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가면라이더 류우키]]의 [[가면라이더 시리즈/1호 라이더|1호 라이더]]인 [[가면라이더 류우키(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류우키]]가 사용한 바이저와 어드벤트 카드를 정리한 문서. == 바이저 == === 라이드 바이저 === || {{{+2 '''라이드 바이저'''}}} [br] ライドバイザー / Ride Visor || || [[파일:Ryuki-_Ride_Visor.png|width=35%]] || ||왼팔에 장비된 건틀릿 형태 바이저. 방어 기능은 없다. 어드벤트 카드를 VENT IN할 땐 바이저의 상부커버를 열고 안에 장전한다. || === 드래그 바이저 === || {{{+2 '''용소기갑 드래그 바이저'''}}} [br] 龍召機甲ドラグバイザー / Drag Visor || || [[파일:Drag_Visor.png|width=30%]] || ||왼팔에 장비된 건틀릿 형태 바이저. 방어 기능은 없다. 어드벤트 카드를 VENT IN할 땐 바이저의 상부커버를 열고 안에 카드를 장전한다. || === 드래그 바이저 츠바이 === || {{{+2 '''드래그바이저 츠바이'''}}} [br] ドラグバイザーツバイ / DragVisor-Zwei || || [[파일:Drag_Visor_Zwei.png|width=30%]] || ||드래그바이저가 변형된 권총형 소환기. 평상시엔 왼쪽 허리에 장비한다. 입 안 장전구에는 서바이브 카드를 장전하며, 측면의 장전구에 다른 어드벤트 카드를 VENT IN한다. 바이저 끝부분 칼날을 전개시켜 소드 벤트(드래그 블레이드)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슛 벤트(메테오 불릿) 사용시 공격 대상을 레이저로 지정하는 포인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외형에 맞게 레이저, 화염탄 등을 발사하는 사격 무기로도 사용 가능하다. 총구는 입이 아니라 아래턱 밑에 위치해 있다. || == 어드벤트 카드 == === 블랭크체 === 아래에 서술한 어드벤트 카드는 가면라이더 류우키에서 등장하는 '''모든 가면라이더의 블랭크체들이 공통으로 소지한 카드들'''이다. ==== 소드 벤트 ==== ||<-2> {{{+2 '''라이드 세이버'''}}} [br] ライドセイバー / Ride Saber ||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Blank_Sword_Vent.png|width=40%]] || [[파일:라이드 세이버.png|width=65%]] || ||<-2> 300AP || ||<-2>프리 카드. 장검 형태이기는 하지만 [[미러 몬스터]]에게 흡집 하나 낼 수 없는 최약 장비. 작중에서 나이트의 소드 벤트를 소환하는 걸 보고 따라해서 소환했다. 그리고 디스파이어에게 돌격해 내려치지만 시원하게 두동강난다. 이때 신지의 명대사 '''"부러졌다?!"'''가 나온다. || ==== 가드 벤트 ==== || {{{+2 '''라이드 실드'''}}} [br] ライドシールド / Ride Shield || || 300GP || ||프리카드. 설정상으론 존재하지만, 작중에서 사용한 적이 없는 것을 넘어 카드 도안이나 설정화조차 없다. || ==== 계약 ==== || {{{+2 '''계약'''}}}(CONTRACT) {{{+2 '''카드'''}}} || || [[파일:계약.jpg|width=2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드벤트 카드, 앵커=CONTRACT(계약))] || ==== 봉인 ==== || {{{+2 '''봉인'''}}}(SEAL) {{{+2 '''카드'''}}} || || [[파일:봉인.jpg|width=2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어드벤트 카드, 앵커=SEAL(봉인))] || === 류우키 === 어드벤트 카드는 자신의 소환기(바이저)에 삽입해서, 카드를 소비하는 대신 장비를 소환하거나 특수효과, 필살기 등을 발동시킬 수 있다. 