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일본 덴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0%, #bd0029 20%, #bd0029 80%, #AF001F)" {{{#dca600 '''가메야마 덴노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역대 일본 상황)]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0%,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일본 제90대 천황[br]{{{+1 가메야마 덴노}}}[br]龜山天皇'''}}}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55px-Emperor_Kameyama.jpg|width=100%]]}}} || ||<|2> '''출생''' ||[[1249년]] [[7월 9일]] || ||[[일본]] [[야마시로|야마시로국]] [[교토부|교토]] 교토 어소[br](現 [[일본]] [[교토부]] [[교토시]]) || ||<|2> '''사망''' ||[[1305년]] [[10월 4일]] (향년 56세) || ||[[일본]] [[야마시로|야마시로국]] [[교토부|교토]] 가메야마전[br](現 [[일본]] [[교토부]] [[교토시]]) || || '''능묘''' ||가메야마릉([ruby(龜山陵, ruby=구산릉)]) || ||<|4> '''재위기간''' ||'''{{{#dca600 제90대 천황}}}''' || ||[[1260년]] [[1월 9일]] ~ [[1274년]] [[3월 6일]] || ||'''{{{#dca600 일본 상황}}}'''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a600; font-size: .9em" {{{#94153e '''인세이'''}}}}}} || ||[[1274년]] [[3월 6일]] ~ [[1305년]] [[10월 4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황통''' ||[[가메야마 덴노|'''다이카구지통([ruby(大覺寺統, ruby=대각사통)])''']] || || '''휘''' ||츠네히토([ruby(恒仁, ruby=항인)]) || || '''부모''' ||부황 [[고사가 덴노]][br]모후 중궁 오미야인 || || '''형제자매''' ||16남 5녀 중 8남 || || '''배우자''' ||황후 교고쿠인, 중궁 이마데가와인 || || '''자녀''' ||14남 5녀 || || '''종교''' ||[[불교]] || || '''관저''' ||교토 어소([ruby(京都御所, ruby=경도어소)]) || || '''법명''' ||콘고오겐([ruby(金剛源, ruby=금강원)]) || || '''별호''' ||젠린지도노([ruby(禪林寺殿, ruby=선림사전)])[br]마데노코오지도노([ruby(万里小路殿, ruby=만리소로전)])[br]분오코테([ruby(文應皇帝, ruby=문응황제)]) || || '''원호''' ||가메야마인([ruby(龜山院, ruby=구산원)]) || || '''시호''' ||'''가메야마 덴노([ruby(龜山天皇, ruby=구산천황)])''' || || '''연호''' ||분오([ruby(文應, ruby=문응)], [[1260년]] ~ [[1261년]])[* 본 연호에서 유래하여 '''분오코테'''(文應皇帝, 문응황제)라고도 한다.][br]고초([ruby(弘長, ruby=홍장)], [[1261년]] ~ [[1264년]])[br]분에이([ruby(文永, ruby=문영)], [[1264년]] ~ [[1274년]])[* [[원나라의 일본 원정|여‧원 연합군의 1차 일본 원정]]이 있었다. 일본에선 '''분에이의 역'''(文永の役)이라고 한다.] || }}}}}}}}} || [목차] [clearfix] == 소개 == 일본의 제90대 [[천황]]. '''다이카쿠지 황통의 시조였다.''' [[고사가 덴노]]의 8남으로, 사이온지 깃시의 차남이었다. == 생애 == 1258년, 9세의 나이로 황태자가 되었다. 1259년 11월, 동복형인 [[고후카쿠사 덴노]]로부터 양위를 받아 즉위했다. 1263년, '''가마쿠라 소동''' 때 [[가마쿠라 막부]]의 제6대 쇼군인 [[무네타카 친왕]]이 가마쿠라에서 쫓겨나자, [[고레야스 친왕]]을 쇼군으로 세울 것을 요청했다. 1274년, 아들인 [[고우다 덴노]]에게 양위하면서, 그는 상황으로서 [[인세이]]를 시작했다. 인세이 기간 동안 '''[[몽골제국]]의 대규모적인 침공이 있었다'''. 한편 가메야마 상황이 자신의 혈통('''다이카쿠지 황통''')의 번영을 꾀하자, 형인 고후카쿠사 상황('''지묘인 황통''')이 이에 불만을 품고 출가할 뜻을 밝혔다. 가마쿠라 막부는 지묘인 황통이 홀대받는 것을 우려하여 타협안으로 고후카쿠사 상황의 아들을 고우다 덴노의 황태자로 삼았으니, 이가 훗날의 [[후시미 덴노]]였다. 이로 인해 '''양통질립'''(兩統迭立)의 암묵적인 원칙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형세가 역전되어 고후카쿠사 상황에게 유리한 세상이 되자 가메야마 상황은 출가해버렸다. 이후 1305년에 붕어했다. [[분류:천황]][[분류:일본 상황]][[분류:1249년 출생]][[분류:1305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