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가면라이더 시리즈)] [include(틀:가면라이더 아웃사이더즈 시리즈)] ||<-2> '''가면라이더 팀업 시리즈''' || || [[가면라이더 잔느 & 가면라이더 아길레라 with 걸즈 리믹스]] || [[가면라이더 아웃사이더즈]] || ||
<-3> {{{+1 '''가면라이더 아웃사이더즈'''}}} [br]仮面ライダーアウトサイダーズ[br]KAMEN RIDER OUTSIDERS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가면라이더 아웃사이더즈 로고.png|width=100%]]}}}|| || '''{{{#fff 장르}}}''' ||<-2> [[특촬]], [[액션]], [[피카레스크]] || || '''{{{#fff 프로듀서}}}''' ||<-2> [[오오모리 타카히토]][* [[가면라이더 겐무즈]], [[가면라이더 겐무즈 스마트 브레인과 1000%의 크라이시스]]와 동일.] || || '''{{{#fff 감독}}}''' ||<-2> [[시바사키 타카유키]][* [[가면라이더 겐무즈 스마트 브레인과 1000%의 크라이시스]]의 감독과 동일.] || ||<|5> '''{{{#fff 각본}}}''' || ep.0 || [[타카하시 유야]] || || ep.1 ||<|2> [[우치다 히로키]] || || ep.2 || || ep.3 || 나가하마 다이키 || || ep.4 || 나가하마 다이키[br][[타카하시 유야]][*각본감수] || ||<|5> '''{{{#fff 주연}}}''' || ep.0 || [[이와나가 테츠야(배우)|이와나가 테츠야]], [[사쿠라기 나치]] || || ep.1 || [[하기노 타카시]] || || ep.2 || [[토가시 에이지]], [[우치야마 코우키]] || || ep.3 || [[모리타 마사카즈]] || || ep.4 || [[마츠시마 쇼타]], [[아마노 코세이]], [[나카무라 유이치(배우)|나카무라 유이치]] || ||<|5> '''{{{#fff 공개일}}}''' || ep.0 || 2022년 10월 16일 || || ep.1 || 2023년 1월 29일 || || ep.2 || 2023년 4월 9일 || || ep.3 || 2023년 7월 23일 || || ep.4 || 2023년 10월 1일 || || '''{{{#fff 공식 홈페이지}}}''' ||<-2> [[https://www.kamen-rider-official.com/outsiders/|[[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 개요 == TTFC로 공개되는 [[가면라이더 시리즈]]의 외전. [[가면라이더 겐무즈 - 더 프레지던츠 -]], [[가면라이더 겐무즈 스마트 브레인과 1000%의 크라이시스]]의 후속작[* 일단은 세이버×고스트 콜라보 시리즈와도 이어져 있긴 하나 조셉의 등장을 빼면 큰 연결고리는 없다. 공식 홈페이지에도 겐무즈는 시리즈에 포함시켜 함께 소개하고 있으나 세이버×고스트 콜라보 시리즈는 언급이 없다.]으로, [[가면라이더 잔느 & 가면라이더 아길레라 with 걸즈 리믹스]]에 이은 역대 [[다크 라이더]]들을 주역으로 한 팀업 드라마이다. 겐무즈 시리즈가 끝난 후 아예 새로운 타이틀을 달고 공개되었다. 다른 외전들에 비해 공개 간격이 상당히 긴 편으로, 각 에피소드 간 거의 세 달에 달하는 기간을 두고 공개된다.[* 에피소드 하나마다 꼭 새 슈트를 하나 이상씩 만들어서 찍는데, 라이더 슈트는 새거 하나 만드는 데에도 최소 몇 달씩은 걸리기 때문이다.] == 예고편 == [youtube(_VMtnpjJeL4)] ===# ep.0 #=== [youtube(f-2BVbT4i0A)] ===# ep.1 #=== [youtube(ROCaGLV-ftA)] [youtube(QuzSi4y8mf4)] ===# ep.2 #=== [youtube(lLlRRelBuY8)] [youtube(_EBydNDozmM)] ===# ep.3 #=== [youtube(3Ew1MS0c3t8)] [youtube(CQir46l9Sv4)] ===# ep.4 #=== [youtube(eKoYSx9hP0o)] [youtube(na_cXrF9geY)] == 주제가 == ||<-2>
