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유희왕/OCG/드래곤족]][[분류:유희왕/OCG/일반 몬스터]][[분류:유희왕/OCG/튜너]]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하급 일반 / 튜너 몬스터 카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플레임벨)] [[파일:FlamvellGuard-ST18-KR-C-UE.png|width=400]]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튜너=, 한글판 명칭=가드 오브 플레임벨, 일어판 명칭=ガード・オブ・フレムベル, 영어판 명칭=Flamvell Guard, 레벨=1, 속성=화염, 종족=드래곤족, 공격력=100, 수비력=2000, 효과1=화염을 자유자재로 조종할 수 있는\, 플레임벨의 호위전사. 작열의 배리어를 만들어내서 적의 공격을 되받아친다.)] [[플레임벨]]의 유일한 [[일반 몬스터]]이자 OCG '''사상 최초의 일반 몬스터 튜너.''' [[일반 몬스터]] / 드래곤족 / [[싱크로 소환/튜너|튜너]] / 레벨 1이라는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어 수많은 서포트 카드에 대응한다는 것이 장점. [[조화의 패]]나 [[고등의식술]]에 대응하며, [[동성동명동맹]], [[원 포 원]], [[은룡의 굉포]], [[카보네돈]], [[드라코넷]], [[드라고라드]], [[성각]] 등 특수 소환 수단도 매우 다양하다. 또한 수비력이 높아 굳이 싱크로 소재로 쓰지 않는 경우라도 벽으로 이용할 수 있다. 플레임벨의 이름을 달고 있지만 수비력이 보통 그들의 수비력인 200을 10배로 뻥튀기시켜놓은 2000인지라 [[진염의 폭발]]을 비롯한 수비력 200 서포트를 사용하는 그쪽에서는 그렇게 쓰기 편한 카드가 아니다. 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플레임벨의 관점에서 그런 것이지, 보통 하급 몬스터의 수비력이 2000이면 그건 꽤 우수한 능력치이다. 객관적으로 봐도 하급 일반 몬스터의 최대 수비력인 2100보다 100밖에 낮지 않은 상당한 수치다. 무엇보다도 이 카드는 튜너라는 점이 같은 레벨 1에서 수비력이 이 카드보다 더 높은 [[대목인18|대목탄18]]과 [[바니라]]와 확 차별화시켜준다. 극초반이거나 맹공이 오고가다가 자원이 말라 하급 싸움이 일어날 때 이 카드는 쉽게 상대의 하급을 막아내고 다음 턴에 [[싱크로 소환]]으로 반격할 수 있게 해준다. 반상급 몬스터나 대형 몬스터가 빠르게 소환되는 환경에서는 2000의 수비력도 허무하게 뚫려버릴 수 있기에 수비력이 높다고 해도 아주 믿음직한 방어벽은 못 되지만, 그걸 감안해도 이 카드는 받을 수 있는 서포트가 매우 많기 때문에 여전히 쓸만한 카드다. 저레벨, 저공격력, 일반 몬스터, 화염 속성, 드래곤족, 튜너라는 조합은 정말 온갖 덱에서 이 카드를 써먹을 수 있게 해준다. 드래곤족이라서 같은 속성의 [[가면룡]], [[드레드 드래곤]]으로 서치도 가능하고 공격력이 100밖에 안 되는지라 [[조화의 패]]로 엿바꿔먹는 것도 가능하다. 많지 않은 바닐라 튜너인지라 [[로우 레벨]] 덱에서 쓰거나 [[홍연 마투사]]로 되살려 레벨 7 싱크로가 가능하며, 고레벨 바닐라 덱에서도 [[하늘빛 눈의 은룡]]의 싱크로 소환용으로 써먹을 수 있으며, 드래곤족이라 [[은룡의 굉포]]로 되살릴 수 있고 상황이 허락한다면 은룡을 ~~효율은 제로에 가깝긴 해도~~ [[트라이든트 드라기온]]으로 바꿔먹을 수도 있다. [[정룡]] 덱에서는 화염 속성 드래곤족이라 염정룡-블래스터의 효과의 코스트로 써먹어도 되는지라 [[드래그니티]] 튜너를 쓰고 싶지 않은 사람이 레벨 8 싱크로 용으로 종종 넣기도 한다. 또 드래곤족 일반 몬스터인 덕분에 [[성각|성각룡]]들의 효과 범위에 들어오는 튜너라서 성각 덱에서 싱크로 용으로 종종 쓰이기도 한다. [[드라코넷]] 효과로 즉시 불러 4레벨 싱크로나 [[크리스트론-하리파이버]]같은 [[링크 소환]]에 써도 된다. [[유희왕 5D's]] 67화에서는 [[후도 유세이]]가 [[루돌프 하이트만]]과의 듀얼에서 사용했으며, 유세이 본인의 카드가 아니라 [[날개 와타]], [[익센트릭 보이]]처럼 [[루아(유희왕)|루아]]와 같은 반의 클래스메이트들이 빌려준 카드다. 작중에서는 첫 턴에 소환되었다가 [[튜너즈 베리어]]로 전투 파괴 내성을 부여받은 후 하이트만의 [[앤틱 기어 골렘]] 3장의 공격을 막아냈으며, 다음 턴 유세이의 함정 카드 튜너 폭탄의 효과로 릴리스되었다. 참고로 작중 유일하게 등장한 [[플레임벨]] 몬스터이자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몬스터가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최초의 사례이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シンクロ覚醒!!-]] || DT01-JP018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수록[br]절판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クロニクルI覚醒の章-]] || DTC1-JP009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일본 || 절판 ||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青眼龍轟臨-]] || SD25-JP004 || [[노멀]] || 일본 || || || [[스타터 덱 2018|STARTER DECK(2018)]] || ST18-JP009 || [[노멀]] || 일본 || 절판 || || [[숨겨진 세력|Hidden Arsenal]] || HA01-EN009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Duel Terminal 1]] || DT01-EN018 || [[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미국 || 절판 ||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Saga of Blue-Eyes White Dragon Structure Deck]] || SDBE-EN005 || [[노멀]] || 미국 || || || [[스타터 덱 2018|Starter Deck: Codebreaker]] || YS18-EN012 || [[노멀]] || 미국 || || || [[숨겨진 세력|Hidden Arsenal: Chapter 1]] || HAC1-EN064 || [[노멀]][br][[듀얼 터미널|DT]][[패러렐 레어|P]] [[노멀]] || 미국 || || || [[숨겨진 세력]] || HA01-KR009 || [[슈퍼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스트럭처 덱 -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 || SD25-KR004 || [[노멀]] || 한국 || || || [[스타터 덱 2018]] || ST18-KR009 || [[노멀]] || 한국 || 절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