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기능사]] || → || [[가스산업기사]] || → || [[가스기사]] || → || 가스기능장 || → || 가스기술사 || |||| {{{+2 {{{#FFFFFF '''가스기능사'''}}}}}}[br]{{{+2 {{{#FFFFFF '''燃氣技能士'''}}}}}}[br]{{{#FFFFFF '''Craftsman Gas'''}}} || || 관련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목차] == 개요 == 국가기술자격 중 기능사 등급의 자격증으로 고압가스 제조, 저장 및 공급시설, 용기, 기구 등의 제조 및 수리시설을 시공, 조작, 검사하기 위한 기술적 사항의 관리, 생산공정에서 가스생산기계 및 장비를 운전하고 충전 하기 위해 예방조치 점검과 고압가스충전용기의 운반, 관리 및 용기 부속품 교체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평가한다. 고압가스를 활용하는 제조, 충전, 저장 시설 등에서 안전관리 책임자, 안전관리원 등으로 선임을 걸 수 있는 자격증이다. [[위험물기능사]]와 마찬가지로 고등학교/대학교에서 화학을 제대로 공부했다면 비교적 편하게 취득할 수 있다. 2020년까지는 실기가 작업형(동영상 + 배관작업)이었으나, 2021년 1회 시험부터 복합형(필답형 + 동영상)으로 바뀌었다. 1978~2020 가스기능사 취득자는 총 88,831명이다. == 필기 == 가스기능사 필기는 1. 가스일반, 2. 가스장치 및 기기, 3. 안전관리 세 과목으로 60문제 중 36문제(60점/100점) 이상 맞추면 합격이다. 과목별 과락은 없다. 계산 문제가 많은 것은 아니지만, 자잘하게 암기해야 할 부분이 상당한 편이다. 합격률이 20~30%대로 기능사 중에서는 전기쪽과 더불어 굉장히 낮은 편에 속한다. == 실기 == 가스기능사 실기는 2021년부터 변경되었다. 배관작업이 빠지고 필답형이 추가되었는데 이 때문인지 2021년 1회 가스기능사 실기 합격률은 20.4%로 굉장히 낮았다. 대부분의 교재들이 가스기사, 가스산업기사 필답형 중 쉬운 문제들로 주로 구성이 되었는데 적중률이 그리 높지는 않았던 것 같다. 동영상 작업형은 대부분 기존 기출에서 출제가 되었다. 필답형은 어려우니 합격하고자 한다면 비교적 기출이 많은 작업형에서 고득점(40점 이상)을 노리는 것이 필요하다. 시험 구성은 필답형 12문제 50점 (1시간) / 동영상 작업형 12문제 50점 (1시간) 이다. 필답형을 1시간 보고 30분을 쉰 뒤 동영상 작업형을 보는 식으로 총 2시간 30분 동안 치른다. 필답형은 30분 경과 후 퇴실이 가능하고, 동영상 작업형은 시간 경과 제한없이 언제나 퇴실이 가능하다. [[분류:기능사]]