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80, #fff)" '''[[대한민국 극우정당|{{{#fff 대한민국의 극우}}}]]{{{#fff ·}}}[[대한민국 민족주의 정당|{{{#fff 민족주의정당}}}]]'''}}} || || 시민당 ||<|2> {{{+1 →}}} ||<|2> '''{{{#ffffff 가나반공정당코리아}}}''' ||<|2> {{{+1 →}}} ||<|2> ''현재'' || ||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F1592A 불교정도화합통일연합당}}}]][br]{{{-2 (개별 합류)}}} || ||<-2> [[파일:가나코리아 로고.svg|width=315&height=55]] || ||<-2> {{{#ffffff '''가나반공정당코리아'''}}} || || '''영문 명칭''' ||Korea Party (KP)|| || '''등록 약칭''' ||코리아당, 반공정당코리아, 반공코리아당, 반공정당 || || '''슬로건''' ||통일경제대통령 코리아당|| || '''등록일''' ||[[2012년]] [[11월 13일]] ,,(가인친환경당),,|| || '''당명 변경''' ||[[2014년]] [[1월 29일]] ,,(겨레자유평화통일당),,[br][[2016년]] [[2월 15일]] ,,(가자코리아겨레자유평화통일당),,[br][[2016년]] [[3월 7일]] ,,(가자코리아),,[br][[2020년]] [[4월 29일]] ,,('''{{{#4f1d12 가나코리아}}}'''),, [br][[2024년]] [[3월 13일]] ,,('''{{{#4f1d12 가나반공정당코리아}}}'''),, || || '''주소'''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종로구 백석동길 222)]}}}[[서울특별시]] [[종로구]] 백석동길 222[br]대한민국만년역사·미래문명연구원 ([[부암동(종로구)|부암동]])|| || '''대표''' ||[[류승구(정치인)|류승구]]|| ||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f1d12 0%, transparent 0%) {{{#fff '''0석 / [include(틀:국회 의석수)]석 (0%)'''}}}}}} || || '''광역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f1d12 0%, transparent 0%)" {{{#fff '''0석 / 17석 (0%)'''}}}}}} || || '''기초단체장'''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f1d12 0%, transparent 0%)" {{{#fff '''0석 / 226석 (0%)'''}}}}}} || || '''광역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f1d12 0%, transparent 0%)" {{{#fff '''0석 / 872석 (0%)'''}}}}}} || || '''기초의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f1d12 0%, transparent 0%)" {{{#fff '''0석 / 2,988석 (0%)'''}}}}}} || || '''당 색'''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4f1d12; border: 1px #4f1d12; border-radius: 2px; padding: 3px 4px"" {{{#ffffff 밤색 {{{-2 (#4F1D12)}}}}}}}}} || || '''정치적 스펙트럼''' ||[[극우]] || || '''당원 수''' ||5,363명[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23), [[https://www.nec.go.kr/site/nec/ex/bbs/View.do?cbIdx=1129&bcIdx=195209|2022년도 정당의 활동개황 및 회계보고]](2023년 11월 28일 확인), p13. ]}}} || || '''공식 사이트''' ||[[http://www.gokr.kr/| [[파일:코리아당 아이콘.svg|width=20]]]]|| || '''SNS''' ||[[https://www.facebook.com/presidentkorea/|[[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당 페이스북)^^ | [[https://www.facebook.com/chamdug|[[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4]]]]^^(당대표 류승구 페이스북)^^||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반공주의]], [[한민족주의]] 정당. [[류승구(정치인)|류승구]] 대표를 중심으로 하는 원외 정당이다. 