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흡기 매니폴드 유로의 길이를 조절하는 장치 == 상세 == 주로 고회전영역에서 길이를 짧게 하여 흡기 효율을 높인다. 작동 조건은 보통 4500~5000RPM 정도 이상 회전수가 올라가거나 스로틀 개도량이 70% 이상일때 흡기유로를 제어하는 밸브를 작동시켜 흡기 유로의 길이를 변동하는 식으로 이루어진다. 형상과 신호/작동방식, 밸브 개폐 방식은 회사나 엔진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나 효과를 주는 원리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내연기관은 기본적으로 회전수에 따라 출력이 계속 변화하는 특징이 있다. 회전수에 따라 흡배기 밸브의 오버랩이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가변 밸브 타이밍|VVT]]/[[가변 밸브 리프트|VVL]] 등과 조합하면 엔진의 회전수 효율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00년대 이후로 전자제어 가솔린 엔진에는 사실상 보편화되었다. * VIC(Variable Intake Control/가변 흡기 제어) * VICS(Variable Inertia Charging System/가변 관성 과급 장치) * VIS(Variable Intake System/가변 흡기 장치) * VIM(Variable Intake Manifold/가변 흡기다기관) * DISA 등으로 불린다. [[분류:자동차]][[분류: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