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가면라이더 목록/오즈)] ||<-2><:>'''{{{#White [[가면라이더 오즈|{{{#white 가면라이더 오즈}}}]]의 등장 [[가면라이더|{{{#white 가면라이더}}}]]}}}'''|| ||<-2><:> [[파일:kmr-birth_prototype.png|width=100%]] || ||<#d2d2d2> '''명칭''' ||<#ededed> 가면라이더 버스 프로토 타입[br](仮面ライダーバース・プロトタイプ)[br]KAMEN RIDER BIRTH PROTOTYPE || ||<#d2d2d2><|2> '''장착자''' ||<#ededed> '''[[다테 아키라]]'''[* 주 장착자] || ||<#ededed> [[고토 신타로]][* [[고토 신타로]]도 후반에 잠깐 변신했었다.] || ||<-2><:> {{{#!folding 【 기본 스펙 보기/접기 】 ||<#d2d2d2> '''[[변신벨트|{{{#black 변신벨트}}}]]''' ||<#ededed> [[버스 드라이버(가면라이더 오즈)|버스 드라이버]] || ||<#d2d2d2> '''키''' ||<#ededed> 199cm || ||<#d2d2d2> '''무게''' ||<#ededed> 92kg || ||<#d2d2d2> '''펀치력''' ||<#ededed> 3.5t || ||<#d2d2d2> '''킥력''' ||<#ededed> 8t || ||<#d2d2d2> '''도약력''' ||<#ededed> 45m || ||<#d2d2d2> '''질주력''' ||<#ededed> 100m / 5초 || ||<#d2d2d2> '''주요 아이템''' ||<#ededed> [[셀 메달]][br][[캔드로이드]] || ||<#d2d2d2> '''주무장''' ||<#ededed> 버스・CLAWs || ||<#d2d2d2> '''테마곡''' ||<#ededed> '''Reverse/Re:birth''' || ||<#d2d2d2> '''[[슈트 액터|{{{#black 슈트 액터}}}]]''' ||<#ededed> '''[[오시카와 요시후미]]''' || }}} || [목차] [clearfix] == 개요 == [[가면라이더 오즈]]의 [[가면라이더 시리즈/서브 라이더|서브 라이더]]로 [[가면라이더 버스]]의 [[프로토타입]]. 45화에서 등장한 가면라이더 버스의 시작품으로, 데이터 계측용의 시험 모델이다. 완성품과 달리 위주의 전신에 붉은 라인이 그어져 있다. 이 선은 데이터 수집용 마커라고 한다. 눈이 발광할 때 완성품은 붉은색, 이쪽은 녹색이다.[* 무비대전 매가 맥스에선 프로토 타입도 눈이 붉은색으로 발광한다.] 시작품이라서 그런지 사용 가능한 무장은 [[버스 버스터]], 브레스트 캐논, 그리고 크레인 암뿐이다. 실전이 아니라 데이터 계측을 위해 개발되었고, 실험 중에는 계획 목표치의 70% 정도로 운용되었다고 한다. 실전에는 한 번도 투입한 적이 없어 이론상으론 완성품 버스에 필적하는 성능이지만 실제 전투력은 미지수라고 한다. 본편에서는 연구소에 있던 걸 [[사토나카 에리카]]가 찾아내 들고 왔으며, 전화에서 완전체 [[카자리]]에게 심각한 데미지를 받아 수리 중인 버스를 대신해 [[고토 신타로]]가 착용한다. 초반에는 잘 나갔으나 시작품의 한계인지 완전체가 된 [[메즐]]한테는 당해내질 못했다. 46화에서는 고토가 수리가 끝난 버스 드라이버를 착용하고 프로토 타입 버스 드라이버는 사토나카에게 반납했다. 그리고 그걸 복귀한 [[다테 아키라]]가 착용해 고토 버스와의 브레스트 캐논 풀파워 합동공격으로 완전체 [[가멜]]에게 치명타를 입혔다.