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규슈-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4><:>'''[[파일:일본 국기.svg|height=15]] {{{#ffffff [[일본|{{{#ffffff 일본}}}]]의 [[선거구|{{{#fff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wiki style="margin: -5px 0" [[일본 국회|[[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height=50]]]]}}}||<(>{{{#!wiki style="margin: -5px 0" '''{{{+2 {{{#ffffff 가고시마현 제1구}}}}}}'''[br]{{{-1 {{{#ffffff 鹿児島県第1区}}}}}}}}}||}}}|| ||<-4><:>{{{#!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uinsen_Kagoshima1.svg|width=100%]][br]{{{-3 ([[아마미 군도]] 생략)}}}}}}|| ||<-2><:>'''선거인 수'''||<-2><:>358,621명 (2020)|| ||<-2><:>'''상위 도도부현'''||<-2><:>[[가고시마현]]|| ||<-2><:>'''하위 행정구역'''||<-2><:>[[가고시마시]](북부・[[사쿠라지마]]), [[가고시마군]]|| ||<-2><:>'''국회의원'''||<:>[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미야지 다쿠마|| [목차] [clearfix] == 개요 ==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본청 관내, 이시키, 히가시사쿠라지마, 요시노, 사쿠라지마, 요시다, 마츠모토, 코리야마 지소 관내), [[가고시마군]]을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일본)|자유민주당]] 소속 미야지 다쿠마. == 상세 == 자민당의 지지도가 우세했으나, 현재는 옆 지역구인 [[가고시마현 제3구|3구]]와 함께 점차 경합 지역으로 변화하고 있는 곳이다. 이 때문에 보수 성향이 강한 [[가고시마현]] 중에서 보수 성향이 가장 옅은 지역구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48회 총선에서 입헌민주당 [[가와우치 히로시]] 후보가 1위로 당선되는 이변을 보인 곳이다. 자민당의 야스오카 오키하루 의원은 췌장암으로 인해 출마 번복을 선언하고, 대신 후보로 본인의 아들이자 비서인 야스오카 히로타케 후보를 내보냈지만 낙선했다. 1%p 차이로 패배했음에도 급하게 출마하느라 비례대표 중복 입후보도 안 한 바람에 그대로 낙선했다.[* 원래 출마 예정이었던 야스오카 오키하루는 자민당의 비례대표 정년제(만 73세)에 걸려서 중복 입후보가 불가능했다. 만약, 야스오카 히로타케가 중복 입후보를 했다면, 비례대표 규슈블록 4번 정도의 위치에 배정되었을 가능성이 높았다.(일본 중의원 선거에서 중복 입후보한 지역구 후보들은 [[석패율제|한 순번에 몰아서 배정되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 이후 야스오카 의원은 2019년에 별세하였다. 본래 지역구 터줏대감인 야스오카 오키하루 의원은 사실 중선거구제 시절 유일한 소선거구였던 [[아마미 군도]]가 텃밭으로 정서가 다른 도회지인 가고시마 1구에서는 지반이 좀 약한 편이었다.[* 옛날 아마미 군도 지역구 시절에는 대형 의료법인 도쿠슈카이의 오너인 도쿠다 도라오와 하나뿐인 중의원 자리를 두고 펼친 온 섬의 주민들이 말려드는 더러운 선거전(일명 야스도쿠 전쟁(保徳戦争), [[오쿠다 히데오]]의 소설인 면장 선거(町長選挙)의 모티브.) 때문에 한때 소선거구제를 도입하면 안될 이유(...)로 불릴 정도였는데, 마지막 중선거구제 선거였던 40회 총선에서 아마미기 가고시마 도심의 舊 가고시마 1구에 묶였는데 아마미 군도의 높은 투표율에 힘입어서 둘 다 당선되더니,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엔 야스오카가 가고시마 1구, 도쿠다가 가고시마 2구에 각각 자리를 잡으며 둘 다 행복해졌다. 가고시마 2구는 도쿠다 도라오의 아들 도쿠다 다케시가 물려받아 2009년에는 과거의 앙금을 잊고 합동 유세까지 했으나 도쿠다 다케시는 미성년자 준강간 의혹으로 정무관직을, 그리고 도쿠슈카이 그룹이 개입한 공직선거법 위반혐의로 의원직을 사퇴한다.] == 역대 국회의원 == || 선거 || 연도 || 의원명 || 소속정당 || ||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96년]] ||<|4> 야스오카 오키하루 ||<|4>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0년]] || ||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3년]] || ||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5년]] || ||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09년]] || [[가와우치 히로시]] || [include(틀:민주당(일본))] || ||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2년]] ||<|2> 야스오카 오키하루 ||<|2>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4년]]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17년]] || 가와우치 히로시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2021년]] || 미야지 다쿠마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 역대 선거 결과 == ===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fff 가고시마현 제1구}}}}}}'''[br]{{{#fff 가고시마시(북부・사쿠라지마), 가고시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야스오카 오키하루''' || '''67,376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녹색)][* [include(틀:공명당)] 추천] || '''44.08%''' || '''당선''' || ||<|2> [[민주당(일본 1998년)|[[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width=50]]]] || [[가와우치 히로시]] || 47,315표 || 2위 || || [include(틀:민주당(일본))][*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5dbd3f,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녹색당 