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급 한자]][[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飼}}}기를 사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食|{{{#000,#fff 食}}}]], 5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4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𩙿]](밥식부)자가 [[飠]]의 형태이다.]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シ{{{#c88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か-う, {{{#c88 やしな-う}}}}}}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sì{{{#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목차] [clearfix] == 개요 == 飼는 ''''기를 사''''라는 [[한자]]로, '기르다', '먹이다'를 뜻한다. == 상세 == ||<-3><#e6e6e6,#27292d>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2> '''[[한국어]]''' || {{{-1 '''훈'''}}} ||기르다 || || {{{-1 '''음'''}}} ||사 || ||<-3> || ||<|7> '''[[중국어]]''' || {{{-1 '''[[표준 중국어|표준어]]'''}}} ||sì || || {{{-1 '''[[광동어]]'''}}} ||zi^^6^^ || || {{{-1 '''[[객가어]]'''}}} ||chhṳ || || {{{-1 '''[[민북어]]'''}}} ||su̿[*文 [[문독]]] / si̿[*白 [[백독]]] || || {{{-1 '''[[민동어]]'''}}} ||se̤ṳ[*文] / ché[*白] || || {{{-1 '''[[민남어]]'''}}} ||sū[*文] / chhī[*白] || || {{{-1 '''[[오어]]'''}}} ||zr (T3) || ||<-3> || ||<|2> '''[[일본어]]''' || {{{-1 '''음독'''}}} ||シ || || {{{-1 '''훈독'''}}} ||か-う, {{{#c88 やしな-う}}} || ||<-3> || ||<-2> '''[[베트남어]]''' ||tự || [[유니코드]]에는 U+98F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人戈尸一口(OISMR)로 입력한다. '기르다'뿐 아니라, [[食]](먹을 식)의 사동적 의미인 '먹이다'를 뜻한다. 원래 자형은 飤로, 뜻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뜻과 소리를 동시에 나타내는 [[食]](밥 식)이 합쳐진 [[회의자]]이자 [[형성자]]였다. 이후 人이 새로운 성부(聲符)인 [[司]](맡을 사)로 바뀌면서 현재의 자형이 되었다. == 용례 == === [[단어]] === * 사견(飼[[犬]]) * 사고(飼[[藁]]/飼[[藳]]) * 사량(飼[[糧]]) * [[사료]](飼[[料]]) * 사순(飼[[馴]]) * 사우(飼[[牛]]) * [[사육]](飼[[育]]) * 사조(飼[[槽]]/飼[[鳥]]) * 사주(飼[[主]]) * 사초(飼[[草]]) * 사통(飼[[桶]]) * 방사([[放]]飼) * [[분사(동음이의어)|분사]]([[粉]]飼) === [[고사성어]]/[[숙어]] === === [[인명]] === * [[이누카이 요시로]]([[犬]]飼 [[鷹]][[四]][[郎]]) * [[이카이 카즈유키]]([[飯]]飼 [[一]][[幸]]) === [[지명#s-2]] === === 기타 === * [[인간사료]]([[人]][[間]]飼[[料]]) == 유의자 == * [[養]](기를 양) * [[育]]/[[毓]](기를 육) * [[哺]](먹일 포) * [[豢]](기를 환) == 모양이 비슷한 한자 == * [[詞]](말/글 사) * [[泀]](물 이름 사) * [[祠]](사당 사) * [[䣳]](술 취해 물릴 사) * [[鉰]](스칸듐 사) * [[伺]](엿볼 사) * [[嗣]](이을 사) * [[呞]](새김질할 시) * [[𢘜]] * [[𢃊]] * [[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