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가면라이더 블레이드]]의 [[가면라이더 시리즈/4호 라이더|4호 라이더]]인 [[가면라이더 렌겔]]이 사용한 라우즈 카드를 설명하는 문서. [[라우즈 카드]]는, 라이더가 가지고 있는 전용 각성기(라우저)를 통해 사용할 수가 있으다. 다만 카드를 라우즈해 효과를 발동시키기 위해선 "AP(=Attack Point)"란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 "AP"가 바닥났을 경우 카드를 라우즈해도 효과를 발동시킬 수 없다. 그리고 라우저에 카드를 라우즈했을 시, 라우저에서 '''"카드의 효과명"'''이 음성으로 나온다. 카드(2~K)는 통상시에 벨트 측면에 붙어있는 카드박스에 수납해둔다. == 목록 == === 카테고리 ♣️A === || {{{+2 '''체인지 스파이더'''}}} [br] Change Spider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hangeSpider.jpg|width=150]] || || AP 수치 - 소비 없음 || || 산왕거미의 선조, '''스파이더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렌겔로 변신하는데 필수인 카드.[br][[렌겔 버클]]과 조합해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자를 렌겔으로 변신시킨다.[* 처음엔 스파이더 언데드가 불완전하게 봉인된 상태였기 때문에, 장착자를 여러번 지배하기도 했다. 나중에 완전히 봉인시킨 후에서야 스파이더 언데드의 지배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 스파이더 언데드가 완전히 봉인된 후엔, 변신할때 방출되는 "스피리티아 엘리먼트"의 색깔도 보라색에서 일부 금빛으로 변화했다.] || === 카테고리 ♣️2 === || {{{+2 '''스탭 비'''}}} [br] Stab Bee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tab_Bee.gif|width=150]] || || AP 수치 - 400 || || 벌의 선조, '''비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렌겔 라우저의 날카로움이 강화되어, 찌르기 공격 「비 스탭」 을 사용한다. || === 카테고리 ♣️3 === || {{{+2 '''스크류 몰'''}}} [br] Screw Mole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Screw_Mole.gif|width=150]] || || AP 수치 - FP 600 || || 두더지의 선조, '''몰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완력(펀치력)이 강화되어, 스크류펀치 「몰 스크류」를 발동시킨다. || === 카테고리 ♣️4 === || {{{+2 '''러시 라이노세라스'''}}} [br] Rush Rhinoceros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Rush_Rhinocero.gif|width=150]] || || AP 수치 - FP 800 || || 코뿔소의 선조, '''라이노세라스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돌진력과 렌겔 라우저의 관통력이 강화되고, 라우저로 공격하는 돌진 공격 「라이노세라스 러쉬」를 발동시킨다.[* 「라이노세라스」를 「라이노스」라고 표기하고 있는 경우도 있다.] || === 카테고리 ♣️5 === || {{{+2 '''바이트 코브라'''}}} [br] Bite Cobra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ite_Cobra.gif|width=150]] || || AP 수치 - FP 1200 || || 코브라의 선조, '''코브라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각력(킥력)이 강화되어, 크로스킥 「코브라 바이트」를 발동시킨다. || === 카테고리 ♣️6 === || {{{+2 '''블리자드 폴라'''}}} [br] Blizzard Polar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Blizzard_Polar.gif|width=150]] || || AP 수치 - MP 1200 || || 북극곰의 선조, '''폴라베어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강력한 냉기를 생성해 방출하는 「폴라 블리자드」를 발동시킨다.[* 공격에 빙결속성을 부여하며, 렌겔의 주위에 냉기 안개를 전개할 수도 있다. 