단, 라이더로 1회 변신했을 때마다 기본적으로 카드 종류당 1장씩만 사용할 수 있다. ==== 소드 벤트 - 드래그 세이버 ==== [include(틀:가면라이더 류우키/무기 목록)] ||<-2> {{{+2 '''드래그 세이버'''}}} [br] ドラグセイバー / Drag Saber || || [[파일:external/img3.wikia.nocookie.net/Sword_Vent.png|width=50%]] || [[파일:Drag_Saber.png|width=70%]] || ||<-2> 2000AP || ||<-2>류우키 전용. 드래그레더의 꼬리를 본뜬 유엽도로, 신지가 주력으로 사용하는 장비이다. 두께 40cm의 철벽도 단숨에 두동강내버리는 위력을 지녔다. 점프 후 수직으로 내려베는 용무참(龍舞斬, 2000AP)이란 기술을 쓸 수 있으며 작중에서는 3화에 등장. 이는 미러 몬스터가 하늘로 날린 드래그 세이버를 붙잡으며 임기응변으로 사용한걸 기술로 정의한 느낌이 강하다. 실제 승룡돌파와 달리 AP가 드래그 세이버와 같은 2000에 사용횟수가 저조한 편. || >[[가면라이더 류우키(가면라이더)|가면라이더 류우키]]가 사용하는 무기. 청룡도 같은 유려한 형상이며 칼날은 초경질이다. 외형과 달리 강철도 손쉽게 베어가를 정도의 예리함을 자랑한다. > - [[가면라이더 기츠]] 버클 시뮬레이터의 설명문. ==== 스트라이크 벤트 - 드래그 클로 ==== ||<-2> {{{+2 '''드래그 클로'''}}} [br] ドラグクロー / Drag Claw ||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Strike_Vent.jpg|width=45%]] || [[파일:Drag_Claw.png|width=100%]] || ||<-2> [[파일:1629633854624_1629633854624_2.gif|width=60%]] || ||<-2> 2000AP || ||<-2>류우키 전용. 드래그레더의 머리를 본뜬 [[건틀릿]]형 무기로, 오른손에 장비해 사용한다. 류우키가 드래그 세이버 다음으로 애용하는 주력 장비. 드래그 세이버에 비해 길이가 짧지만 활용도가 더 높고 상당히 다재다능한 무기다. 기본 용도는 강력한 펀치를 날리는 용도지만[* 류우키의 펀치는 10t밖에 되지 않지만, 드래그클로를 착용하고 펀치를 할 경우 펀치력이 무려 100t으로 열배나 강해지는데, 이는 '''[[가면라이더 쿠우가(가면라이더)/폼#최종 폼: 얼티메이트(얼티밋) 폼|쿠우가 얼티밋 폼]]'''의 펀치력보다 강한 것이다.] 건틀릿답게 방어용으로도 쓸 수 있다.[* 작중 [[가면라이더 임페러]]와 싸울 때 이런 식으로 써서 제압했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가장 중요한 장점은 전용 기술 '''승룡돌파(昇竜突破, 3000AP)'''이다. 드래그레더의 드래그 브레스는 매우 강력하지만 아무 데나 난사하는 습성 탓에 통제가 불가능한데, 드래그클로를 사용하면 드래그레더를 통제할 수 있어 불필요하고 부정확한 난사 없이 정밀한 저격이 가능하다. [* 게임 등에서는 일일이 드래그레더가 공격하는 연출로 만들기 힘들어서인지 그냥 드래그 클로에서 화염구를 발사하는 기술로 나온다.] 원거리전에 대적하기 위해 류우키는 승룡돌파를 애용한다. 오쟈를 스친 정도로 전투 불능 상태로 만들기까지 했다. 라이아가 카피 벤트로 이걸 베껴서 류우키랑 함께 승룡돌파를 시전한 적이 있다.[* 투니버스에서 방영할 당시 다음 프로그램 예고로 이 장면이 나왔다.] || ==== 가드 벤트 - 드래그 실드 ==== ||<-2> {{{+2 '''드래그 실드'''}}} [br] ドラグシールド / Drag Shield ||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Guard_Vent.png|width=50%]] || [[파일:Drag_Shield.png|width=70%]] || ||<-2> 2000GP || ||<-2>류우키 전용. 드래그레더의 복부를 본뜬 2개의 [[방패]]. 소환시 양 어깨에 장비되며, 주로 드래그 세이버와 연계해서 사용한다. 일단 맞고 구르는게 기본 일상이니만큼 이 드래그 실드도 자주 사용한다. 