창당 후 단 한 번도 원내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음에도 '''매 선거마다 투표용지에서 원외 정당들 중 맨 앞에 표기되는 정당'''으로 알려져 있다. 한국의 선거제 하에서 원외 정당들은 당명의 [[가나다순]]에 따라 투표용지에 표기되기 때문에, 맨 앞에 서기 위해 당명을 '''가'''로 시작하도록 지은 것으로 추측[* 실제로 이 당의 역대 당명이 모두 'ㄱ'으로 시작된다는 점에서 이 추측은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 비슷한 사례로 과거 정당 중 하나였던 '[[건설국민승리21]]'이 있다.]된다. 다만 대외적으로는 정식으로 등록된 약칭 '''코리아당'''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도 [[가가국민참여신당]], [[가가호호공명선거대한당]]에 밀려서 원외정당 중에서조차 맨 앞에 서지 못했다. 정재복과 류승구가 창당한 정당으로 정재복은 상임고문을, 류승구는 대표를 각각 맡고 있다. 류승구 대표와 정재복 상임고문은 [[친박연대(2017년)|친박연대]]의 [[이용휘]] 대표최고위원, [[한나라당(2014년)|한나라당]]의 [[이태희(정치인)|이태희]] 총재, [[통합민주당(2016년)|통합민주당]]의 [[안동옥]] 대표처럼 정당 창당 경력이 아주 화려한 인물이다. 류승구 대표는 시민당[* 사실상 이 당의 전신격인 정당이다.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후 득표율 미만으로 해산.] 소속으로 [[2006년 재보궐선거]] [[인천광역시]] [[남동구 을]]과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무소속(정치)|무소속]]으로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종로구(선거구)|종로구]]에 출마한 경력이 있으며 정재복 상임고문은 [[민중당(1967년)|민중당]] 소속으로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남도]] 제11지역구([[서산시]]-[[태안군]]), 공명민주당[*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후 득표율 미만으로 해산.] 소속으로 [[1991년 지방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제1선거구,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 [[무소속(정치)|무소속]]으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공릉1동]] 선거구, 노년권익보호당[*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후 득표율 미만으로 해산.] 소속으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종로구]] 제1선거구,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종로구(선거구)|종로구]], 시민당 소속으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특별시]] [[노원구]]청장, 건국당[* 2009년 창당. 2011년 [[한화갑]]을 중심으로 창당했던 [[평화민주당(2010년)|평화민주당]]에 흡수되었다. [[http://www.newsway.co.kr/news/view?tp=1&ud=201106271141350121073|#]]] 소속으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종로구]] 제1선거구, [[불교연합당]][* 해산 이후 [[그린불교연합당]]으로 재창당.] 소속으로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종로구(선거구)|종로구]]에 출마한 경력이 있다. [[국제녹색당]]도 이래원과 함께 창당했다. 2012년 초 정재복과 류승구가 '겨레당'이라는 창준위를 차렸었으나 창당에는 실패했다. [[2012년]] [[11월]] 정재복이 [[가인친환경당]]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창당하였고, 이후 류승구가 입당하여 당명을 [[겨레자유평화통일당]]으로 변경했다가 [[20대 총선]]을 앞두고 [[가자코리아]]로 변경했다. [[21대 총선]]을 앞두고 [[석종현]] [[단국대학교]] 법과대학 명예교수가 총재로 취임하였으나 총선 끝나고 다시 탈당했다. 