그린스 재팬)] 추천] || 30.96% || 낙선 || ||<|2> [[유신당|[[파일:유신당 로고.png|width=50]]]] || 야마노우치 츠요시 || 30,133표 || 3위 || || [include(틀:유신당)] || 19.71% || 낙선 || ||<|2> [[일본 공산당|[[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width=50]]]] || 야마구치 히로노부 || 8,024표 || 4위 ||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5.25%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232,764표 ||<|2> '''투표율'''[br]46.35% || || 선거인 수 || 336,070인 || ===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가고시마현 제1구|{{{#fff 가고시마현 제1구}}}]]}}}'''[br]{{{#fff 가고시마시(북부・사쿠라지마), 가고시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00469c> [[입헌민주당(2017년)|[[파일:입헌민주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width=50]]]] || '''[[가와우치 히로시]]''' || '''76,699표''' || '''1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17년))] || '''41.80%''' || '''당선''' || ||<|2><#D7003A>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야스오카 히로타케 || 74,831표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40.78% || 낙선 || ||<|2><#1dac42> [[일본 유신회(2016년)|[[파일:일본유신회 로고만.svg|width=40]]]] || 야마노우치 쓰요시 || 26,895표 || 3위 ||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14.66% || 낙선 || ||<|2><#808080> [[무소속|{{{+3 {{{#fff 無}}}}}}]] || 미야자키 가즈히로 || 5,066표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76% || 낙선 || ||<|2> '''계''' || 유효표 수 || 183,491표 ||<|2> '''투표율'''[br]51.77% || || 선거인 수 || 360,597인 || ===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4> '''{{{+1 [[가고시마현 제1구|{{{#fff 가고시마현 제1구}}}]]}}}'''[br]{{{#fff 가고시마시(북부・사쿠라지마), 가고시마군}}} || ||<-2> '''후보''' || '''득표수''' || '''비고''' || ||<-2> '''정당''' || '''득표율''' || '''당락''' || ||<|2><#e50038> [[자유민주당(일본)|[[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width=50]]]] || '''미야지 다쿠마''' || '''101,251표'''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53.2%''' || '''당선''' || ||<|2><#00469c> [[입헌민주당(2020년)|[[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width=40]]]] || [[가와우치 히로시]] || 89,232표 || 2위 || ||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 46.8% || 낙선 || ||<|2> '''계''' || 총 선거인수 || 358,070인 ||<|2> '''투표율'''[br]54.10% || || 유효표 || 190,483표 || ||<-10> '''비례대표 결과'''[* [[https://www.soumu.go.jp/senkyo/senkyo_s/data/shugiin49/shikuchouson_32.html|비례대표 결과 이곳에서 확인 가능]]] || || '''정당''' || [include(틀:국민민주당(2020년))] || [include(틀:일본 공산당)] || [include(틀:자유민주당(일본))] || [include(틀:레이와 신센구미)] || [include(틀:일본 유신회(2016년))] || [include(틀:사회민주당(일본))] ||[include(틀:입헌민주당(2020년))] ||[include(틀:공명당)] ||[include(틀:NHK당)] || || '''득표수[br](득표율)''' || '''6,303.589 [br] (3.33%)''' || '''8,592 [br] (4.54%)''' || {{{#ffffff '''75,440[br](39.82%)'''}}} || '''6,063 [br] (3.20%)''' || '''17,059[br] (9.00%)''' || '''5,051[br] (2.67%)''' || '''46,811.408 [br] (24.64%)''' || '''21,231 [br] (11.21%)''' || '''3,024[br] (1.60%)''' || ||<-10> '''시 지역''' || || '''가고시마시''' || 3.33% || 4.54% || {{{#D7003A 39.81%}}} || 3.20% || '''9.01%''' || '''2.67%''' || '''24.67%''' || 11.18% || '''1.60%''' || ||<-10> '''정촌 지역''' || || '''미시마무라'''[* NHK당은 이곳에서 한 표도 받지 못하였다.] || 2.30% || 3.49% || {{{#D7003A 41.48%}}} || '''6.99%''' || 5.68% || 1.75% || 19.54% || 18.78% || 0.00% || || '''도시마무라''' || '''4.64%''' || '''4.62%''' || {{{#D7003A '''44.53%'''}}} || 2.43% || 7.06% || 1.22% || 13.60% || '''20.92%''' || 0.97% || 현역 의원인 입헌민주당 [[가와우치 히로시]]와 자민당 미야지 다쿠마 의원이 1대 1로 붙게 되었다. 미야지 의원은 48회 총선에서 지역구 조정에 따라 지역구인 [[가고시마현 제3구|3구]]를 뺏기고 비례 규슈 블럭으로 전출된 의원으로, 야스오카 오키하루가 은퇴한다면 1구에서 출마할 계획이었는데 야스오카가 이전 총선에서 기습적으로 은퇴를 선언하고 아들 히로타케에게 지역구를 물려줌에 따라 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번 총선에선 야스오카 히로타케는 규슈 비례블럭에서 단독출마한다. [각주][[분류:선거구/일본]][[분류:가고시마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