'''{{{#ffffff,#ffffff OP.1[br]What’s the Outsider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YwJiketa9nc, width=100%)]}}} || ||<-2> '''{{{#ffffff,#ffffff Full ver.}}}''' || || '''노래''' ||<|4> m.c.A・T || || '''작사''' || || '''작곡''' || || '''편곡'''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TV ver.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사) ||}}}}}}}}} || ||<-2><^|1>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Full.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사) ||}}}}}}}}} || == [[가면라이더 아웃사이더즈/등장인물|등장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가면라이더 아웃사이더즈/등장인물)] == 에피소드 == || '''공개일''' || '''화수''' || '''제목''' || '''각본가''' || || 2022년 10월 16일 || ep.0 || 겐무즈의 끝과 계획의 시작 (ゲンムズのおわりと計画のはじまり) || [[타카하시 유야]] || || 2023년 1월 29일 || ep.1 || [ruby(거울 세계,ruby=미러 월드)]의 보물과 오쟈의 귀환 ([ruby(鏡の世界,ruby=ミラーワールド)]のお宝と王蛇の帰還) ||<|2> [[우치다 히로키]] || || 2023년 4월 9일 || ep.2 || [ruby(멸망,ruby=호로비)]의 전조와 데자스트의 각성 (滅びの予兆とデザストの覚醒) || || 2023년 7월 23일 || ep.3 || 배틀 파이트의 재개와 제인의 탄생 (バトルファイトの再開とゼインの誕生) || 나가하마 다이키[*長浜大喜] || || 2023년 10월 1일 || ep.4 || 뒤틀린 시간의 운행과 제인의 정체 (狂った時の運行とゼインの正体) || 나가하마 다이키[*長浜大喜][br][[타카하시 유야]][*각본감수] || == 평가 == 팬들로부터는 [[가면라이더 사우전드 아크|아크 사우저]], [[가면라이더 겐무/게이머#s-3.4|무테키 겐무]],[* 엄밀히 말하면 이 둘은 아웃사이더즈가 아니라 전작인 겐무즈의 라이더이긴 하다. 다만 정황상 겐무즈 자체가 아웃사이더즈를 염두에 두고 제작된 것으로 보이므로 서술한다.] [[가면라이더 오쟈#s-2.3.1|오쟈 서바이브]]와 [[가면라이더 갸렌#s-2.2.2|갸렌 킹 폼]]의 실물 등장, [[가면라이더 데자스트|데자스트의 라이더화]] 등 그 동안 팬들의 희망이나 망상 속에만 머물러 있던 소재들을 실현시켜주는 외전이라는 평을 받는다. 스토리상으로도 아웃사이더즈만의 오리지널 스토리는 배경 설명을 위해 딱 최소한으로만 가져가고[* 때문에 진영이 난잡하다거나, 캐릭터의 심경 묘사가 변해 버린 것이 이해가 잘 안 된다는 평을 듣기도 한다.] 각 등장인물들의 캐릭터성이나 원작 스토리의 후일담 묘사에 더 공을 들이고 있어, 철저하게 팬 서비스를 위해 복무하는 작품이다. 주로 1호 라이더들을 위주로 했던 과거 봄 영화나 그 외의 크로스오버 작품과는 다르게, 아웃사이더즈의 등장 라이더들은 모두 서브 라이더들이라는 점으로 인해 더욱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규 TV 방송이 아니다 보니 초기에는 일부 제작 측 문제가 드러나기도 했다. 특히 오쟈가 메인이었던 1화가 이런 잡음이 있었던 편이다.[* [[오카모토 지로|오쟈 전담 슈트 액터]]가 급하게 투입되어 체형을 미처 다듬지 못한 채로 등장한 것이나, CG의 질과 양이 다소 떨어지는 것 등. 주로 베노 스네이커 진화체와 유혈 묘사의 CG가 빈약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그러나 이 때의 잡음을 반면교사로 삼은 것인지 이후로는 그 정도로 심한 문제는 보이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외전임에도 예산을 쏟아부은 신규 조형 슈트가 여럿 등장하고 CG도 1화에 비해 퀄리티가 급상승하는 등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오리지널 스토리도 콜라보를 위한 발판 정도로 완성도가 대단히 좋은 편은 아니나 상술된 팬 서비스만으로 외전의 역할을 충분히 다한다는 반응이 많다. 전개상 오랜만에 보는 레전드 라이더들이 다수 등장하거나 언급되기 때문에 팬들 사이에서의 화제성도 높은 편이다. [[코로나19]]로 인해 나오지 못한 제로원×세이버 무비대전의 공백도 잘 메꿔 주고 있다. 4화에서의 어느 정도 예상되는 부분을 포함한 채로 큰 반전을 선사한 전개는 팬덤에 엄청난 혼란을 몰아넣었다. 