이후 총선이 끝나면서 가나코리아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어감이 이상한데 아무래도 21대 총선에서 당명에 '가자'가 붙은 정당이 가자코리아 외에도 둘이나([[가자!평화인권당]], [[가자환경당]]) 나왔기 때문에, 가나다순에서 우위를 차지해 계속 높은 기호를 받기 위해 바꾼 것으로 보인다. 2021년 6월 [[가가례도인연합]]이 창당하면서 [[콩라인|2번째]]로 밀렸지만 2022년 1월 28일 도인연합이 명칭을 바꾸면서 다시 1번째라는 타이틀을 탈환했다.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22대 총선]]를 앞두고서는 [[가가국민참여신당]]과 [[가가호호공명선거대한당]]에 또다시 밀리게 되었다. == 상세 == [[http://www.gokr.kr/?c=2/10|코리아당 정강정책]] 페이지만 봐도 알 수 있듯이, 실제 정당의 활동 상은 민족주의적인 정통 [[극우]]에 가깝다. [[북진통일]]론을 주장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탄핵 반대를 천명하였고, 탄핵 주도 세력인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정의당]] 등의 당시 야권 세력을 두고 "작당질인 정권 탈취에다 정부 전복에 공산화, [[적화통일]]까지 온갖 비겁질은 다하고 지랄 발광들이다"라는 글을 게재하였다. 특히 [[문재인]], [[안철수]], [[박원순]], [[박지원(1942)|박지원]], [[이재명]], [[추미애]], [[정세균]]을 오욕의 역사에 이름을 남긴 자들이라며 비난하였다. 또 당시 여당인 [[새누리당]]의 [[비박]] 계열이 탄핵에 찬성표를 던진 것을 두고 배신자들, 배반자들이라며 맹비난하였고 [[김무성]], [[유승민]], [[정진석(정치인)|정진석]], [[나경원]], [[남경필]], [[원희룡]] 또한 오욕의 역사에 이름을 남긴 자들이라며 비난하였다.[* 특히 [[김무성]], [[유승민]], [[나경원]], [[원희룡]]은 새누리당에서 강제 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https://www.gokr.kr/?c=2/46&p=2&uid=317|#]] 또한 류승구 대표는 [[http://www.seoul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04101|서울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마고할미]], [[배달국]], [[치우천왕]] 등을 [[환빠|주장하고]] "<[[규원사화]]>와 <[[환단고기]]>는 학자들 간에 위서 시비에 휘말려 있고, <[[산해경]]>은 중국에서는 고대사 연구가들이 많이 활용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유사역사학|재야 사학자]]들이 인용하는 문헌으로 인식되고 있고, 우리가 이렇듯 고대사의 문헌 자료에 대한 검정과 발굴 성과를 통한 고대사의 정립에 발목이 잡혀 있을 때, 이웃 [[중국]]에서는 우리가 잊은 상고사를 자신의 역사로 편입하고 있다"라고 발언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환단고기]]를 [[환빠|수용한 듯하다.]] 그래서인지 당사 건물도 [[박조건축|철근 콘크리트로 지은 한옥 양식]]의 건물이다. 또,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 등 양당을 [[경상도]], [[전라도]] 지역당이라고 부르며, 이들이 [[선거]], [[투표]] 및 [[개표]]에 부정한 방법으로 간섭을 하고 있어 군소 정당의 득표율은 0.3%에 머물러 있는 등의 피해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 정작 22대 총선거에서는 군소정당의 대규모 출마와 양당의 쏠림 현상 심화로 인해 군소정당 중 실제로 0.3% 이상의 득표율을 받은 정당은 송영길 전 민주당 대표가 창당한 소나무당 한 개 뿐이었고, 가나코리아는 0.02% 득표에 그쳤다] == 당명과 로고 == * [[한국어]]: 가나코리아 * [[영어]]: Korea Party ---- ||<-2> {{{#fff {{{+1 '''가나코리아의 로고'''}}}}}} || ||[[파일:가자코리아 로고.svg|width=200]]||[[2016년]] [[3월 7일]]부터 [[2018년]] 이전의 가자코리아 시절 로고. 현재도 사용 중이다.|| ||[[파일:가나코리아 로고.svg|width=200]]||현재 사용 중인 로고.