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로스터)] ---- ||
'''{{{#e3d4ad 가브리엘 모레노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내셔널 리그|[[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width=20]]]] '''{{{#ffffff 2023년 내셔널 리그 포수 부문 골드 글러브}}}''' || || [[J.T. 리얼무토]][br]([[필라델피아 필리스]]) || → || '''가브리엘 모레노[br]([[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 || 2024년 수상자 || ---- ||<-5> '''{{{#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ffffff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55번}}}''' || || [[러셀 마틴]][br](2015~2018) || {{{+1 →}}} || '''가브리엘 모레노[br](2022)''' || {{{+1 →}}} || [[타일러 하이네만]][br](2023~) || ||<-5> '''{{{#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e3d4ad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등번호 14번}}}''' || || [[그래이슨 그레이너]][br](2022) || {{{+1 →}}} || '''가브리엘 모레노[br](2023~)''' || {{{+1 →}}} || 현역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00003504.jpg|width=100%]]}}} || ||<-2>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No.14''' || ||<-2> '''{{{#ffffff {{{+2 가브리엘 모레노}}}[br]Gabriel Moreno}}}''' || || '''본명''' ||가브리엘 호세 모레노[br]Gabriel Jose Moreno || ||<|2> '''출생''' ||[[2000년]] [[2월 14일]] ([age(2000-02-14)]세) || ||바르키시메토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베네수엘라)] || || '''신체''' ||180cm, 72kg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2017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 '''소속팀'''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2) [br]'''[[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2023~)''' || || '''계약''' ||1yr / $722,500 || || '''연봉''' ||2023 / $722,50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모레노토론토.jpg|width=100%]]}}}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소속 [[포수]]. == 선수 경력 == === [[토론토 블루제이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토론토모레노.jpg|width=100%]]}}} || ==== 마이너 리그 ==== 2017년 만 16세에 나이로 유격수로 토론토와 2만 5천달러 계약 후 도미니카 서머리그에서 뛰게 되었고 시즌 중 포지션을 포수로 변경했고 32경기 125타수 타율.248를 기록했다. 2018년 GCL 블루제이스와 블루필드 블루제이스에서 뛰며 40경기 타율 .360으로 큰 활약을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랜싱모레노.jpg|width=100%%]]}}} || 2019년 싱글 A에서 82경기 307타수 타율 .280 86안타(2루타 17, 3루타 5) 12홈런 52타점 57득점 7도루 출루율 .337 장타율 .485 OPS .823을 기록하며 다음 시즌을 기대하게 했다.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하여 한 시즌이 날라갔고 모국인 베네수엘라에서 경기를 뛰겨 감각을 유지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뉴햄프셔모레노.jpg|width=100%%]]}}} || 2021년 더블 A에서 32경기 126타수 타율 .373 47안타(2루타 9, 3루타 1) 8홈런 45타점 29득점 출루율 .441 장타율 .651 OPS 1.092로 활약하며 시즌 막판에 트리플 A로 콜업되었다.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모레노가을리그.webp|width=100%]]}}} || 시즌 후 애리조나 가을리그에서 뛰었다. 애리조나에서 성적은 22경기 85타수 타율 .329 28안타(2루타 11) 1홈런 18타점 16득점 출루율 .410 장타율 .494 OPS .904. 2022 베이스볼 아메리카 유망주 순위 7위에 올랐다. 비슷한 수준의 (역대) 톱급 유망주들의 성적은 [[메이저 리그 유망주 순위]]를 참조. ==== 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블루제이스모레노.jpg|width=100%]]}}} || 6월 11일 메이저 리그에 처음으로 콜업되었고 당일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전에 8번 포수로 선발 출장해 데뷔전을 치렀다.