렌겔의 상징 속성을 발현시키는 카드답게 작중 높은 빈도로 활용했으며, 리모트와 더불어 렌겔을 상징하는 카드라고 할 수 있다.] || === 카테고리 ♣️7 === || {{{+2 '''젤 젤리피쉬'''}}} [br] Gel Jellyfish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GelJellyfish.jpg|width=150]] || || AP 수치 - MP 1400 || || 해파리의 선조, '''젤리피쉬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신체를 젤리처럼 액상화시켜, 물리적인 유연성을 높이는 「젤리피쉬 젤」을 발동시킨다. || === 카테고리 ♣️8 === || {{{+2 '''포이즌 스콜피온'''}}} [br] Poison Scorpion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Poison_Scorpion.gif|width=150]] || || AP 수치 - MP 1800 || || 전갈의 선조, '''스콜피온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독을 생성하는 「스콜피온 포이즌」을 발동시킨다. || === 카테고리 ♣️9 === || {{{+2 '''스모그 스퀴드'''}}} [br] Smog Squid ||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mog_Squid.gif|width=150]] || || AP 수치 - MP 2000 || || 오징어의 선조, '''스퀴드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연막을 만들어내는 「스퀴드 스모그」를 발동시킨다. || === 카테고리 ♣️10 === || {{{+2 '''리모트 테이퍼'''}}} [br] Remote Tapir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Remote_Tapir.gif|width=150]] || || AP 수치 - MP 2200 || || 맥의 선조, '''테이퍼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라우즈 카드에 봉인된 언데드를 해방해 조종하는 「테이퍼 리모트」를 발동시킨다.[* 본편에서는 이 카드를 이용해 [[가면라이더 블레이드(가면라이더)|블레이드]]와 [[가면라이더 카리스|카리스]]를 여러 번 골탕먹였다. [[언데드(가면라이더 블레이드)#s-3|상급 언데드]]도 해방이 가능하나, 본능에 가깝게 움직이는 일반 언데드와는 달리 지성을 갖춘 상급 언데드도 조종할 수 있는지는 명확하진 않다. 다만, 후반부 본인 카테고리J의 [[다이치(가면라이더 블레이드)|엘리펀트 언데드]]를 잠시 해방시켰을 때, 원래는 이길 가능성이 있을 때에만 몰아치는 신중한 성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펀트 언데드가 렌겔의 같이 싸우자는 말에 우호적으로 반응한 걸로 봐서 어느 정도는 따라주는 것도 같다. 상당히 유용한 카드이지만 [[배틀 파이트]]가 종료되면 발동하지 않게 된다. 작중 최후반부에서 [[배틀 파이트]]를 재개시키기 위해서 이 리모트를 사용했지만 효과가 발동되지 않았다. 극장판에서는 봉인돼있던 [[아이카와 하지메]]=[[조커(가면라이더 블레이드)|조커]]를 이 카드로 부활시켰다. 이래저래 블리자드 폴라와 더불어 렌겔의 상징과도 같은 카드.] || === 카테고리 ♣️J === || {{{+2 '''퓨전 엘리펀트'''}}} [br] Fusion Elephant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FusionElephant.jpg|width=150]] || || AP 수치 - EP +2800 || || 코끼리의 선조, '''엘리펀트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 라우저의 AP수치를 '''2800AP''' 충전시키는 「엘리펀트 퓨전」이 발동된다. 또한, 라우즈 업소버 및 카테고리 Q의 카드와 조합해 사용하는 것으로, 잭 폼으로의 강화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잭 폼 용도로는 쓰인적이 없고, 리모트와 연동하여 사용된 적은 있지만 [[케르베로스(가면라이더 블레이드)|상대가 상대인지라]] '''바로 발렸다.''' 지못미(…)] || === 카테고리 ♣️Q === || {{{+2 '''앱소브 타이거'''}}} [br] Absorb Tiger || ||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AbsorbTiger.jpg|width=150]] || || AP 수치 - EP +2000 || || 호랑이의 선조, '''타이거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라우저의 AP수치를 '''2000AP''' 충전시키는 「타이거 엡소브」가 발동된다. 또한, 라우즈 업소버를 기동시키는데 사용하며, 라우즈 업소버와 카테고리 J·K의 카드와 조합해 사용하는 것으로 잭 폼·킹 폼으로 강화 변신이 가능해진다.[* 작중 단 1회 사용되었지만, 갸렌용의 라우즈 업소버로 썼기 때문에 도리어 변신이 풀려버렸다.(...) 갸렌용 라우즈 업소버를 써서 그렇다기 보다는, 카테고리 K와 융합할때 카테고리 A를 내치는 과정에서 변신이 풀렸을 가능성이 높다.] || === 카테고리 ♣️K === || {{{+2 '''에볼루션 타란튤라'''}}} [br] Evolution Tarantula ||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EvolutionTarantula.jpg|width=150]] || || AP 수치 - EP +4000 || || 타란튤라거미의 선조, '''타란튤라 언데드'''를 봉인한 카드.[br]라우자의 AP수치를 '''4000AP''' 충전시키는 「타란튤라 에볼루션」이 발동된다.[* 작중에선 변신이 풀린 무츠키가 라우즈 업소버와 연동해서 카테고리 K의 힘을 빌려 싸운 적이 있다. 최후반에는 [[배틀 파이트]]를 재개시키기 위해서 리모트와 연동시켜 사용했지만 실패했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가면라이더 렌겔, version=220)] [[분류:라우즈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