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 '''가락바퀴(紡錘車[* 방추차.])'''}}} || ||<-2> [[파일:PS01001001013-000468-000-0001.jpg|width=400]] || || 국적/시대 || 한국(韓國)-신석기(新石器)[* 기원 전 2,000년대] || || 재질 || 토제(土製) / 土制 || || 명문내용 || 新石器時代 || || 용도 || 산업/생업(産業/生業)-공업(工業) || || 크기 || 지름 4-5cm || || 출처 || 한국사 사전 1 - 유물과 유적. 법과 제도 || [목차] == 개요 == 신석기~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도구 중 하나. 가락바퀴는 신석기 시대의 실을 짜는 도구이다. 방추차로도 불린다. 크기는 지름이 4~5cm 정도 된다. 재질은 흙으로 만들어졌으며 한국에서는 기원전 2000년대 즈음 것이 출토되었다. == 용도 == 옷을 만들기 위해 실을 짜는 도구로 사용되었다. 뼈바늘과 함께 신석기 시대부터 천을 사용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 사용 방법 == 막대(가락)에 실의 원료를 동여맨 다음, 가락바퀴를 끼워 늘어뜨린 뒤 회전시킨다. 가락바퀴가 회전하면 실의 원료가 꼬임과 동시에 감기면서 실을 뽑을 수 있다. 가락바퀴는 둥근 몸체 중앙에 구멍이 뚫려 있다. 이 구멍에 막대처럼 생긴 가락을 끼우게 된다. 실의 원료를 막대에 이은 뒤 돌리면, 섬유에 꼬임이 생기면서 실이 만들어진다.[* 가락바퀴는 흙으로 만든 것이 대부분이지만 간혹 돌로 만든 것도 발견된다. 또한 흙으로 만든 것 중에는 무늬가 새겨진 것도 있다.] == 역사 == 가락바퀴는 전국 곳곳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적에서 발견된다. 하지만 신석기 유적에서도 뼈로 만든 바늘과 실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신석기시대부터 사용된 것으로 추측된다. 신석기, 청동기 시대의 물품으로 교과서에 나오기 때문에 그 시대에나 사용된 물품으로 알기 쉬우나, 사실 기원 후 1000년 경 물레가 발명되기 전까지 계속 사용되었다. 선사시대의 유물이 강조되는 것은 선사시대만 사용됐다는 뜻이 아니라, 이것이 출토된 시기부터 천을 짰다는걸 알 수 있기 때문이다. == 출토 장소 == 한국에서는 황해도 지탑리(智塔里), 강원도 오산리(鰲山里), 한강 중류 흔암리(欣巖里)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봉남리 등의 유적에서 출토되었다. == 소유 박물관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대관령박물관 *양양 오산리 선사유적지 전시관 [[분류:선사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