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3 '''가면토론회'''}}} || ||<-2> '''[[영상물 등급 제도|{{{#white 시청 등급}}}]]'''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파일:JTBC_15세.png|width=2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2|{{{#000000 15세 이상 시청가}}}]]'''|| ||<-2> '''{{{#white 장르}}}''' ||[[시사교양]] || ||<-2> '''{{{#white 채널}}}'''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50]]]]|| ||<-2> '''{{{#white 방송 시간}}}''' ||[[수요일]] 오후 9시 ~ 10시 30분|| ||<-2> '''{{{#white 방송 기간}}}''' ||[[2022년]] [[1월 5일]] ~ [[1월 12일]] || ||<-2> '''{{{#white 방송 횟수}}}''' ||2부작 || ||<-2> '''{{{#white 출연}}}''' ||[[박미선]] || ||<-2> '''{{{#white 링크}}}''' ||~~[[https://tv.jtbc.joins.com/maskdebate|[[파일:JTBC 로고.svg|width=30]]]]~~[*삭제] || ||<-3> {{{#!wiki style="color: #fff" {{{#!folding [ 프로그램 소개 ] ||
{{{#black,#e5e5e5 계급장 떼고 벌이는 가면 논객들의 토론 한 판[br]이름, 나이, 직업, 얼굴 등 자신의 모든 것을 숨기고 벌이는 가면 쓴 토론 전사들의 세상에 둘도 없는 진짜 독한 말싸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JTBC]]에서 2022년 1월 방영된 [[시사교양]] 프로그램. 후술할 논란로 인한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의 항의로 '''단 2회'''만에 종영되었다. == 출연진 == * 메인 MC - [[박미선]] * 논객 * 진보 패널 - [[헬마우스|민트초코]], 캔맥, [[김준일(언론인)|AI]] * 보수 패널 - [[이준석|마라탕]], [[조은산]](1회), [[크로커다일 남자훈련소|때타월]](2회), [[지식의 칼|진실의 입]] == 방영 목록 == ||<:>
'''{{{#WHITE 회차}}}''' || '''{{{#WHITE 방송일자}}}''' || '''{{{#WHITE 주요 내용}}}''' || || 1 || 2022.01.05 ||<(> * '''대선 이슈 블랙홀! 가족 리스크''' * '''심판대에 오른 K-방역''' - 참고인으로 양대림 출연. || || 2 || 2022.01.12 ||<(> * '''출렁이는 민심, 대선 지지율 향방은?''' * '''안철수 지지율 급등''' || == 시청률 == ||<|2>
'''{{{#white 회차}}}''' ||<|2> '''{{{#white 방영 날짜}}}''' || '''{{{#fff 시청률}}}''' ||<|2> '''{{{#fff 비고}}}''' || || '''닐슨코리아''' || || 1회 || [[2022년]] [[1월 5일]] || 1.699% || || || 2회 || [[2022년]] [[1월 12일]] || 1.478% || || == 논란 == === [[이준석]] 참여 관련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의 법정 대응 시사 === 이 프로그램에 보수 패널 중 한 명으로 "마라탕"이 출연했다. 방송이 계속되자 시청자들은 이 "마라탕"을 말투나 의상 등을 근거로 들어 [[이준석]]으로 [[마미손|의심했다.]] 해당 프로그램에서 마라탕은, "허위 이력 기재 등 문제가 있다 한들, (김건희가) 대한민국의 영부인이 될 자격이 없다고 한다면 전과 4범은 대통령 후보를 사퇴하는 게 맞다", "자격기준으로 적용하기 시작하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는 출마 자격이 안 된다", "어부지리로 올라간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의 지지율은 내려갈 것"등의 발언을 하고, 여성가족부 폐지에 대해서는 "이 대표도 여가부 관련 토론에 여러 차례 참여했다"고 발언하는 등 본인에 대한 '셀프 언급'을 했다고 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익명으로 활동하는 내용에 자세한 설명은 어렵다"고 밝히면서, 이준석의 해당 프로그램 출연 사실 자체를 부인하지 않았다.[[https://www.khan.co.kr/politics/politics-general/article/202201150920001|#]] 한편 이준석이 이 프로그램에서 대선 후보 안철수를 비난하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은 [[JTBC]]에 언론의 중립성을 해친다는 이유로 법적 책임을 묻겠다는 내용의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0118159400005?input=tw|#]] 결국 가면토론회는 방영 2회 만에 방송이 중단되었다. JTBC는 "기존 녹화분도 방송하지 않기로 했으며, 프로그램 정규 편성도 불발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공식 홈페이지도 삭제됐으며, 다시 보기 서비스도 중단됐다. [[안철수]]는 1월 19일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정치 풍자를 하려면 이당도 까고 저당도 까고 그러면 모르겠는데, 당 대표가 가장 위협적인 상대당 대표를 그렇게 폄하하는 것 자체가 정치적으로 옳지는 않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022&aid=0003658990|#]] [[이준석]]은 1월 19일 [[시선집중]]에서 가면토론회 출연 사실을 시인하면서, 프로그램을 폐지시킨 국민의당에 대해 "그런 인식을 바탕으로 해서 얼마나 정치세력으로서 지지받을 수 있을지 한번 보겠다"라면서 "유머 감각을 상실하신 분들이기 때문에 따로 응대하지 않겠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프로그램에서 안철수를 비난하는 발언을 한 것에 대해서는 "그 안에서 했던 말이 제가 이런 자리에 나와서 공개적으로 하는 발언의 부분집합이고, 다 이미 했던 말들이다."라면서 "안철수 대표 실명으로 비판하는 것 항상 못합니까?"라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001&oid=214&aid=0001173307|#]]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이준석/논란 및 사건 사고, version=1132, paragraph=5.17)] == 여담 == * [[JTBC]]에서 유튜브로 실시간 방송을 송출한 몇 안 되는 녹화 프로그램이다. * 2022년 1월 19일 방송 예정이었던 3회의 토론 주제는 '2022년 대한민국 젠더이슈'였다. [[분류:JTBC 시사교양]][[분류:2022년 방송 프로그램]][[분류:2022년 종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