직접 양손에 들고 정면공격을 막거나 적을 밀치는 용권방어(竜巻防御, 3000GP)란 기술이 있다. 이 기술로 [[가면라이더 가이|가이]]의 '''파이널 벤트'''를 막아낸 적도 있다. [[가면라이더 배틀라이드 워]] 시리즈에선 용권방어는 '''공격기술'''이 되었다. 용권방어 자세에서 돌진하여 적을 공격하는 방식. 물론 원래 용도가 용도인 만큼 전방에 가드판정이 존재한다. || ==== 어드벤트 - 무쌍룡 드래그레더 ==== || {{{+2 '''드래그레더'''}}} || || [[파일:어드벤트(류우키).png|width=2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래그레더)] || ==== 파이널 벤트 - 드래곤 라이더 킥 ==== || {{{+2 '''드래곤 라이더 킥'''}}} [br] ドラゴンライダーキック / Dragon Rider Kick ||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Final_Vent.png|width=20%]] || || 6000AP || ||류우키 전용. 드래그레더와 함께 공중으로 떠올라, 뒤에서 드래그레더의 화염(드래그 브레스)의 힘을 전신에 받아서 적에게 [[라이더 킥]]을 먹이는 피니시 기술. 류우키의 성격상 필살기를 거의 몬스터에게만 시전하기 때문에 성공률이 매우 높다. 하이퍼배틀 비디오에서는 [[가면라이더 아기토(가면라이더)|아기토]]의 라이더 킥을 자기도 따라해서 사용한다. 파이널벤트를 사용한게 아니라 '''그냥 따라서''' 사용한 거다. 아기토의 발 밑엔 아기토의 문장이 떠올랐다면, 류우키의 발 밑엔 카드덱의 용 문장이 떠올랐다. || === 류우키 서바이브 === ==== 서바이브 ==== || {{{+2 '''서바이브 -열화-'''}}} [br] サバイブ -烈火- || || [[파일:열화의 서바이브.jpg|width=20%]] || ||칸자키가 싸움을 거부하는 신지에게 싸움을 재촉하게 하기 위해 건네준 카드. 라이더와 계약몬스터를 진화시키는 강력한 카드로 최강 미러 몬스터 골드 피닉스의 힘의 일부가 담겨있다. || ==== 소드 벤트 - 드래그바이저 츠바이 소드 모드 ==== ||<-2> {{{+2 '''드래그 블레이드'''}}} [br] ドラグブレード / Drag Blade ||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SurviveSwordVent.jpg|width=40%]] || [[파일:Drag_Blade.png|width=100%]] || ||<-2> 3000AP || ||<-2>류우키 서바이브 전용. 바이저 끝부분의 칼날을 전개시켜 사용하는 검 모드. 두께 60cm 철판도 두동강 낼 수 있다. 어드벤트 카드를 사용하지 않아도 그냥 전개시킬 수 있다. 첫 사용 시에는 전개 이후 칼날이 늘어나는 연출이 있었지만 이후는 생략된다. PS용 게임에서는 어드벤트 카드를 사용해야 쓸 수 있다. || ==== 슛 벤트 - 메테오 불렛 ==== || {{{+2 '''메테오 불렛'''}}} [br] メテオバレット / Meteor Bullet ||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SurviveShootVent.jpg|width=20%]] || || 4000AP || ||류우키 서바이브 전용. 류우키가 바이저로 레이저를 쏴 공격 대상을 포인트하면 드래그렌저가 그 대상을 향해 초고열 화염탄을 발사한다. 승룡돌파의 강화판. || ==== 가드 벤트 - 파이어 월 ==== || {{{+2 '''파이어 월'''}}} [br] ファイヤーウォール / Fire Wall || || [[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SurviveGuardVent.jpg|width=20%]] || || 4000GP || ||류우키 서바이브 전용. 드래그랜저를 소환해 그 육중한 몸통으로 적의 공격을 막아내는 기술. 용권방어의 강화판. 작중에선 오쟈의 '''헤비 프레셔(파이널 벤트)를 막아낸 적'''이 있다. 그것도 '''아주 여유롭게 가만히 서서'''.