특히나 갸렌의 태도와 행동은 팬덤 사이에서 캐릭터 붕괴가 아니냐는 말이 나왔을 정도였다. == 기타 == * '아웃사이더'라는 명칭은 [[가면라이더 SHODO]]의 시리즈들 중 하나인 [[https://www.google.com/search?q=%EA%B0%80%EB%A9%B4%EB%9D%BC%EC%9D%B4%EB%8D%94+SHODO-O&tbm=isch|SHODO-O(아웃사이더)]]에서 유래하였으며, 속한 멤버들도 거의 비슷하다. 팬들은 차기작이 나온다면 [[가면라이더 에볼|에볼]]이나 [[가면라이더 킥호퍼|지옥]] [[가면라이더 펀치호퍼|형제]], [[가면라이더 디케이드(가면라이더)|디케이드]] 등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추측하는 중. * 국내 팬덤에서는 이름이 이름인지라 줄여서 '''[[아싸(신조어)|아싸]]즈'''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 출연하는 주연 가면라이더들은 원작에서 메인 빌런으로 등장하거나, 그게 아니더라도 아군 사이에서 내부 분열 등의 갈등을 일으켰던 등장인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 [[단 쿠로토]] || 에그제이드 세계관에 있던 주요 사건인 [[제로 데이]]의 원흉이자 수많은 사람들의 목숨을 소멸시킨 게임 [[가면라이더 크로니클]]의 창시자. [[단 마사무네]]라는 공공의 적의 등장으로 CR과 손을 잡았다. 본편 이후에는 탈옥을 한 다음 또 다시 시민들을 공격했다. || || [[아마츠 가이]] || 제로원 세계관의 만악의 근원인 아크의 창조주. 그 외에도 본인이 저지른 자잘한 범죄가 아주 많았다. || || [[아크(가면라이더 제로원)|아크]] || 가이에 의해 창조된 악의만을 학습한 인공지능이자, 인공지능을 넘어 악의 그 자체로 거듭난 존재. || || [[아사쿠라 타케시]] || 연쇄 살인범. 애초에 [[칸자키 시로]]가 라이더끼리의 싸움을 부추기기 위해 투입했기에 진영이란게 없고 그냥 눈에 보이는 상대는 공격한다. || || [[데자스트]] || 가면라이더 세이버의 괴인 [[메기도(가면라이더 세이버)|메기도]]. 하지만 자신의 자유를 위해 싸우는 입장이라 중반부에 진영을 이탈해 [[아카미치 렌]]과 친분을 다지거나 [[가면라이더 팔시온|가면라이더]]로 변신해 메기도와 대립했다. || || [[아카미치 렌]] || 배신자 의혹이 생기는 것만 가지고 적대하였으며, 본의는 아니라지만, 이 과정에서도 [[스도 메이|민간인]]을 죽이려고 할 뻔했다. || || [[호로비]] || 테러리스트 조직 [[멸망신뢰.net]]의 리더. 처음부터 끝까지 인류의 적이었지만 각자 자기만의 꿈에 눈을 뜬 동료들과 트러블이 발생했다. || || [[반노 텐쥬로]] || [[로이뮤드]]에게 지속적인 학대를 가하여 반기를 일으키게 만든 [[글로벌 프리즈]]의 진정한 원흉이자 범인. AI로 부활했을 당시 개심한 척 [[특상과]]를 속인 바가 있다. || || [[브렌]] || 가면라이더 드라이브의 괴인 [[로이뮤드]]의 간부. 일단 [[악역]]이지만 [[메딕|동료]]에 대한 [[질투심]] 때문에 독단행동을 벌이며 자신의 입지가 생길때까지 진영을 여럿 바꿨다.[* [[하트(가면라이더 드라이브)|하트]]에 대한 충성심이 사라진 건 아니고, 자신이 어엿한 간부로서 입지가 생길때까진(=메딕을 능가할때까진) 하트의 오른팔로 있을 수 없다며 비밀리에 [[로이뮤드 001]]이나 반노와 접선을 했다. 어차피 이 둘도 로이뮤드와 마찬가지로 인류의 적이긴 하지만.] || || [[타치바나 사쿠야]] || 비록 내적 갈등과 두려움 때문이라고는 하지만 1화에서부터 [[BOARD]]가 궤멸되도록 내버려뒀고 각성 이전까지는 [[켄자키 카즈마]]와 대립했으며 언데드에게 이용당하기까지 했었다. || * 겐무즈 1000% 크라이시스 에서 사용된 효과음들을 사용하지만, 데자스트 편 이후로 리바이스 본편 때까지 사용된 효과음을 사용하였다. * 예고편 공개에 규칙성이 있다. 한 화가 공개될 때 다음 화 예고편도 동시 공개하고, 다음 화 공개 한 달 전에 새로운 슈트를 포함한 새로운 예고편을 공개한다. * 일단 4화를 끝으로 2023년의 아웃사이더즈는 완결되었으나 이후 예고편에서 2024년에 신장 방영이란것이 공개되었다. 4화에서 곧바로 이어지는 에피소드 5인지 아니면 따로 후속작을 제작할 예정인지는 불명. * 제작진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제로원, 세이버 제작진들인데 코로나19로 인해 제로원×세이버 나오지 못하자 땜빵용으로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분류:가면라이더 시리즈/외전 & 스핀오프]][[분류:2022년 드라마]][[분류:2023년 드라마]][[분류:가면라이더 시리즈]][[분류:피카레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