|| == 계파 == [include(틀:극우정당의 계파 분류)] == 역대 지도부 == [include(틀:가나코리아 대표)] == 역대 선거 == 창당하고 나서 존재했던 선거 중 대통령선거, 재보궐선거를 제외한 선거에서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전부 참여하였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지역구]]로는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을]]에 정재복 상임고문이 기호 5번으로 출마했고, [[비례대표]]는 류승구 대표와 김상우 사무처장이 출마하여 기호 7번을 배정받았다. 원래 기호 5번이라고 홍보하고 있었으나 [[기독자유당]]과 [[민주당(2014년)|민주당]]에 각각 [[이윤석(정치인)|이윤석]] 의원과 [[신기남]] 의원이 입당해 원내정당이 되어 7번으로 밀려났다.[* 두 의원 입당 전 5번으로 만든 영상이 있다. [[https://youtu.be/Yc_HZCUJY-g|링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7qp0Pep4T0)]}}} || || '''{{{#fff 송출된 광고 영상}}}'''[* 섬네일 왼쪽의 아이가 들고 있는 깃발은 이 당의 전신격이 되는 과거 시민당의 로고이다. [[https://dbscthumb-phinf.pstatic.net/5338_000_1/20180525002850768_LKI3MBYMY.jpg/bc13_1891_i1.jpg?type=m4500_4500_fst&wm=N|참고]]] || [[2016년]] [[3월 31일]]에 [[KBS 1TV]]에 광고를 송출하였다. 8시 25분 [[우리집 꿀단지]] 드라마 방영 직전에 송출되었고 다음날인 [[4월 1일]]에도 같은 광고가 송출되었다. 일부에서는 처음에 [[하이재킹|방송사고가 난 줄]] 알았다고 한다. 정당 광고라고 하기에는 빠른 박자, 경쾌한 음정, 노래 중간중간 가사가 없는 공간마다 들어간 '코리아' 나 '정당 투표 럭키 세븐' 같은 추임새, 그리고 초등학생 PPT 숙제 수준의 광고 화면이 삼위일체가 된 영상이 하필 [[만우절]]에 송출되어 일부 네티즌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네이버 검색어에 '가자코리아당 광고'가 자동 검색어로 올라올 정도. 이 이외에도 주로 국악을 편곡해 만든 다른 버전들이 많이 있으나 대체로 영상 퀄리티가 비슷하다. [[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artid=201604121131341&pt=nv|주간경향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사실 이번 선거를 위해서 만든 것은 아니고, 본인이 작사/작곡한 것을 선거 때마다 가사만 조금씩 바꿔서 써먹고 있는 상황, 예를 들어서 대표인 류승구가 종로구 국회의원 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할 당시에는 '대한민국' 대신 '종로구', 당명인 '코리아' 대신 후보자인 '류승구'의 이름이 들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지역구는 꼴찌인 5위(253표, 0.25%), 비례대표는 27,103표로 0.11%의 지지를 받아 국회의원을 배출하지 못하였으나, 비슷한 처지에 있었던 '갑툭튀'한 군소 정당 중에서는 의외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다만 이 득표도 마음에 들지 않았는지 부정 선거를 주장하는 중이다. [[http://gokr.kr/?c=1/5&uid=191|링크]] 그래도 선거 당시 공약은 '''기준금리 0% 달성'''이라는 공약이 하나는 있었다. === [[2017년 4월 재보궐선거]] === [[새누리당]](현 [[국민의힘]]) [[김종태(1949)|김종태]] 의원의 당선무효로 실시하는 [[2017년 4월 재보궐선거/지역별 결과#s-2.1|경북 상주시·군위군·의성군·청송군 국회의원 재선거]]에 류승구 대표가 기호 6번으로 손수 출마했다. 그런데 선거 포스터에 후보 얼굴 대신에 '''"[[반공주의|몰아내자]] [[종북몰이|공산당]] 심판하자 [[비박|배신당]]"''' 이란 아스트랄한 문구를 [[http://www.idaegu.com/?c=4&sort=d_regis&orderby=desc&uid=360747|박아 넣었다.]] 결국 꼴찌인 6위(435표, 0.45%)로 낙선하였다. 