[* 정확히는 가멜 본인에게는 별 타격이 없었지만 이전에 마키의 공격으로 금이 간 의지가 담긴 메달에 충격이 가해져 완전히 파괴된 것.] 47화에선 완전체가 된 [[우바]]와 맞섰으나 완전체의 파워를 이기진 못했다. 근데 이때 잘보면 다테가 착용한 프로토 버스는 상처가 거의 없는데 고토의 버스는 상처투성이였다.(...). 최종화에서는 고토 버스 & 사토나카와 함께 [[메달의 그릇]]이 대량 생산한 [[부스러기야미]]들을 처리했다. 그리고 무비대전 MEGAMAX에서 포세이돈의 공격으로 드라이버가 작살났다.~~굴렁쇠 라이더라면 누구나 한번쯤 겪는 [[개발]]살~~ 파손이 너무 심해 폐기처분한다는 [[사토나카 에리카]]의 대사가 있어 재등장은 불가능할 것으로 여겨졌으나 결국은 고쳤는지 가면라이더X슈퍼전대 무비대전에서 버스와 함께 재등장한다. 이후 [[가면라이더 오즈 10th 부활의 코어메달]]에선 이 프로토 타입은 등장하지 않고, 다테는 일반 버스로, 고토 신타로가 버스X로 변신했다. 작중에서 시간이 꽤나 지난 만큼 프로토 타입을 일반 버스로 업그레이드 시켰거나, 버스 드라이버를 새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메모리 오브 히어로즈에서는 마지막 보스전을 치르기 위해 맴버들[* [[히다리 쇼타로|더]][[필립(가면라이더 W)|블]], [[히노 에이지|오즈]], [[테루이 류|액셀]], [[앙크(가면라이더 오즈)|앙크]], [[고토 신타로|버스]], [[히덴 아루토|제로원]].]이 센터 타워로 리볼개리를 타고 출발하기 전에 합류하게 된다. 이때의 장착자는 다테 아키라. 버스와 차이가 있는데, 일반 공격이 CLAWs 아머 공격인 반면(일반 버스), 그냥 격투 공격이 평타이다(프로토 버스). 일반 버스보다 더욱 더 아쉬운 부분. 그래도 일반 버스와 같이 필살기 브레스트 캐논 슛은 화력이 제법 세다. == 신체 부위 == [[파일:birthprototype_map.png|width=500]] *04. 암 프레임: 전완부를 보호하는 장갑이자, 무장 유닛을 접속시키기 위한 하드 포인트. 데이터 수집용이기 때문에 크레인 암만 장착할수 있다. *06. 사이드 레그 프레임: 허벅지를 보호하는 장갑. 무장 유닛을 접속시키기 위한 하드 포인트로서 설계되었지만, 프로토 타입에서는 무장 유닛 장착 기능이 생략되었다. *07. 프론트 레그 프레임: 다리를 보호하는 장갑. 무장 유닛을 접속시키기 위한 하드 포인트로서 설계되었지만, 프로토 타입에서는 무장 유닛 장착 기능이 생략되었다. *09. 컨덕트 파인더: 솔리드 실드의 안테나 기능을 보조하는 역할을 가진 증폭기구. 실험 단계이기 때문에 안테나의 출력을 조정하는 금속 플레이트가 장착되었다. *10. 브레스트 프레임: 포격 유닛 '브레스트 캐논'을 접속시키기 위한 하드 포인트. 스트론지움제 장갑으로, 공격으로부터 장착자를 지킴과 동시에, 브레스트 캐논을 마운트하고 포격에 의한 충격을 흡수한다. *14. 옵티컬 마커: 전신의 리셉터클 오브 주변에 장착된 센서 유닛. 버스의 움직임을 정확히 데이터화하기 위한 유닛이며, 모니터용 카메라의 시인성을 더욱 높이는 마킹도 되어있다. 기타 부위는 [[가면라이더 버스]]와 동일하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가면라이더 버스, version=149)] == 기타 == 본래는 다테의 등장 예정이 없다가 후반에 급하게 투입된 것이면서 2호 라이더라는 버스의 아이덴티티를 빼앗지 않기 위해서 완전체 버스로 등장시키지 않고 계속 프로토타입으로 등장시켰다고 한다. SIC에선 버스 프로토 타입의 [[버스 버스터]]는 중화기형으로 어레인지 되어있다. 일명 '버스 버스터 1식'이라고. [[분류:가면라이더 버스]][[분류:서브 라이더/헤이세이 라이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