[* 방어 장면을 보면 막아낸다기 보단 오히려 꼬리로 후려치는 수준이다. 게다가 아예 대놓고 오쟈에게 카드를 보여준 다음에 사용한다.] 노멀 류우키의 가드벤트와 마찬가지로 배틀라이드 워 시리즈에선 '''공격 기술'''이 되었다. 류우키 서바이브 주변을 드래그랜저가 휘저으면서 공격하는 기술로 이쪽 역시 가드 판정이 존재한다. || ==== 스트레인지 벤트 ==== || {{{+2 '''스트레인지 벤트'''}}} ||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SurviveStrangeVent.jpg|width=20%]] || ||프리카드. 바이저에 한번 VENT IN 하면 무작위로 특수 카드[* 자신이 가지고 있지 않은 특수 카드나 다른 라이더 전용 특수 카드로도 변화 가능. 스트레인지 벤트를 쓴 건 라이더를 상대할 때 뿐이고 전부 상대 라이더가 가진 특수 카드(나이트 서바이브 = 트릭 벤트, 오딘 = 스틸 벤트)로 변한 것을 보면 완전한 무작위는 아닌 걸로 보인다.]로 변화되어 방출되고, 다시 한번 바이저에 VENT IN 하면 그 카드로서 능력을 발동시킨다. 나이트 서바이브와 1대1로 붙는 화에서는 나이트의 트릭벤트를 복사, 12명의 류우키 서바이브와 12명의 나이트 서바이브가 싸우는 장관을 보여주었다. || ==== 트릭 벤트 ==== || {{{+2 '''섀도우 일루전'''}}} [br] シャードイリュージョン / Shadow illusion || || [[파일:트릭 벤트(류우키 서바이브).png|width=20%]] || || 2000AP || ||스트레인지 벤트가 변화해 생성된 카드. 나이트의 카드와 같다. || ==== 스틸 벤트 ==== || {{{+2 '''스틸 벤트'''}}} || || [[파일:스틸 벤트.jpg|width=20%]] || ||스트레인지 벤트가 변화해 생성된 카드. 오딘의 가드 벤트를 강탈했지만 오딘이 스틸 벤트를 사용해 되찾아 갔다. || ==== 어드벤트 - 열화룡 드래그랜저 ==== || {{{+2 '''드래그랜저'''}}} [br] ドラグランザー / Dragranzer || || [[파일:어드벤트(류우키 서바이브).jpg|width=20%]] || || 7000AP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드래그랜저)] || ==== 파이널 벤트 - 드래곤 파이어 스톰 ==== || {{{+2 '''드래곤 파이어 스톰'''}}} [br] ドラゴンファイヤーストーム / Dragon Fire storm ||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SurviveFinalVent-1.jpg|width=20%]] || || 9000AP || ||류우키 서바이브 전용. 드래그렌져(바이크 모드)를 타고 돌격하며 앞바퀴를 든 뒤 적에게 다량의 화염탄을 연속발사하며 그대로 돌진하여 앞바퀴로 적을 짓뭉개는 피니시 기술. 몬스터 상대 성공률 '''100%'''라는, 매우 이례적인 전적을 자랑한다.[* 40화에선 무려 7마리의 몬스터를 한번에 몰살시켜버렸다.] 드래곤 라이더 킥은 그래도 회피하거나 튕겨내는 몬스터도 종종 있었지만, 드래곤 파이어스톰은 모든 몬스터들이 쏟아지는 화염탄에 우왕좌왕하다가 단숨에 파괴된다. 오딘에게도 위력 9000AP는 만만하지 않은 듯 순간이동 능력으로 피했다. 가면라이더 관련 게임에선 일본의 등급심의 때문에 피해를 가장 많이 본 기술. 일본에서 어린이 대상 게임은 탈 것을 이용한 뺑소니 연출을 넣으면 안 되기 때문에 자연히 드래곤 파이어 스톰 역시 연출이 바뀔 수밖에 없게 되었는데 [[가면라이더 클라이맥스 히어로즈 시리즈]]에서는 단순히 화염탄만 발사하고 마는 썰렁한 연출로 변경되었다. [[가면라이더 배틀라이드 워 II]]에선 화염을 뿜는 기술을 적절히 사용했다.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가면라이더 류우키(가면라이더), version=570)] [[분류:가면라이더 류우키/무장]][[분류:가면라이더 류우키(가면라이더)]] [[분류:어드벤트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