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youtube(Fdh2-DFNfwA,width=560,height=315)] [[리듬게임]] [[Dynamix]]의 수록곡. 작곡가는 Minzu. 제목의 뜻은 '홍콩의 마술사'로 중화풍의 멜로디가 주인 곡이다. == 정보 == |||||||| '''香港ノ奇術師''' || |||||||| [[파일:attachment/香港ノ奇術師/Example.jpg|width=240]] || ||<:>작곡가||||||||||||||||||||<:>Minzu|| ||<:>BPM||||||||||||||||||||<:>200|| ||<:>난이도||||<:>레벨||||<:>노트 수|| ||<:>{{{#green CASUAL}}}||||<:>{{{#green 1}}}||||<:>{{{#green 269}}}|| ||<:>{{{#00bfff NORMAL}}}||||<:>{{{#00bfff 7}}}||||<:>{{{#00bfff 825}}}|| ||<:>{{{#red HARD}}}||||<:>{{{#red 10}}}||||<:>{{{#red 1022}}}|| ||<:>{{{#purple MEGA}}}||||<:>{{{#purple 12}}}||||<:>{{{#purple 1089}}}|| ||<:>{{{#gray GIGA}}}||||<:>{{{#gray -}}}||||<:>{{{#gray -}}}|| ||||<:>좌측라인||||<:>우측라인|||| ||||<:>슬라이드||||<:>일반&홀드|||| [youtube(MQGK7NH-XD4,width=560,height=315)] 하드 난이도 오토플레이 영상 [youtube(nECS_AkYpuY,width=560,height=315)] 메가 난이도 오토플레이 영상 [[名無しの宣教師]]와 함께 SNS 연동 해금곡으로 BGA는 일러스트 하단의 마술 공연을 하는 사람이 나오고 배경이 나온 뒤 색이 점점 추가되며, 곡이 끝난 뒤에는 다시 사라지는 내용이다. === 캐주얼 === 캐주얼 난이도는 표기레벨 1답게 동시타가 전혀 없으며 2분음표와 4분음표 위주의 박자로 구성되어 있다. 중간에 원핸드에 약하다면 조금 어려울 수 있는 슬라이드가 있어[* 캐주얼부터 메가까지 이 패턴이 똑같이 나온다.] 이제 갓 다이나믹스에 입문한 초보들 중 원핸드의 기초를 다지고 싶은 사람들에게 좋은 채보. === 노멀 === 노멀 난이도의 채보는 하드 난이도에서 키음을 하나 빼고 슬라이드 배치를 조금 꼬아놓은 채보로 하드 난이도의 단타로 된 키음을 빼다 보니 슬라이드가 대부분이다. 그렇다보니 두손가락으로 뭉개주면 대부분이 알아서 처리되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그러나 후반 슬라이드+단타와 최후반 발광 슬라이드에서 정신줄을 놓으면 콤보가 끊길 수 있어 다른 7렙에 비해 올콤하는데 꽤 많은 노력이 들어가며 반대로 올콤을 달성했으면 금방 오메가로 넘어갈 수 있다. === 하드 === 하드 난이도는 슬라이드로 한손가락 내지 두손가락을 봉인해놓고 옆에서 나오는 단타를 처리하는 패턴이 주이다. 후반 노멀의 슬라이드+단타를 강화시킨 부분과 2중 슬라이드+단타가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꼽힌다.[* 이 중 슬라이드+단타 패턴은 메가에 그대로 나오는데 이쪽에서는 가장 쉬운 부분중 하나다(...)] 슬라이드 처리력이 약하다면 올콤이나 오메가를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다. === 메가 === 메가 난이도는 하드 난이도랑 노트수가 별로 차이가 없는데 이는 하드 난이도의 슬라이드 대부분을 단타로 바꿨기 때문이다. 초견 플레이시 초반 트릴과 후반 강화트릴에 당황하게 되며 트릴이 끝나고 나오는 폭타는 [[후살|올콤, 오메가 난이도를 단숨에 12렙 최상위권으로 올려버린 주범.]] 마지막 폭타의 경우 손배치를 짜기 굉장히 까다롭기 때문에 멘탈 터지기 싫으면 잘 짜고 도전하도록 하자. 이 폭타는 단순계산으로도 초당 13.3타의 무식함을 자랑하며 [[Gallium Arsenide]]의 폭타의 상위 패턴으로 분류된다. [[분류:Dynamix의 수록곡]][[분류:제목이 일본어인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