]][[鏡]]) * 편광현미경([[偏]][[光]]顯[[微]][[鏡]]) * 한외현미경([[限]][[外]]顯[[微]][[鏡]]) * 현미경법(顯[[微]][[鏡]][[法]]) * 현미경분석(顯[[微]][[鏡]][[分]][[析]]) * 현미경암석학(顯[[微]][[鏡]][[巖]][[石]][[學]]) * 현미경좌(顯[[微]][[鏡]][[座]]) * 현미경적(顯[[微]][[鏡]][[的]]) * 형광현미경([[螢]][[光]]顯[[微]][[鏡]]) * 현미분광기(顯[[微]][[分]][[光]][[器]]) * 현미분광사진기(顯[[微]][[分]][[光]][[寫]][[眞]][[機]]) * 현미분광측도법(顯[[微]][[分]][[光]][[測]][[度]][[法]]) * 현미음기(顯[[微]][[音]][[器]]) * 현미화학(顯[[微]][[化]][[學]]) * 현비(顯[[妣]]) * 현생(顯[[生]]) * 현생대(顯[[生]][[代]]) * 현세(顯[[世]]) * 현저(顯[[著]])[* 顯과 훈음이 같은 [[現]]을 써서 現著로 써도 되지만 顯著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 현지(顯[[之]]) * 현충(顯[[忠]]) * 현충문(顯[[忠]][[門]]) * [[현충일]](顯[[忠]][[日]]) * 현충탑(顯[[忠]][[塔]]) * 현현(顯[[現]]/顯顯) === [[고사성어]]/[[숙어]] === * 본문개현([[本]][[門]][[開]]顯) * 이현부모 효지종야([[以]]顯[[父]][[母]] [[孝]][[之]][[終]][[也]]) * 천현지친([[天]]顯[[之]][[親]]) * 파사현정([[破]][[邪]]顯[[正]])[* 줄여서 '파현([[破]]顯)'이라고도 한다.] * 홀현홀몰([[忽]]顯[[忽]][[沒]]) === [[인명]] === * [[경계현]]([[慶]][[桂]]顯) * [[그리(래퍼)|김동현]]([[金]][[東]]顯): 래퍼 [[그리(래퍼)|그리]]의 본명 * [[현우(배우)|김현우]]([[金]]顯[[祐]]) * [[노현송]]([[盧]]顯[[松]]) * [[리셴룽]]([[李]]顯[[龍]]) * [[리셴양]]([[李]]顯[[揚]]) * [[막히엔띳]]([[莫]]顯[[績]]) * [[채리나|박현주]]([[朴]]顯[[珠]]): [[채리나]]의 본명 * [[유정현]]([[柳]][[廷]]顯) * [[이서현]]([[李]][[敍]]顯) * [[이시마 류켄]]([[石]][[馬]] [[隆]]顕) * [[이현세]]([[李]]顯[[世]]) * [[조현재]]([[趙]]顯[[宰]]) * [[조현천]]([[趙]]顯[[千]]) * [[최현욱]]([[崔]]顯[[旭]]) * [[키타바타케 아키이에]]([[北]][[畠]] 顕[[家]]) * [[혼간지 켄뇨]]([[本]][[願]][[寺]] 顕[[如]]) * [[효현왕후]]([[孝]]顯[[王]][[后]]) * [[후지와라노 아키스케]]([[藤]][[原]] 顕[[輔]]) === [[지명#s-2]] === * [[현충로]](顯[[忠]][[路]]) * [[현충로역]](顯[[忠]][[路]][[驛]]) * [[현충사]](顯[[忠]][[祠]]) === [[창작물]] === === 기타 === * [[국립현충원]]([[國]][[立]]顯[[忠]][[院]]) * 명현세보([[名]]顯[[世]][[譜]]) == 유의자 == * [[昋]](성씨 계, 나타날 경) * [[苪]](나타날 병) * [[㕊]](보일 부, 나타날 포) * [[𠍫]]^^[⿰亻欷]^^(나타날 이) * [[著]](나타날 저) * [[𧡨]]^^[⿺是見]^^(나타날 제) * [[彰]](드러날 창) * [[窡]](나타날 촬) * [[現]](나타날 현) * [[皛]](나타날 효)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歞]](어리석을 읍) * [[𠠁]]^^[⿰㬎刂]^^ ==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 [[𧖙]]^^[⿱顯虫]^^(가막조개 현) * [[𩎌]]^^[⿰革顯]^^/[[𩎍]]^^[⿱顯革]^^(말뱃대끈 현)[* [[韅]](말뱃대끈 현)의 [[동자#s-2]]] * [[灦]](물깊고맑을 현) [[분류:4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