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한자 프로젝트]][[분류:2급 한자]][[분류:제부수 한자]] ## 아래의 표는 [[템플릿:한자]]의 형식과 관련 규정에 따라 수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8>
{{{#!wiki style="margin:-5px; font-size:40px" 鼎}}}솥 정 || ||<-2> {{{#!wiki style="margin:-2px" {{{-1 '''[[부수]] 및[br]나머지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鼎, 0획}}} ||<-2> {{{#!wiki style="margin:-2px" {{{-1 '''총 획수'''}}}}}} ||<-2> {{{#!wiki style="margin:-2px" 13획}}} || ||<-2> {{{#!wiki style="margin:-2px" {{{-1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교육용]]'''}}}}}} ||<-2> {{{#!wiki style="margin:-2px" 미배정}}} ||<-2> {{{#!wiki style="margin:-2px" {{{-1 '''[[한자/급수별|어문회 급수]]'''}}}}}} ||<-2> {{{#!wiki style="margin:-2px" [[2급 한자|{{{#000,#fff 2급}}}]]}}} || ||<-8>|| ||<-2> {{{#!wiki style="margin:-2px" {{{-1 '''[[신자체]]'''}}}}}}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음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テイ}}}}}} || ||<-2> {{{#!wiki style="margin:-2px" {{{-1 '''일본어 훈독'''}}}}}} ||<-6> {{{#!wiki style="margin:-2px" {{{#c88 かなえ}}}}}} || ||<-8>|| ||<-2> {{{#!wiki style="margin:-2px" {{{-1 '''[[간체자]]'''}}}}}} ||<-6> {{{#!wiki style="margin:-2px" {{{#!html -}}} }}} || ||<-2> {{{#!wiki style="margin:-2px" {{{-1 '''표준 중국어'''}}}}}} ||<-6> {{{#!wiki style="margin:-2px" dǐng{{{#c88 }}}}}} || ||<-8> {{{#!wiki style="margin:-2px; font-size:10px; text-align:left" *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br]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c88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px-鼎-order.gif]]}}}|| || {{{#!wiki style="margin: -5px 0px" 획순}}} || [목차] [clearfix] == 개요 == 솥 정(鼎). 鼎자는 고대 중국의 그릇의 일종으로 일반적으로 솥을 의미한다. 세 다리와 양쪽 귀를 달고 있는 삼족정(三足鼎)의 형태[[https://www.google.co.kr/search?hl=ko&biw=916&bih=650&tbm=isch&sa=1&q=%E9%BC%8E&oq=%E9%BC%8E&gs_l=psy-ab.3..0l2j0i24k1j0i30k1.17762.26510.0.26960.4.4.0.0.0.0.259.399.0j1j1.2.0....0...1.1j4.64.psy-ab..2.2.397....0.zD3CChgSYdU|#]]이며 요리나 제물의 용도로 쓰였다고 한다. 또한 솥은 고대 중국 왕조에서 왕실의 상징으로도 쓰였는데 [[하나라|하(夏)]]의 시조인 우(禹)가 중국 전역에서 모은 청동으로 주조한 [[구정#s-1]]이란 솥이 역대 왕조들의 왕권의 상징이 되어 계승되었고 하를 멸하고 뒤이어 들어선 [[상나라|상(商)]]과 또 상을 멸한 [[주나라|주(周)]]에서도 이 구정을 왕실의 소유로 두었다고 한다. [[유니코드]]는 U+9F0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BUVML(月山女一中)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은 2급으로 분류된다. 발이 셋 귀가 둘인 삼족정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이다. == 자형 == ||<:>[[파일:120px-鼎-oracle.svg.png]]||<:>[[파일:120px-鼎-bronze.svg.png]]||<:>[[파일:鼎-bigseal.svg.png]]||<:>[[파일:鼎-seal.svg.png]]|| ||<:>갑골문||<:>금문||<:>대전체||<:>소전체|| == 용례 == === [[단어]] === * 정립(鼎[[立]]) * 정주간(鼎[[廚]][[間]]) === [[인명]] === * [[김원정]]([[金]][[元]]鼎) * [[옹텡청]]([[王]]鼎[[昌]]) === [[지명#s-2]]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鼎[[冠]][[邑]]) - [[정관신도시]] * 전라북도 익산시 정족동(鼎[[足]][[洞]])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정발산동]](鼎[[鉢]][[山]][[洞]]) * [[정발산역]](鼎[[鉢]][[山]][[驛]]) * [[상정역]]([[上]][[鼎]]驛) * [[카나에역]](鼎[[駅]]) == 부수 == [include(틀:강희자전 수록 부수)] 명칭 : 솥정부 강희자전에 206번째에 수록된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한자는 열네 자다. 부수의 의부로 붙을 때에는 솥에 관한 뜻을 나타낸다. 부수로 쓰인 예시로는 鼐(가마솥 내) · 鼏(소댕 멱) · 䵼(익힐 상) 이 있다. === 나라별 부수명칭 === * 한국 : 솥정부 * 중국 : [ruby(鼎部, ruby=dǐngbù)] * 일본 : てい・かなえ * 영미 : Radical tripod == 여담 == * [[상도(드라마)]]에서 [[임상옥]]이 석숭 스님의 세 가지 선물을 받았다: 死가 쓰인 종이, 鼎이 쓰인 종이, 그리고 [[계영배]](戒盈杯)이다. 임상옥은 솥 정 자를 보고, 홍경래의 회유에 넘어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