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디백스공식합성모레노.jpg|width=100%]]}}} || 2022년 12월 23일, [[돌튼 바쇼]]를 상대로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와 함께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로 트레이드되었다. ==== 2023 시즌 ==== [[카슨 켈리]]의 부상으로 당분간 큰 경쟁 없이 주전 포수 자리를 차지할 전망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디백스모레노.jpg|width=100%]]}}} || 3월 30일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와의 개막전 선발 포수 마스크를 차 좋은 모습을 보여주더니, 31일에는 [[데이비드 페랄타]]의 도루를 저지하고 1,2루 위기 상황에서 빠른 판단으로 3루에서 주자를 아웃시키는 등 결정적인 수비를 여러 차례 보여주며 2-1 승리에 최고 공신 중 하나가 되었다. 4월 7일 다저스전, 달아나는 1타점 적시 2루타를 포함해 멀티 히트를 기록했다. 8회에는 1루 주자를 앉아쏴 견제로 아웃시키도 했다. 다음날에는 7번 타자로 선발 마스크를 써 적시타를 때렸다. 10일 [[밀워키 브루어스]]전에는 81마일 커브를 받아 팝타임 1.83초로 도루 저지에 성공하며 팬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18일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전, 2루타와 시즌 첫 홈런으로 멀티 히트를 기록했으며 마지막 8회초 네번째 타석에서는 시즌 첫 볼넷을 얻어냈다. 8-7 한점차 승리였기에 4회초 [[조던 몽고메리]] 상대로 때려낸 모레노의 쓰리런이 결정적이었다. 21일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전, 4타수 3안타 3타점으로 활약했다. 경기는 9-0 승리. [[대니 잰슨]]이 너무나도 확고한 주전이었다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지만, 그 [[대니 잰슨]]이 부상으로 조기에 이탈한 데다가 나머지 토론토의 선수들도 시즌 내내 저점을 찍으면서 결과적으로 토론토에게는 이 트레이드가 상당히 씁쓸한 트레이드로 남게 되었다. 풀타임 첫 시즌에 바로 [[골드 글러브]] 수상에 성공했다. === [[베네수엘라 프로야구 리그|LVBP]] === ==== [[카르데날레스 데 라라]] ==== ===== 2020-21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1모레노.webp|width=100%%]]}}} || 코로나로 인하여 못했던 경기 감각을 위해 고국리그인 [[베네수엘라 프로야구 리그|베네수엘라 윈터리그]]이서 뛰게 되었다. 18경기 59타수 타율 .373 22안타(2루타 5) 1홈런 11타점 12득점 출루율 .471 장타율 .509 OPS .980. ===== 2021-22년 ===== 마이너와 가을리그에서 뛰고도 지난 시즌에 이어서 이번 시즌도 뛰게 되게 되며 바쁜 한 해를 보내고 있다. 최종 성적은 18경기 61타수 타율 .279 17안타(3루타 1) 1홈런 8타점 11득점 출루율 .397 장타율 .361 OPS.758.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모레노마이너홈런.gif|width=100%]]}}} || 타격: 70, 파워: 50, 스피드: 40, 수비: 55, 어깨: 60 빠른 공 빼는 속도와 유격수 출신이라 강한 어깨를 갖고 있다. 타격도 2021년에는 삼진 비율이 고작 15%로 좋은 선구안과 100~108마일 정도에 타구 속도를 만들 수 있는 선수다. 2022시즌 팝타임 1.9초, 도루저지율 41%로 좋은 포수가 될 전망이다. == 수상 내역 == * [[내셔널 리그]] 포수 [[골드 글러브]] (2023) == 연도별 성적 == ||<-19>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파일:MLB 로고.svg|width=35]]]] {{{#FFFFFF '''가브리엘 모레노의 역대 MLB 기록'''}}}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2 || [[토론토 블루제이스|TOR]] || 25 || 73 || 22 || 1 || 0 || 1 || 10 || 7 || 0 || 4 || 8 || .319 || .356 || .377 || .733 || 0.7 || 0.7 || || 연도 || 팀 || G || PA || H || 2B || 3B || HR || R || RBI || SB || BB || SO || AVG || OBP || SLG || OPS || fWAR || bWAR || || 2023 ||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ARI]] || 111 || 380 || 97 || 19 || 1 || 7 || 33 || 50 || 6 || 29 || 75 || .284 || .339 || .408 || .747 || 1.7 || 4.3 || ||<-2>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 통산[br](2시즌)''' || 136 || 453 || 119 || 20 || 1 || 8 || 43 || 57 || 6 || 33 || 83 || .290 || .342 || .402 || .744 || 2.4 || 5.0 || == 여담 == [각주] [[분류:베네수엘라의 야구 선수]][[분류:2000년 출생]][[분류:2022년 데뷔]][[분류:바르키시메토 출신 인물]][[분류:포수]][[분류:우투우타]][[분류:토론토 블루제이스/은퇴, 이적]][[분류: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