해당 선거에서는 [[자유한국당]] [[김재원(1964)|김재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충청남도]][[충청남도지사|지사]] 선거에 무소속으로 등록했던 차국환 예비후보가 코리아당에 입당해서 기호 6번으로 선거에 출마하게 되었다. 2.33%(23,012표)를 얻으면서 낙선했지만 원외 정당 치고는 나름대로 의미 있는 결과다. 아무래도 [[더불어민주당|거대]] [[자유한국당|양당]] [[양승조|후]][[이인제|보]]를 제외하면 유일한 후보였기 때문에[* 7회 지선에서 [[바른미래당]]은 충남지사 후보를 내지 않았다.] 양당 모두를 혐오하는 유권자들의 표를 흡수한 것으로 보인다. || 연도 || 선거 종류 || 후보 || 득표수(득표율) || 당선여부(순위)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충청남도지사]] || 차국환 || 23,012표 (2.33%) || 낙선 (3위)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1PDQ2nWHS8)]}}} || || '''{{{#fff 비례대표 토론 영상}}}''' || 지역구에는 참가하지 않았고, 비례대표에서만 류승구 대표와 [[석종현]] 총재를 포함하여 6명이 출마하였다. 공약도 벌써 만들었는데 일부 공약들을 보면 고속도로 제한 속도를 130km로 높인다, 상속세 및 증여세를 폐지한다, [[북진통일]], [[성매매]] 자유촌 설치 등 다양한 공약을 내세웠다. 지난 선거와 같이 또 다시 저퀄리티 광고가 제작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oYMWXNDh14|#]] 재녹음할 상황이 안되었는지[* 일단 인터뷰에선 가수는 아니고 특별히 모신 여성분이라고 답했지만 [[https://youtu.be/3gWI4zwzqok|2012년 로고송에선]] 어린이라는 말과 류승구 대표를 보고 아빠라고 부르는 것, 2016년 로고송 중 하나에서 류승구 대표가 아들이라고 언급 한 점, 그리고 성도 류씨로 같은 걸로 봐선 류승구의 아들로 추정된다. 하지만 변성기 때문인지 재녹음을 하지 않은 이유는 불분명.] 20대 총선에서 기호 7번을 얘기했던 부분을 자르거나 한 남성이 13번 코리아! 정당 코리아! 라고 말하는 음성으로 덮는 등으로 처리했다. 선거 결과, 총 34,012표(0.12%)를 얻어 [[봉쇄조항]] 3%에 미치지 못해 낙선하였다. 특이한 건 꾸준히 일정 득표율은 나오고 있다.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류승구 대표가 [[서울특별시|서울]] [[종로구청장]] 선거에 출마했다. 개표 결과 114표(0.16%)를 득표하며 최하위로 낙선했다. 여담으로 류승구 후보의 선거공보물을 통해 공개된 그의 재산은 세금 체납액 4억 원을 포함해 무려 388억 원으로, 이 지방선거에 출마한 모든 후보들의 재산 규모 중 2위였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나반공정당코리아 22대 총선 선거공보.jpg|width=100%]]}}} || || '''제22대 총선 가나반공정당코리아 선거공보''' || 이번에도 지역구에는 후보를 내지 않았고, 비례대표로만 류승구 대표를 포함해 2명의 후보를 냈다. 선거를 앞두고 당명을 '가나코리아'에서 '가나반공정당코리아'로 바꾸었으며, '가나'로 시작하는 당명 덕에 원외 정당들 중 가장 앞 순번에 위치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국민참여신당이 '[[가가국민참여신당]]'으로 당명을 바꾸고 대한당이 [[민경욱]] 전 의원 세력의 입당과 함께 '[[가가호호공명선거대한당]]'으로 당명을 바꾸면서 이들에게 밀려 기호 12번을 받았다. 다만 투표용지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된 약칭 중 하나인 '반공정당코리아'로 기재되었다. 개표 결과 0.02%(7,820표)를 득표, 지난 선거보다 낮아진 득표율로 3%에 미달하면서 두 명의 후보 모두 낙선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원외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극우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민족주의 정당)] [include(틀:대한민국의 극우정당(참여정부-이명박 정부))] [include(틀:대한민국의 극우정당(박근혜 정부))] [include(틀:대한민국의 극우정당(문재인 정부-현재)/기타)] [[분류:대한민국의 극우정당]][[분류:나무위키 정당 프로젝트]][[분류:국민보수주의 정당]][[분류:매카시즘 정당]][[분류:2012년 설립된 정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